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柳京華-
dc.creator柳京華-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9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9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5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9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558-
dc.description.abstract사회과는 오늘날과 같은 민주사회를 지향함에 있어 매우 근본적이고 중요한 과목이다. 그러나 중핵 교과로서 사회과가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해 왔는가라는 물음에는 반성의 소리가 높다. 그 원인으로서 특히 사회과 평가의 잘못이 크다는 주장이 많다. 사회과에 있어서 평가는 교수-학습 과정에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사회과 교육의 목표를 실현하는데 있어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초·중·고 사회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사회과 교육평가의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사회과 평가의 개선에 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서울지역에 소재 하는 국민학교 8개교, 중등학교 14개교, 고등학교 13개교의 사회과 교사를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 조사의 내용으로서는 사회과 평가제도, 평가방법, 평가영역 및 평가문항, 평가 종류, 평가 개선의 문제를 질문하였다. 설문지의 자료처리는 통계 패키지인 SAS을 이용하여 각 문항별로 빈도 및 백분율을 구했고, χ^(2)검증을 실시하여 교사의 배경 변인(성별, 연령, 학교급, 교직경력)별 유의도를 판정·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평가제도에 대해 사회과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견해를 보이고 있으며, 사회과 평가제도외 문제로 입시위주의 평가가 지배적이라는 점과, 사회과 교육의 목표인 민주 시민의 양성을 위해 평가 방법이 잘못 되었다는 지적이 많았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수업 방법의 개선에 영향을 미쳤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정의적 영역에 대한 평가와 현실생활의 기능에 관련된 내용이 평가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둘째, 평가방법 및 평가 형태에 대한 분석 결과, 평가 형태는 절대 평가를 가장 많이 실시하고 있었으며. 평가 방법 중에서는 자필 고사에 비중을 가장 많이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가 영역 및 평가 문항에 관한 실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가 영역에 대한 비중은 탐구 능력, 비판적 사고력, 가치 탐구력, 사회과학적 지식, 의사결정력 순으로 나왔다. 그러나 차이는 별로 보이지 않고 있으며 대부분 각 영역을 중시여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가 문항에 대한 사회과 교사들의 선호도를 살펴본 결과 선다형에 가장 많은 비중을 두고 있었으며, 그 다음이 단답형, 서술형, 완성형, 배합형, 그리고 진위형의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평가 유형에 대한 분석 결과 진단 평가는 평균적으로 대단원 도입시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형성평가는 대단원이 끝난 후나 중단원이 끝난 후에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결과의 활용도는 낮아서 학습자 개별지도, 교수-학습 개선에 별로 사용되지 않고 있었다. 다섯째, 사회과 교육 평가의 개선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을 분석한 결과 평가제도의 개선의 선행 조건으로 점수 위주의 사회적 가치관 변화, 입시제도의 개편이 가장 많이 지적되었고, 개선방향을 정의적 측면의 교육과 평가의 도입, 암기 위주 교육의 개선과 평가 방법 개선에 관한 의견이 가장 많았다. 그러나 개선 정도는 혁신적이기보다는 교육 환경 여건의 개선과 함께 점차적으로 이루어지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볼 때 사회과 교사들은 사회과 교육 평가에 부정적인 견해를 보이고 있으며 개선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특히 변인별로는 학교급에 따라 차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사회과 평가의 기본 방향을 정립하고 그것을 구체화시킬 수 있는 평가 모형이 개발되어야 하며, 다양한 평가도구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평가 방법을 접할 수 있는 연수와 강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하며 교사의 평가 자율성을 제도적으로 인정하여 사회과 교육 평가의 본질을 실현해야 할 것이다.;Nowadays, social studies is a very fundamental and important subject in educating the people of a democratic society. However, many researches have shown that social studies have not played the right role in their education. One of the important reason for this problem is that the evaluation system of Social Studies has not been developed correctly. The evaluation system influences not only the teaching-laming process, but also the realization of the subject's education goal. This thesis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the education evaluation system in social studies. The investigation was done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the teachers in 8 elementary schools, 14 middle schools, and 13 high schools, all sited in Seoul. The questionaires contained questions regarding the evaluation problems of Social Studies such as evaluation systems, methods, territories, types, classes,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From the collected data, we obtained the average frequency and percentage for each question by using SA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statistical package. Also, the degree of significance was obtained for the environmental variables of the teachers by the J-test. The analyzed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to evaluation system, the teachers showed negative responses because the system had been oriented towards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However, it was shown that the current university learning-ability examination had affected teaching methods in a positive way. The teachers also hoped that the affective domain and functional view-points be emphasized more strongly. Second, the absolute evaluation method was most widely used as the evaluation form. Also the paper-and-pen-test was widely used as the evaluation method. Third, evaluation territories were emphasized in the following order: investigation ability, critical thought ability, value study ability, the knowledge of social science, and decision making ability. For question forms, selection-type questions were most widely used. The other types were emphasized in the following order. simple-response-type, description-type, completion-type, matching-type, and true-false-type. Fourth, as to evaluation classes, the analysis showed that a diagnostic evaluation was taken at the beginning of each section of the subject. Also, a formative evaluation was However, the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 evaluation results were not used effectively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the individual guidance for students. taken at the end of each section or each chapter. Finally, as to evaluation improvements, the analysis showed that improvements should be aimed at introducing affective education and evaluation and enhancing the existing memory-oriented educations. Also, the analysis showed that as prerequisite conditions ?or the improvements, we should fit change the grade-oriented social view-points and improve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However, the teachers preferred a progressive enhance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s rather than drastic change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teachers were not satisfied with the present evaluation situation and they stated that enhancements should be made to the current system. Thus, we should develop evaluation models which can set up the fundamental directions of evaluation in Social Studies. Also, we should develop various evaluation tools to realize such evaluation models. Such evaluation models should be distributed to my teachers by providing them with opportunity of studying and training. Finally, freedom should be given to teachers so that they can choose from such diverse evaluation model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사회과의 특성 및 사회과 평가 = 4 B. 사회과 평가의 원리 및 기준 = 7 C. 사회과 교육 목표의 분류 및 평가 영역 = 14 D. 사회과 평가의 종류 = 19 E. 사회과의 평가 방법 = 22 Ⅲ. 연구방법 = 28 A. 연구 대상 = 28 B. 조사도구 = 29 C. 조사 실시 및 자료처리 = 29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31 A. 사회과 교육 평가 제도 = 31 B. 평가 방법 = 41 C. 평가 영역 및 평가 문항 = 58 D. 평가 종류 = 71 E. 평가 개선 = 77 Ⅴ. 결론 = 82 참고문헌 = 86 부록 = 91 ABSTRACT =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2171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사회과-
dc.subject교육평가-
dc.subject서울특별시-
dc.subject초.중.고-
dc.subject사회과 교사-
dc.title사회과에서의 교육 평가 실태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특별시 초.중.고 사회과 교사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Education Evaluation System in Social Studies-
dc.format.pagevi, 10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일반사회교육분야-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