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미수-
dc.creator유미수-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4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84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0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841-
dc.description.abstractThe starting point of the effective education is the choice of suitable teaching materials. In case current novel education in middle school almost wholly depends on the textbook, the choice of textbook may affect the achievement of novel education directly. In this respect, this study, through studies of the literature and also the achievement of teaching goals suggested in the Educational Step. The contents and the conclusion presen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evious theory of textbook of literature has been discussed concerning the basis of the choice on the works. The Sixth Educational Step is nearly different from the Fifth Educational Step in the point of structure of unit composition, but presents the goals,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concretely and shows the goal of emotional area clearly. Second, the subject matters of the novel presented in textbook are not suitable from the viewpoint of the development level of intellect, moral and reading ability of the student as follows. <Sonagi; a shower>, <Hakmaeul saramdeul ; people in the crane village>, and <Tokijeon; the rabbit story> require the student higher understanding than the development level of intellect, and prevent the student understanding adequately. <Yoram-ki; the cradle>, <Hakmaeul saramdeul ; people in the crane village> are not suitable from the viewpoint of the development level of moral and reading ability of the student. Regardless of the external factors of novel-the development level of intellect, moral and reading ability, the difficulty of word used in novel make the student hard to understand and reduce the interest, these are <Wangchi-wa sosae-wa kaemi-wa>, <kongyangmisambaecsok; alms rice of three hundred sok> and <Tokijeon; the rabbit story>. Third, many novels have the unsuitability as follows from the viewpoint of teaching goal attainment. <Yoram-ki; the cradle>, <Wangchi-wa sosae-wa kaemi-wa>, <Hakmae ul saramdeul ; people in the crane village>, <Keun bawi eolgul; a face on the large rock>, <Tokijeon; the rabbit story>, <Sangroksu; evergreen tree> etc. do not present the element of form suggested in the primary teaching goal in a unit. <Sonagi; a shower>, <kongyangmisambaecsok; alms rice of three hundred sok> are not adequate for the formation of the sense of value and the consensus. Eight works except <Sonaki; a shower> are not suitable for the emotional goal, for these are lack of transferability of reading in regard to the formation of attitude and habit. As described above, many novels in the current teaching material of middle school are not suitable from the viewpoint of the development level and the attainment of teaching goals, and also there are additional problems-the lack of participation of field teachers in choice of textbook, and of consideration of interest and experience of the student etc. Based on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the suggestion to make the education of the novel effective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which take charge of the composition of textbook, should accumulate the output of self-research to choose the desirable textbook and through the seminar and various survey study the discussion on the choice of the desirable textbook should be developed seriously. Second, through the periodical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intellect, morality and read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development of tectbook suitable for the advance stage of the student should be performed. Third, to achieve the goals of novel education with the choice of novel textbook fit for the education Step, above all the study on the formation element of