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7 Download: 0

중학교 사회과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지각

Title
중학교 사회과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지각
Other Titles
Teachers' Perceptions of Integrated Curriculm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Authors
金春希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행정분야
Keywords
중학교사회과통합교육과정교사지각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concept of this integrated curriculum, in essence, is that it help students develope their own opinion which is integral and help them unify their behavior patterns in relation to their experiences through gradual thinking process. Especially, it is important for the educators in junior high school who teach social studies to understand the concept and management of this integrated curriculum as the subject of social studies have tendency to partition the thinking process by segmented areas such as geography, world history, and sociology in general terms. This is the reason behind the renaming of the title to the "social studies" in 1984 to integrate the avenues of studies in society to better achieve the balance in learning. I attempted in this study to analyse the needs for the integrated curriculum through both the theories and approach to the historical changes of curriculum in social studies, and finally by conducting some questionnaires to teachers. 126 junior high school social studies teachers in the southern educational district of Seoul were chosen for the survey. The result of the survey is as follows. 1. Theachers opposed to the idea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thinking the curriculum is not helpful for the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2. Teachers are not familiar with the integrated curriculum, thus they lack the confidence and fell short on the expectation of the program. 3. Text books do not provide through information on social studies as indicated in their titles, but are edited for the sake of editing itself. The text books do not have the consistency, or correlation. 4. Teachers were not given any seminar or training on the integrated curriculum so far. The colleges still have the subject separated. 5. The foremost step to be taken in improving the social studies is to have curriculum and text book developed with the input by some teachers. Teachers must participate in revising the text book and curriculum schedule. The survey produced the following conclusion: 1. Certain training program must be given to teachers who themselves studied social studies in college under the separational system. 2. The text books need to be further revised. 3. The curriculum in college must be changed to accomodate integrated curriculum so that teachers can be better equipped with the concept. 4. Overall educational environment must be improved immediately. With the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process who are the front-runners of the education, the trial-and-error in fixing the curriculum for schools can be decreased.;근래에 와서 교육과정 분야에서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통합교육과정을 들 수 있는데, 통합교육과정의 관심은 학생들로 하여금 점진적으로 통합된 견해를 가지도록 도우며 여러 경험요소들과의 관계 속에서 그 행동을 통일하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영하는데 있다. 특히 중학교 사회는 교과성격상 지리, 세계사, 일반사회로 분과된 전문지식보다 이 내용을 통합하여 운영하는 것이 복잡한 사회문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취지로 교과내용이 「사회」로 통합되어 84년도부터 현장에서 시행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문헌을 통해 통합교육과정의 이론과 사회과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을 사회와 교육과정의 변천과 더불어 살펴본 후, 사회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현장의 실태를 진단함으로써 문제점을 파악하고 앞으로 사회과 통합교육과정운영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으로 서울시 남부교육구청 관내의 공립학교에 근무하는 사회과 교사 126명을 선정하고, 이들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현 통합교육과정에 대해 교사, 학생 모두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입장에서 반대하고 있다. 둘째, 통합된 교과내용의 수업에 대해 충분히 알지 못하며, 익숙하지 않고 자신감이 없으며 통합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교육여건속에 있다. 세째, 사회과의 통합교과서는 형식상 통합일 뿐이며, 교과내용의 일관성, 연계성이 없이 조직되어 있다. 네째, 통합교육과정에 대해 교사들에게 이것에 대비한 연수가 없었고 대학에서의 학제는 여전히 분과형으로 남아있다. 다섯째, 사회과 교육을 개선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편으로 나타났고, 보다 많은 일선 교사들이 교육과정 개편작업에 참여해야 한다는 것으로 그 반응을 요약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내용을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첫째 분과형교과 전공자들인 교사들에게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연수를 실시해야 하며 둘째 사회교과서는 통합의 원리에 맞게 재편되어야 한다. 세째, 교사양성의 원천적 터전인 대학의 학제부터가 통합되어 현장의 상황과 맞아야 하며 네째, 교육여건의 개선이 시급한 과제이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결정시에 일선의 교사들을 참여시켜 현장의 소리에 귀를 기울임으로써 일선에서 야기되는 시행착오를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