View : 5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貞香-
dc.creator李貞香-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3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32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3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0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34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making suggestions against the future utilization of the curriculum in middle schools, that has drastically been amended over four times since the liberation year of 1945. And by searching for the theoretical basic in comparison middle schools as to the purpose, the contents of guidance and the noteworthy guiding points. The method of this research viewed the theoretical character of science education, the science education in foreign country, and the reformation movement of modern curriculum in science education. I also compared and analized the transition on the curriculum of science education such as the transitional background, the contents, which are composed of sic parts as follows: 1) In science education the learners are to cultivate the scientific thought and accomplishments, the self-confidence and possitive evaluation in science through the activities of research. 2) Foreign science education has rapidly been studied the betterment of living since the late of 1950's. American current thoughts in science education have had much influence on Korean science education since the liberation year of 1945. 3) Since the middle of the 1960's the educat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promotive policy which has been emphasized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greately devoted itself to the development of man-power, the industrial development, the overseas development and the modernization of our country. 4) The aims of the first curriculum in science laid stress on the scientific principle and its comprehension, the second curriculum emphasized the scientific function and its attitude in view of experimental observation, the third curriculum stressed the understanding of the basic conception of the organized science, and the fourth curriculum had stress on acquiring the knowledge and know-how of science and applying to the betterment of living. 5) The contents of science educ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urriculum carefully selected, the third curriculum presented the basic conception, and the fourth curriculum retrenched and synthesized the contents and also supplemented the unit of the preservation of nature. 6) The attention-points of each curriculum in science education except the first one presented the aimes of science education. In our country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science education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have our country developed. Therefore we should require the normalization of science education as follows: 1) The active teachers should accurately know the general and specific aims of the present curriculum in science education. 2) The educators need to reeducate and improve their teaching methods constantly so as to acquire the knowledge of modern science. 3) The school authorities should equip with all kind of experimental apparatuses in regardless of regional groups. 4) The text writers ought to make the texts as well as teachers' guiding books and guiding books for exprement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ims of science education. 