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노명희-
dc.creator노명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2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1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9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152-
dc.description.abstract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를 인식하여 잠재적인 가능성을 개발하고 자아 실현과 동시에 생산적인 사회 구성원으로서, 행복할 개인으로서 성장 발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육 활동이 진로 교육이다. 이러한 진로 교육이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가장 시급히 요청되고 있음을 밝히고 진로 교육 실시에 따르는 문제점들을 고찰하여 그 개선 방안을 찾는 데 본 연구 논문의 목적이 있다. 연구 내용은 문헌 연구와 조사 연구를 병행하였으며 진로 인식 정도를 자기 이해, 진로 인식, 직업과 대학의 세계에 대한 이해, 의사 결정 수준을 영역별로 나누어 분석하고 진로 교육 실시의 문제점 및 개선점을 알아 보기 위해 서울 시내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회수된 것은 448부였고 자료 처리한 부수는 410부이며 통계처리는 .05의 수준에서 x^(2) 검증을 하였고 학년별, 지역별, 성별에 따라 비교하였다. 이상에서 시행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학 동기 분석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은 대학 진학이 목적인 반면 실제로 대학에 진학 가능한 학생수는 과반수를 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 바, 현실적으로 비진학 학생들 및 진학 학생들에게도 올바른 진로 준비 및 탐색을 위한 진로 교육이 시급한 상황이다. 둘째, 자기 이해의 영역에서 자신의 적성과 소질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반면 그 과정과 방법에서는 체계적이고 적절한 진로 지도를 학교로부터 받고 있지 못하다는 점들이 나타났다. 셋째, 진로 의식 상황 중에서 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 거리는 성적 문제와 진로 문제로 꼽아지며 학생들의 갈등 상황과 함께 단계별 진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기적으로 학생들이 진로 선택 과정상 이미 안정 상태에 들어야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고민·갈등 상황에 있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이다. 넷째, 직업 세계 및 대학에 대한 이해의 영역에서 직업 세계에 대한 정보를 접할 수 있는 기회와 수단이 대단히 부족하며, 이해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직업 분화의 빠른 변화에 대응하여 이에 맞는 정보망을 구축하고 학생들에게 보급시켜 이들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선택의 기회를 넓혀주어야 한다. 다섯째, 진로 의사 결정 수준에서 진로 계획 수립 과정에 있어서 학교에서의 진로 교육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항목에 전체 학생의 70%가 응답하므로써 학생들의 진로 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얼마나 큰 것인지를 알 수 있었다. 여섯째, 현행 중·고등학교 교육 체제 안에서는 학생 개개인의 소질과 적성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으며, 교과 과정 또한 획일적이며, 대학 진학이 아닌 다른 길을 모색할 수 있는 제도적 가능성이 희박하고 사회적 차원에서도 학력위주의 풍토 조성으로 자유로운 진로 선택에 장애가 되고 있다. 따라서 하루 빨리 제반 환경 여건이 변화·조성되어져야 할 것이다. 끝으로 이를 위해서는 정부 차원에서의 적극적 관심과 행·재정의 지원이 있어야 하며 이는 국민 개개인의 참다운 생의 성취와 함께 국가적 이익을 도모하는 결과가 될 것이다. 그리고 사회·가정·학교가 서로 협력 체제를 구축해나가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oblems on performing Career Education at high school and to emphasize necessity of it. The contents of the study to achieve these goals are as follows. Fist, theories on Career Education are reviewed by literature research, those are career developmental theories constructed with trait and factor approaches, decision sociological emphases, pschological emphases and developmental emphases and American models of career education- models of U. S. Offices of Education, school based comprehensive model and Oregon model for standing the objects and contents of Career Education at high school. Next, analysis on statistical data obtained by survey that was carried out to 410 students in Seou, which are consisted to examine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levels and opinions are problems on performing Career Education. The following is the outcome of research conducted by analizing as above. Fist, high school students have high degree of self-comprehension, mainly in accordance with other methods except services of school, that is they are not benefited from school. Second, on territory of cognition faculty about Career Education students are showed their conflicts and trobles in choice of future highly. On the other hand school doesn't offer the sufficient opportunities of guidance. Third, students didn't have a lot of knowledge about jobs and subjects of university curriculum. Information extension should be maded as soon as possible. Fourth, on territory of decision making level students hope the guidance of school, that is to say, Career Education is very indispensable program for high school stage. Lastly, about the point at issue of performing the Career Education students think that secondary education system and school curriculums will be various and request that they can have lots of opportunity selection about their fu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I can propose several recommendations as follows. When school, society and home should work together for Career Education, Career Education at high school will obtai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 1 B. 연구 내용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진로 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 5 B. 진로 발달 이론 = 12 C. 진로 교육의 모형 및 단계 = 18 D. 진로교육의 목표 = 28 E. 진로 교육의 내용 및 영역 = 30 Ⅲ. 연구의 방법 = 36 A. 연구 대상 = 36 B. 조사 도구 = 37 C. 자료 처리 = 38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39 A. 고등학교 입악동기 분석 = 39 B. 진로인식 정도 분석 = 42 C. 진로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점 = 61 Ⅴ. 요약 및 결론 = 71 참고문헌 = 74 부록 = 78 영문초록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973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교육행정-
dc.title인문계 고등학교의 진로 교육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199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