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윤경-
dc.creator조윤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5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251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9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5153-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독서교육의 정상화를 위해서 '독서' 교과를 적극적으로 현장 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독서' 교과서에 수록된 글을 중심으로 수업 모형을 제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학생들의 자유로운 사고, 창의적인 사고, 아름다운 정서를 길러줄 수 있는 독서교육이 구태의연한 시각을 벗어나지 못하여 형식적이며 실적위주의 차원에 머물러 있는 안타까운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을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6차 교육과정에 '독서' 교과를 설정하였지만 이 또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독서' 교과서를 적극 활용한 독서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한 발판을 마련한 데에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는 독서와 독서교육의 개념, 글의 해독과정, 독서교육의 원리, 독서능력 발달 단계, 독해 이론 등을 문헌연구를 통해 제시하였다.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도 병행하였는데, 서울 시내 인문계 고등학교 남학생과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많은 학생들이 독서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독서는 단순히 새로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이며, 더 큰 목표를 이루기 위한 과정으로서의 수단으로 간주하고 있었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독서율이 저조하게 나타났다. 독서를 하더라도 계획 없이 우발적으로 책을 읽으며, 빨리 읽으면서 여러번 읽는 독서습관을 형성하고 있었다. 또한, 대다수의 학생들이 책을 읽는 단계에 그쳐 독서후활동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고, 독서 감상 대회나 독서토론회 참가 경험이 대부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임교사의 권장으로 독서교육을 받는다고 응답한 학생이 많았고, 아직 많은 학생들이 독서교육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를 통해 나타난 독서교육의 실태를 통해 기존 독서교육의 한계와 문제점을 반성하였다. 교육행정상의 문제, 학교 현장에서의 한계, 사회풍토상의 한계를 반성해 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6차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독서'교과가 아직 제대로 운용되지 못하고 있음을 착안하여, '독서' 교과를 독서교육에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으로서 '독서' 교과서에 수록된 글을 중심으로 독서교육을 위한 수업 모형을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시곡(詩曲) 만들기, 빈칸 채우기를 통한 모방시 쓰기, 작품 속 인물에게 편지 쓰기, 친구에게 책을 소개하는 편지 쓰기, 소설의 속편 써 보기 등의 다양한 형태의 독서감상문 쓰기, 독서감상화 그리기, 문장의 중요도 구분하기 등을 중심으로 한 독서교육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수업 모형 연구는 학생들의 문학 작품에 대한 거리감을 좁히고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는 점, 하나의 작품에 직접 몰입함으로써 작품 이해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점,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수업 모형 절차에 따라 수업을 진행해 나감으로써 계획 없이 독서를 하는 현 독서교육의 문제를 개선시킬 수 있다는 점, 학생 스스로가 모둠 토의나 모둠 창작 활동을 통해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현 독서교육의 한계로 제시된 입시위주의 주입식 교육에서 탈피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수 있다. 결국, 다양한 수업 모형의 연구는 학습자의 독서 동기를 유발시켜 독서습관을 형성해 줄 뿐 아니라 체계적인 독서교육을 실현시키는 발판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기존의 독서교육에서 탈피하여 독서교육의 정상화를 꾀하는 것은 학습자에게 자유롭고 창의적인 사고를 길러주는 것이며, 아름다운 정서를 심어주는 전인 교육의 기능을 다하는 것이다.;This thesis puts emphasis on suggesting class models on the basis of the writings in the text books on the purpose of searching for the method of applying the 'reading' text to the real class areas. It is regretable that the readmg education which should help students improve their original process of thinking, beautiful emotion and liberal thought etc remains as it was and inclines toward the formalism. It reality, the 'reading' text is not used effectively in the real education field, though it is set up in the sixth education curriculum on the effort of improving this situation. Thus this thesis places meanings in making a stepping stone for reading education by using the 'reading' text actively.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is suggested by the documentary research on the concept of reading and reading education, decoding process, the principle of the reading education, developing stage of reading ability, and the principle of reading comprehension etc. Investigation through questionnaire was run parallel with male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high school in Seoul as an object of this study.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through questionnaire shows that a great many students don't perceive the importance of reading and that they regard reading only as a way of obtaining new informations and of achieving the greater purpose. As a result, the rate of reading is usually very low. Many students have bad habits of reading by reading fast and many times without any previous reading plans even if they read books. In addition to that, most of students stay just in the reading stage without extending toward post reading activity and have no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Reading Appreciation Meeting or the Reading Discussion Meeting. A large number of students answered that they take reading education through class teacher' recommendation in the questionnaire and many of them aren't aware of the necessity of reading education. We have a time to reflect on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established reading education in terms of the reality of reading education through this questionnaire. In this thesis, the problems in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the limitations of reading education in the real school area sociocultural limitations were reflected and tried to find a way of overcoming these problems. This study suggested the class model focusing on the writings in 'Reading' text as a way of using the reading text effectively in the reading education, and various kinds of models focusing on writing reading appreciation drawing reading appreciation, and classifying the degree of the importance between sentences etc making poetic drama, composing imitation poem by filling out the blank, writing letters to the characters in boots, writing letters to introduce books to friends and a sequel of a novel, etc. Above mentioned class model study is meaningful in the aspect of drawing interest and motivation and helping students access to literature easily, maximizing comprehension of literature by involving students in the literature directly, improving non-plan current reading education by performing class in accordance with the systematic and organized class-model- procedure and showing possibility that students can be avoided from the cramming system education suggested as a limitation of current reading education by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through discussion, writing activities. Consequently, various class model study plays a basic role not only in making reading habit by stimulating students' reading motivation but also in realizing systematic reading education. Normalizing reading education by avoiding the current reading education is to cultivate students' liberal and original minds and to perform the functions of human education cultivating beautiful emo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論文槪要 = ⅴ Ⅰ. 緖論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대상 및 방범 = 3 C. 선행 연구 고찰 = 5 Ⅱ. 이론적 배경 = 10 A. 독서의 개념 이해와 해독 과정 = 10 B. 독서교육과 독서교육지도 = 14 C. 독서능력의 발달 단계와 독해 이론 = 16 Ⅲ. 독서교육의 실태와 중요성 = 28 A.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독서교육의 실태 분석 = 28 B. 실태분석을 통한 독서교육의 중요성 인식 = 46 Ⅳ. 독서 교과서 분석과 효과적인 활용 방안 = 53 A. 독서 교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 = 53 B. 독서교육을 위한 독서 교과서 활용 방안 = 60 Ⅴ. 結論 = 87 參考文獻 = 90 附錄 = 93 Abstract = 9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112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독서교육-
dc.subject독서교과-
dc.subject고등학교-
dc.subject국어교육-
dc.title독서교육의 실태와 독서교과 활용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고등학교 '독서'교육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reading guidance tendency and the study on a plan of efficient reading guidance by reading textbook : contentrating on reading guidance in high school-
dc.format.pagevi, 10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