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향식-
dc.creator이향식-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9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9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83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901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83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학교 교육과정 개발시 교사 수준에서의 교육과정 각론 재구성의 실태를 분석하고 그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2) 교육과정 각론 재구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3) 교사 수준에서의 교육과정 각론 재구성의 실태는 어떠한가? 4) 각론 재구성에 관련된 기타 요인들의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 방법으로는 설문 조사를 이용하였다. 서울시내 30개 공·사립 중학교의 도덕·국어·사회·수학·과학·영어 등 6개 교과를 담당하는 430명의 교사들에게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된 396명의 응답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 정도에 비해 이해정도는 낮으며, 이해정도에 비해 참여정도는 더욱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교육과 정의 편성·운영 이후 학교 현장의 가장 큰 변화로는 학생 수준을 고려한 교육내용의 재구성을 들고 있으나 상당수의 교사들은 변화를 별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과정 문서는 연간 수업계획 수립시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나 1/3가량의 교사들은 교사 수준에서는 불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거의 대부분의 교사들은 수업준비를 하고 있으나 학습지도안의 수업 활용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교과서 이외의 교수·학습자료의 개발 능력은 부족하다고 스스로 평가하고 있으며, 각론 재구성은 교수·학습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론 재구성의 범위는 교과서 내용을 삭제없이 가르치거나, 교과서 내용의 삭제, 교과서 이외의 내용의 첨가, 자료를 활용한 교과서 내용의 심화·보충 등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재구성의 방법은, 교육내용의 중요성에 따라 시간비중을 조정하고 있으나 내용 영역이나 단원의 순서는 거의 조정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구성시에는 학생들의 학습 능력을 가장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교과서 이외의 교수·학습자료를 활용하는 편이나 기존 자료를 참조하거나 활용하는 소극적인 수준에서 교수·학습자료를 활용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넷째, 교과 협의 실태는 수업내용이나 수업방법등 재구성과 관련된 협의보다는 평가실시나 교과 업무처리에 관한 협의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구성의 가장 큰 제약 요인으로는 교사들의 과중한 업무 부담이 지적되었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볼 때, 각론 재구성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과 협의회와 내실있는 운영과 활성화, 교사의 업무 부담 경감과 적극적인 교단 지원 체제의 확립, 다양하고 실질적인 교과별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 평가 방법의 다양화 충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욱 중요한 것은 교사 스스로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노력이며, 교육과정의 재구성자 및 연구자로서 적극적인 역할 인식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n the modes of teachers' interpretation and modific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at instructional level, and on the basis of the result to propose ways for promoting them. The research questions to be answered in this study are: (1) How do teachers recognize the aims, meanings, and importance of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2) How do teachers recognize teachers' interpret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at instructional level? (3) What is the modes of teachers' interpretation and modific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at instructional level? (4) What is the modes of other factors related to teachers' interpretation and modific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To find out answers to the ques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means of questionnaire survey.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30 teachers who teach ethics, Korean, social studies, math, science and English at 30 public and private middle schools in Seoul. And 396 teachers'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major results through analysis are as follows : First, it is found that the degree of teachers' understanding on school curriculum is lower than that of concern, and the degree of their participation in school curriculum is much lower than that of understanding. Teachers regard the enlargement of their own intepretation and modification of National Curriculum as the most significant change after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school curriculum. However, about half of teachers do not recognize the change after school curriculum operation. Second, most of the teachers recognized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is mainly used for making an annual lesson plan. However, above 1/3 teachers have a view that it is not necessary for teachers to refer to the document. The majority of teachers make a plan for instruction in their own way, but only about half of them use the lesson plan in the process of instruction. Most of the teachers don't think that they have enough capacity for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And they consider that teachers' interpretation and modific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has affirmative effect on the aspect of teaching-learning process. Third, the range of teachers' modification of the curriculum can be devided into these catagories : teaching without any deletion, deleting contents in a textbook, adding extra contents outside of a textbook, deepening and supplementing contents in a textbook by utilizing teach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the topics or the area of knowledge, most of the teachers rearrange time allocated to each topic but they hardly adjust the sequence of the sphere of contents. Teachers consider students' learning ability more than any other factor. The majority of teachers make use of teaching materials, but they merely use the ready-made materials without their own device. Fourth, departmental staff meetings are proceeded mainly on the management of evaluation or tasks except instruction rather than on conference or deliberation on curriculum or teaching methods. It is indicated that the major impeding factor related to teachers' own interpretation performance is over-burden tasks on teachers. According to what was discussed above, what is required in order to promote teachers' own interpretation are as follows : an efficient operation of staff meetings, reduction of teachers' over-burden tasks, positive administrative support for individual schools, various and actual in-service programs for teachers and development of various evaluation methods. More important thing than what is mentioned above, is teachers' own efforts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professionalism. And teachers need to recognize their roles as a interpreter and as a researcher of curriculu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학교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 = 5 1. 교육과정 개념의 수준별 구분 = 5 2. 학교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 = 9 3.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에서의 단위학교의 역할 = 15 B. 교사수준에서의 교육과정 각론의 재구성 = 17 1. 교육과정 개발에서의 교사의 역할 = 17 2. 각론 재구성의 개념 및 의의 = 21 3. 적합성의 제고를 위한 각론 재구성의 준거 및 고려사항 = 24 Ⅲ. 연구의 방법 = 27 A. 조사 대상 = 27 B. 조사 도구 = 28 C. 조사 방법 = 30 D. 자료 처리 = 31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32 A.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32 1.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정도·이해정도 및 참여정도 = 32 2.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서의 교사의 역할 = 34 3.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이 학교 현장에 가져온 변화 = 35 B. 교육과정 각론 재구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36 1. 교과별 교육과정 문서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 36 2. 수업준비와 학습지도안 작성 = 37 3. 교육내용과 수업방법에 대한 관점 및 견해 = 42 4. 각론 재구성을 위한 교사 자신의 역할 수행 능력에 대한 인식 = 45 5. 각론 재구성의 효과성에 대한 인식 = 46 C. 교사 수준에서의 교육과정 각론 재구성의 실태 = 48 1. 각론 재구성의 범위 및 방법 = 48 2. 각론 재구성시 고려사항 = 57 3. 교과서 이외의 교수·학습자료의 활용실태 = 61 D. 각론 재구성에 관련된 기타 요인 = 67 1. 교과 협의 실태 = 67 2. 각론 재구성의 제약요인 = 69 3. 각론 재구성의 활성화 요인 = 70 E. 연구결과 논의 = 71 Ⅴ. 요약 및 결론 = 77 A. 요약 = 77 B. 결론 = 81 참고문헌 = 84 부록 = 88 ABSTRACT =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3536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교사수준-
dc.subject교육과정 재구성-
dc.subject서울시내-
dc.subject중학교-
dc.title교사수준에서의 교육과정 재구성의 실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시내 중학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modes of teachers' interpretation and modific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at instructional level-
dc.format.pageix, 104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dc.date.awarded199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