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4 Download: 0

학급사회의 外顯的 指導者와 潛在的 指導者의 특성비교

Title
학급사회의 外顯的 指導者와 潛在的 指導者의 특성비교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VEALED" AND "POTENTIAL" LEADERS IN CLASS-SOCIETY
Authors
김은경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심리분야
Keywords
학급사회외현적 지도자잠재적 지도자교육심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학급사회에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비공식적 지위를 지닌 잠재적 지도자 집단을 판정하여 학급사회의 외현적 지도자인 학급간부와 비교·분석함으로서 지도자의 자질향상 및 학급활동의 효율적 운영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현적 지도자 집단과 잠재적 지도자 집단의 특징사이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을 것인가? 둘째, 각 특징들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 남녀 공립중학교 2학년756명을 대상으로 사회성 측정검사를 실시하여 잠재적 지도자 90명을 선정하였고 학급간부 33명을 외현적 지도자로 선정하였다. 그 두 집단에 신상에 관한 사항, 가정분위기, 신체적 특성, 지적 특성, 자아개념등을 조사하여 통계처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출생순위를 살피면 외현적 지도자 집단이 잠재적 지도자집단보다 장자(長子)가 많다. 부친의 직업은 두 집단간에 의미있는 차가 없다, 가정분위기를 비교한 결과, 가정의 물리적 환경만이 외현적 지도자 집단이 잠재적 지도자 집단보다 좋다는 의미있는 차를 보였다. 신체적 특성은 잠재적 지도자가 외현적 지도자보다 우월하다는 의미있는 차를 보이고 있다. 학업성취도와 지능은 외현적 지도자 집단이 잠재적 지도자 집단보다 높다. 자아개념을 비교한 결과 잠재적 지도자 집단이 외현적 집단보다 자아행동과 사회적 자아가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남자 집단의 차이에서 기인되는 것이다. 남녀비교 결과, 외현적 지도자 집단은 가정의 물리적 환경과 지능과 자아개념의 요인중 총자아긍정, 자아동일성, 자아행동, 성격적 자아가 남자보다 여자가 좋다는 의미있는 차를 나타냈다. 외현적 지도자 집단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낸 요인이 없다. 잠재적 지도자 집단은 남자가 여자보다 가정의 물리적 환경이 좋다는것외에는 의미있는 차를 보이지 않고 있다. 특징들간의 상관관계 비교 결과, 자아개념과 지적특성은 서로 상관이 없거나 낮은 상관을 보이고 있다. 성적과 지능은 중위상관을 보이고 있다. 자아개념의 대표값인 총자아긍정과 중위상관을 이루는 변인으로 전체집단은 부모와의 관계가 있으며 외현적 지도자 집단은 가정의 물리적 환경과 신체적 특성이 잠재적 지도자 집단은 부모와의 관계가 있다. 이와같은 결과에 의해 외현적 지도자 집단과 잠재적 지도자 집단을 구분짓는 특징으로 출생순위, 가정분위기의 요인중 가정의 물리적 환경, 신체적 특성, 지적 특성, 자아개념의 변인중 자아행동과 사회적 자아등을 들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various factors which characterize the revealed leader and the potential leader. Some issues which is to be analyzed are as follows: First - Are the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vealed leader and those of the potential leader? Second -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two factors among all the factors in each leader group? And the factors include self-concepts, academic achievement, intellectual ability, home-atmospheres, physical characters birth order and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ather's occupation. After sociometrical-test was applied to 756 boys and girls from the second grade of 2 middle schools in seoul, 90 potential leaders and 33 revealed leaders were chosen. As for statistical analysis, t-tests were applied to the group means and variances to con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leader groups and the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are generated to measure the strength of relationship. The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the birth-order, the eldest son take larger share in the revealed leader than in the potential leader. 2. In the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ather's occupation,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In their home-atmosphere,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at the revealed leader have a better physical home circumstance than the potential leader. 4.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at the potential leader have a better physical characters. 5.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at the revealed leader have a higher score than the potential leader in intellectual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6. As a result of testing all factors of self-concepts, the potential leaders have a higher score than the revealed leader in self-behavior and social-self owing to the difference of those of the boy's leader. 7 The results of testing all factors between girl's leader groups and boy's leader groups are as follows: in the revealed leader,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at girl's group have a higher score than boy's group in total self-affirmation, self-identity, self-behavior and characteristic-self of all the self-concepts, in physical-home circumstance and in intellectual ability. And in all factors,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at boy's group have a higher score than girl's group. In the potential leader,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boy's group have a higher score than girl's group in physical-home circumstance of all factors. 8.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showed no correlation or law correlation betwee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self-concepts, and showed the same result between the intellectual ability and the self-concepts. There is medium correlation betwee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intellectual ability, and there is medium correlation between total self-affirmation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in the total leader; and the same result between total self-affirmation and physical-home circumstance, between total self-affirmation and physical caracters in the revealed leader; and the same result between total self-affirmation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in the potential leader. In conclusion, the birth order, physical-home aircumstance of the home-atmosphere, physical character, intellectual ability, self-behavior and social-self of the self-concepts were proved to be the factors which discriminates between the potential leader and the revealed lead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