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9 Download: 0

사회교육 담당자의 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의 관계

Title
사회교육 담당자의 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peciality Recognition and Role Performance of Social Education Operators
Authors
이주연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행정분야
Keywords
사회교육담당자전문성역할수행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교육 담당자들의 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의 정도를 측정하고, 교육 담당자의 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사회교육 담당자의 전문화 방안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살펴 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교육 담당자의 전문성과 역할을 살펴보고,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교육 담당자의 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마련하였다. 조사연구에서는 서울시내 일반사회단체의 사회교육 기관에 근무하는 교육 담당자를 대상으로 질문조사를 실시하고 통계분석을 통해 전문성 인식과 역할수행의 정도와 그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교육 담당자의 전문성 인식은 높은 편으로 특히 전문지식과 기술중시의 영역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개인 배경별 특성 가운데 연령, 학력, 근무년수, 전공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연령이 많을 때, 학력이 높을 때, 사범계의 전공에서, 근무년수가 많을 때 전문성 인식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교육 담당자들이 인식하는 역할수행은 비교적 높은 편으로 역할수행 하위영역간 차이가 별로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개인 배경별 특성 가운데서는 연령과 근무년수만이 역할수행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연령과 근무년수가 많을 때 역할수행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째, 사회교육 담당자의 전문성 인식은 역할수행과 상관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는데 역할수행은 전문성 인식과 .463의 상관계수를 가진다. 즉, 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은 사람은 전문성 인식이 낮은 사람보다 상대적으로 역할수행 정도가 높다. 네째, 전문성 인식의 하위영역과 역할수행과의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 본 결과 전문성 인식의 하위영역의 역할수행에 대한 설명력은 28.2%이며 전문 성인식의 하위영역 가운데서는 전문직의 권위중시가 역할수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일에 대한 사명감, 외부로부터의 평가수용 그리고 전문지식과 기술중시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his study measures the specialty recognition and the role performance degree of the social education operators, and have a purpose to get basic materials to specialize the social education operator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cialty recognition and role performance degree of the social education operators. For this, I went on document study and survey at the same time. In document study, I looked on specialty and role of the social education operators and prepared theoretical frame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cialty recognition and role performance. In survey, I researched the people who work in the Social Education Institute in Seoul and performed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 1. Social education operator's specialty recognition is very high, especially in the field of special knowledge and technique and showed valid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age, academic backgrounds , years in the job and major. When they are old and when they have high academic background and education college and old experience, their degree of specialty recognition is high. 2. Social education operator's role performance is rather high and there were not much differences between subordinate fields of role performance. Only age and years showed a valid difference in the role performance. The more the age and years, the better the role performance. 3. Social education operator's specialty recognition has a correlation to the role performance. There is .463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role performance and the specialty recognition. That means if they have high degree of specialty recognition, they have relatively high role performance rather than the people who are low leveled in specialty recogni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