the works presented in textbook and on the measurement of the achievement of the learning goals, and then the works which may have a desirable effect on the sense of value of the youth and which encourage the student reading should be chosen. Fourth, the education system should be improved to secure the field teachers to participate in compilation of textbook, and also the method to convert a state textbook system to an authorized textbook system should be examined. Fifth, the accumulation of literary works used in the choice of textbook should be taken to improve the reality in which, despite the change of the Education Step, there is no change in the works in textbook.;적절한 교재의 선정은 효과적인 교육의 출발점이 된다. 특히, 교과서에 거의 전적으로 의지하고 있는 현행 중학교 소설 교육의 경우 교재의 선정은 소설 교육의 목표 성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현행 중학교 소설 교재가 학습자의 발달 수준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습 목표 성취에 적합한가를 문헌연구 및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논의된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문학교과 교재론은 주로 작품 선정 기준을 중심으로 논의 되어 왔다. 제 6차 교육과정의 경우 제 5차와 단원 편성의 체제와 교재 선정에서 큰 변화는 없으나 목표, 내용, 방법, 평가 등을 구체화시켜 제시했고, 정의적 영역의 목표도 명시화하고 있다. 둘째, 교과서에 수록된 소설 제재들을 학습자의 발달 단계 면에서 분석해 볼 때 다수의 작품들에서 다음과 같은 비적정성 요인이 발견되었다. 소설 작품이 학습자의 인지 발달 수준보다 높은 이해력을 요구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제대로 학습하기 힘들게 하는 경우로 <소나기>, <학마을 사람들>, <토끼전> 등의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소설 작품의 수준이 학습자의 도덕성이나 독서 능력 발달 수준 면에서 볼 때 적절하지 못한 경우로 <요람기>와 <학마을 사람들> 등이 이에 해당한다. 소설 외적인 요인으로 인지 발달 수준이나 도덕성 발달 수준, 독서 능력 발달 수준 등과는 무관하게 소설 속에 사용된 단어들이 난해하여 학생들의 이해를 어렵게 하고, 흥미를 떨어뜨리는 경우이다. <왕치와 소새와 개미와>, <공양미 삼백 석>, <토끼전> 등이 이에 해당하는 작품이다. 셋째, 학습 목표 성취 면에서 중학교 소설 교재들을 분석해 본 결과 다수의 작품들에서 다음과 같은 비적정성 요인이 발견되었다. 단원의 주된 학습 목표로 제시된 형식 요소가 작품 속에 적절하게 제시되지 못한 경우로 <요람기>, <왕치와 소새와 개미와>, <학마을 사람들>, <큰 바위 얼굴>, <토끼전>, <상록수> 등이 이에 해당한다. 가치관 형성이나 공감도의 면에서 부적절한 경우로 <소나기>, <공양미 삼백 석> 등이 이에 해당한다. 태도 및 습관 형성과 관련하여 독서 전이도가 낮아 정의적 영역의 목표달성에 부적절한 경우로 <소나기>를 제외한 8편의 작품 모두가 이에 해당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밝혀진 바대로 현행 중학교 소설 교재는 학습자의 발달 수준과 학습 목표 성취 면에서 적합하지 않은 작품들이 대다수이고, 그 외에도 교재 선정시 현장 교사의 참여가 제한된 점, 학생들의 흥미나 경험 세계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점 등 몇 가지의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하여 바람직한 문학 교재 개발과 작품 선정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소설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교과서 편성을 담당하고 있는 교육부나 한국교육개발원 등에서 바람직한 교재 선정을 위한 자체 연구 성과를 축적해야 하며, 세미나와 다양한 설문 조사 등을 통하여 바람직한 교재 선정에 관한 논의가 심도 깊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정기적으로 중학생들의 인지 발달 수준, 도덕성 발달 수준, 독서 능력 발달 수준 등 학습자의 발달 특성을 조사 연구하여 학습자의 발달 단계에 적합한 교재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에 적합한 소설 교재 선정을 통해 효과적인 소설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교과서에 수록될 작품에 대한 형식 요소의 분석 연구 및 학습자의 학습 목표 성취 측정에 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고, 청소년의 가치관 형성에 바람직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작품과 독서 전이도가 높은 작품을 선정해야 할 것이다. 넷째, 교과서 편찬에 현장 교사의 참여가 보장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거나, 국정 교과서제를 검인정제로 바꾸는 방법도 검토해 보아야 할 것이다. 다섯째, 교육과정이 수 차례 바뀌어도 교과서의 소설들에는 큰 변화 없이 기존의 작품들이 그대로 수록되는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교재 선정에 활용할 수 있는 문학작품의 축적을 위해 다각도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 4 Ⅱ. 교육과정과 문학교육 = 6 A. 문학 교과 교재론의 성격 = 6 B. 소설 교육의 목표 = 10 C. 제 5·6차 교육과정과 소설 교육 = 13 Ⅲ. 작품 선정과 학습자의 발달 단계 = 19 A. 학습자의 발달 수준 = 20 B. 교과서 소설 작품의 수준에 따른 학습자의 수용 양상 = 30 Ⅳ. 작품선정과 학습 목표 성취도 = 48 A. 작품의 형식요소와 학습 목표 = 48 B. 교과서 소설 작품의 학습 목표 성취도 양상 = 51 Ⅴ. 중학교 소설 교재의 적정성과 개선 방향 = 78 A. 학습자의 발달 수준과 학습 목표 성취상의 비적정성 요인 = 78 B. 교과서 소설 교재의 문제점과 올바른 방향 = 82 Ⅴ. 결론 = 87 참고문헌 = 91 부록 = 94 ABSTRACT = 1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419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학습자-
dc.subject발달 단계-
dc.subject학습목표 성취도-
dc.subject중학교-
dc.subject소설 교재-
dc.subject국어교육-
dc.title학습자의 발달 단계와 학습목표 성취도를 중심으로 본 중학교 소설 교재의 적정성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105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