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張福子-
dc.creator張福子-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7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4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8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462-
dc.description.abstract1981년 12월31일 교육과정이 개편됨에 따라 제4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작문학습영역이 강화되었고 비중이 커졌다. 그러나 오히려 작문은 타 학습영역에 비해 미흡하게 취급된 감이 없지 않으며, 학생들도 어렵게 느끼는 경향이 있다. 더우기 학교에서 실시되는 국어과 학습은 입시 위주로 이뤄지고 있으며 독해와 문법에 치중되므로 작문교육은 더욱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문헌 연구와 설문 조사를 통하여 학교에서 실시되는 작문교육의 효율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려고 했다. Ⅱ장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작문교육의 개념과 의의, 교육목적과 지도내용을 밝히고 아울러 교과목표와 지도내용 등의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또 Ⅲ장에서는 설문 조사를 거처 학생 및 교사의 작문교육에 대한 인식도, 작문학습의 실태등을 분석했다. 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하는 중학교 국어과 교사 및 중학교 2·3학년 남녀 학생이었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생·교사 모두가 작문을 중요한 학습영역으로 인식하고는 있으나 구체적인 학습목표에 대한 이해는 부족한 편이었다. 또한 실제로 작문학습이 잘 실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원인은 국어과의 학습분량이 과중하게 책정되어 있으므로 수업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지적되었다. 둘째, 학습참고자료가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특히 교사의 경우에는 작문을 거의 교사용 지도서에만 의존하는 형편이므로 참고자료를 시급히 개발할 필요가 있다. 세째, 교과서 작문단원 내용이 체계적이지 못하다는 공통된 의견이 제기되었다. 타 학습영역과의 관련성 내지 학년 간의 연계가 부족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요청된다고 하겠다. 넷째, 현행 교육과정의 내용이 추상적이므로 실제 지도에 도움을 주기 어렵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따라서 작문을 효율적으로 지도하려면 교육과정의 문안과 지도지침을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히 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 되었다. 다섯째, 교사들은 교재 연구뿐 아니라, 실제 지도와 평가·점검 등에 있어서도 성의를 기울어야 할 것이라고 보여진다. 여섯째, 객관적인 평가기준이 연구되어야만 지도에 실효를 거둘 수 있다고 본다. 더불어 입시 위주의 수업방식을 지양하고 창의적이고 자율적인 학습으로 개선시켜야 하며, 이를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요청된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국어과 작문학습은 매우 부진한 상태에 머물고 있으며, 위에서 제기된 여러가지 문제점을 개선함으로써 작문학습의 방법을 바꿔가야 할 것이다. 결국 수동적인 학습 형태를 극복하고 자유롭게 사고하고 표현할 수 있는 작문교육의 토대를 조성해감에 따라서 교육의 궁극적 목적인 인격 형성에까지 도달하게 될 것이다.;The area of composition learning was enforced and the teaching method was substantiated in the new Korean curriculum in 1984. But it seems that the composition is more neglected than the other area and the students are apt to think it difficult. Besides, the composition education has more difficulties because the current Korean class which is proceeding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puts value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and the grammar. Therefore, in this study I try to find the way for the efficient composition education by means of literature and questionaire. In chapter 2, the conceipt and the significance, and the purpose and the teaching contents of composition education are suggested,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such as the aim of subject and the teaching contents are presented by means of literature. In chapter 3, how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recognize the composition education, an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omposition teaching and learning are analyzed. The objects are Korean teachers and second-year and third-year boys and girls in the middle schools in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students and teachers recognize the composition to be an important learning area, but they rather deficient understanding of the concrete aim of learning. And actually the composition learning is hardly practised because time is lacking on account of excessive quantity of Korean learning. Second, the learning reference materials are very insufficient. Specially as for the teachers, they almost depend on the teacher's guide, so the development of the reference materials is urgently required. Third, the general opinion that the contents of composition unit in the text are not systematic is brought up. It is lacking the relation with the other area and the sequece between grades, so the improvement of this is required. Fourth, the contents of current curriculum are to oabstract. In order to teach composition efficiently the curriculum should be concrete, and definite guiding principle of teaching should be suggested. Fifth, teachers should devote themselves not only to text study but also to teaching, evaluation, checking. Sixth, more objective criterion of evaluation can make actual teaching efficient actually. Moreover, the creative and autonomous learning should be attained out of the class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and the improvement of system which supports that are necessary. From the results above, Korean composition learning is in much deficient condition, and by improving many problems suggested above, the constitution of composition education should be reformed. Consequently, according to sublating the passive learning style and creating the pedestal of composition education with makes students think and express freely, the character building that is the ultimate purpose of education can be attain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과 연구 대상 = 2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작문교육의 개념과 의의 = 5 B. 작문교육의 목적 = 7 C. 작문교육의 내용 = 9 D. 현행 중학교 국어과 작문교육 목표와 지도내용 = 17 Ⅲ. 현행 중학교 작문교육 실태 분석 = 21 A. 학생의 작문학습 실태 = 21 B. 교사의 작문지도 실태 = 41 C. 실태 종합 및 문제점 분석 = 53 Ⅳ. 결론 및 제언 = 58 참고문헌 = 62 부록 = 65 ABSTRACT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999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학교-
dc.subject작문교육-
dc.subject실태분석-
dc.subject어학교육-
dc.title중학교 작문교육 실태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tic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middle school composition education-
dc.format.page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dc.date.awarded198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