5) The scientists, the experts of science education as well as the active teachers need to improve the curriculum in science education.;본 연구는 1955年(第1次)제정되어서 1963年(제2차), 1973년(제3차)과 1981년(제4차)에 개정된 中學校 科學科 교육과정 변천의 배경, 교육과정의 목표, 교육내용 및 지도상의 유의점 등의 변화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그의 理論的 근거를 찾고 앞으로의 科學科 敎育課程 운영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주로 문헌연구법을 사용했다. 제Ⅱ장에서는 理論的 배경으로 科學科 敎育의 性格과 外國의 科學敎育, 우리나라 科學敎育 및 現代 科學敎育課程의 動向을 살폈다. 제Ⅲ장에서는 우리나라 중학교 科學科 교육과정의 변천 내용을 교육과정 개정 시대별로 배경, 내용 및 科學敎育으로 개관하고, 科學科 교육과정의 변천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科學敎育에서는 科學的 사고와 科學的 소양을 신장, 함양시켜야 하고 이는 학습자의 탐구활동을 통해 길러지며 탐구과정에서 科學에 대한 자신감과 긍정적 가치관이 형성된다. 2. 외국의 科學敎育은 1950년대 후반 부터 生活사태의 필요에 의해 급속히 연구 개발되어 왔고 우리나라 科學敎育은 해방후 미군정하의 科學敎育부터 미국의 교육사조가 지금까지 과학교육과정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3. 우리나라 科學科 교육과정은 교수요목시대(1945-1954), 교과과정시대(1955-1962) 교육과정 1기(1963-1972), 교육과정 2기(1973-1981)의 제4차까지 개정을 거쳐 오면서 발전하는 사회의 要請에 따른 인간의 육성에 기여했음은 사실이다. 科學敎育은 1946년부터 科學敎育振興策이 대두되었고 1951년에 "1人 1技교육실기요항"으로 전후 재건에 대비한 교육을 실시했으며 1960년대 중반부터 科學敎育이 생산교육의 첩경임을 주장하여 문교정책(지표)으로 강조되어오고 있다. 4. 조국근대화를 위한 경제발전의 원동력으로 인력자원개발을 위한 국민정신교육과 과학기술교육진흥의 부르짖음은 1967년 과학교육진흥법제정으로 이끌었고, 과학기술교육의 정책적인 주력은 산업개발 해외 진출 해양개발등으로 산업사회를 맞을 준비가 갖추어 지도록 하였다. 5. 科學科 敎育課程의 목표는 제1차에서 과학적원리, 법칙의 이해에, 제2차에서는 실험 관찰을 통한 科學的 기능과 태도에 역점을 두었으며, 제3차에서는 구조화된 科學的 기본개념 이해를 강조했고, 제4차에서는 科學의 지식과 방법을 습득하여 科學的 生活을 할 수 있게 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6. 科學科 敎育課程의 교육내용을 제1, 2차의 내용이 비슷하나 제2차에서 정선되어 있고, 제3차에서 그 체제와 내용의 변화를 가져와 기본적개념으로 정선 제시되었고, 제4차에서는 개념체계에 내포된 상호조합성을 고려하여 물질, 상호작용, 에너지, 변화, 생명을 바탕으로 학년당 4개의 단원으로 축소 통합하였고, 3학년에서 「자연보존」단원을 추가하여 자연을 통합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였다. 7. 科學科 교육과정의 지도상의 유의점은 제1차에서는 제시 되지 않았고 제2, 3, 4차에서는 科學科 목표에 따라 제시되어 있고 제4차에서는 평가상의 유의점까지 제시되어 있다. 科學敎育의 중요성은 言語上의 차이는 있으나 문교정책으로서 해마다 강조되어 왔으며, 누구나 수긍하여 내용면이나 방법면에서 놀랄만큼 발전되었으나, 아직도 문교정책과는 거리가 먼 科學교육이 운영되고 있음도 사실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科學교육의 중요성은 거론의 여지가 없으므로 科學교육의 정상화를 위하여, 1. 科學科 교육과정의 목표달성을 위해 교육현장의 교사들은 현행 교육과정의 목표와 교육내용, 지도상의 유의점 및 평가상의 유의점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적응력이 갖추어 지도록 부단히 노력해야 되고, 2. 새로운 科學知識의 습득을 위한 교사 재교육을 철저히 실시하여 새로운 학습지도 방법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3. 탐구과정을 위한 실험실 활용에서의 문제점인 실험기구의 조잡성, 지역간의 격차를 둔 시설때문에의 불균형을 이룬 학생들의 창의력 신장을 위해 최대한의 제도적인 지원이 있어야 한다. 4. 科學敎科 目標를 達成할 수 있도록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 및 실험지침서도 개발, 집필되어야 하고, 5. 科學과 기술의 진흥은 학교의 科學敎育을 통해서 이루어지므로 科學科 시간 배당의 폭이 늘어나 탐구과정 학습으로 학습활동이 전개되어 과학에 대한 흥미와 의욕을 갖게 되도록 해야 하며, 6. 시대 상황의 요구에 맞는 科學敎育課程의 개선을 위해서는 科學전문가는 물론 각 지역의 교육현장의 교사들에 의해 계속 토의되고 검토되어 나가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ⅵ Ⅰ. 緖論 = 1 A. 硏究의 趣旨 및 目的 = 1 B. 硏究의 內容 = 2 C. 硏究의 方法 = 2 D. 硏究의 制限點 = 3 Ⅱ. 現代 科學敎育課程의 理論的 背景 = 4 A. 科學科 敎育의 性格 = 4 B. 外國의 科學敎育 = 6 C. 우리나라의 科學敎育 方向 = 11 D. 現代 科學敎育課程의 改革動向 = 16 Ⅲ. 中學校 科學科 敎育課程의 變遷 = 21 A. 科學科 敎育課程 變遷의 背景 = 22 B. 中學校 科學科 敎育課程 變遷의 綜合的 分析 = 51 Ⅳ. 要約 및 結論 = 70 A. 要約 = 70 B. 結論 = 73 參考文獻 = 76 ABSTRACT =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104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학교-
dc.subject과학과-
dc.subject교육과정-
dc.subject교육학-
dc.title中學校 科學科 敎育課程의 變遷에 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TRANSITION OF THE CURRICULUM OF SCIENCE IN MIDDLE SCHOOLS-
dc.format.page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행정분야-
dc.date.awarded198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