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정자-
dc.creator박정자-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2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97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87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97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부모교육 훈련 프로그램으로서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는 '10대의 자녀를 위한 적극적 부모역할훈련(Active Parenting of Teens: APT)'이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증진과,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 정도의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춘천시 교육청에 속한 '학생 상담 봉사자'들 중 10대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험집단 60명과 통제집단 30명으로 나누어 최근에 국내에서 보급된 Popkin의 APT훈련을 실행하였다. APT훈련이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어머니 또는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자녀 의사소통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APT 훈련의 사전·사후에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검사와, 부모용 부모-자녀 의사소통 검사를 실시하였고, 자녀에게는 자녀용 부모-자녀 의사소통 검사를 실시하였다. 총 10회에 걸쳐서 APT훈련을 실시하였고, 본 훈련 기간 중 결석 및 지각, 조퇴를 한 번도 하지 않고 성실히 참가한 실험집단 30명과, 통제집단 30명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 하였다. 이상의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PT훈련 이후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은 유의하게 증진되었다. 둘째 APT훈련 이후 어머니가 지각한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 정도는 유의하게 증진되었다. 셋째 APT훈련 이후 자녀가'지각한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 정도는 유의하게 증진되었다. 넷째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어머니가 지각한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 정도 사이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또한 어머니가 지각한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 정도와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 정도 사이에도 정적 상관이 있었다. 그리고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 정도 사이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지만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APT훈련은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증진과 어머니-자녀 의사 소통 정도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이 높아지면 어머니가 지각한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 정도가 높아지며, 어머니가 지각한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 정도가 높아질수록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 정도 역시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은 정적 상관이 있었지만 유의하지는 않았기 때문에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이 향상된다고 해서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자녀간 의사소통 정도가 반드시 높아진다고 할 수는 없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ctive Parenting of Teens(AIT)' training, which is considered to be a desirable parent educational training program, on the increase of mother's self-esteem and on the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mother child communication. To conduct this study, both an experimental group 60 and a controled group of 30 mothers of teens, who are volunteer consultants attached to Chuncheon Educational Institution, were given Popkin's APT training which recently came into wide use in Korea. To find out the effects of APT training on both mothers' self-esteem and the improvement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experiments on mothers' self-esteem, mothers' perception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and children's perception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have been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The experimental group of 60 mothers received 10 sessions of APT training in all and we analysed the findings of both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ed group composed of 30 mothers respectively who have faithfully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APT training. Second, the quality of mothers' perception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APT training. Third, the quality of children's perception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AFT training. Fourth,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in the increase in mothers' self-esteem and the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mothers' perception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and children's mothers' perception of self esteem increase. Although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increase in mothers' self esteem and the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children's perception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it was not significant. From these findings, we are able to conclude that APT training was effective on both mothers' self-esteem increase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In addition, as mothers' self-esteem increased, mothers' perception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improved and as mothers' perception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improved so did children's perception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Although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self-esteem increase and children's perception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the correlation was not significant. Even though mothers' self-esteem increased, we can not necessarily say that Children's perception of mother-child communication increas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부모교육 = 4 1. 부모교육의 역사와 정의 = 4 2. 10대의 자녀를 위한 적극적 부모역할(APT) = 14 B. 자아존중감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 19 1. 자아존중감 (Self-Esteem) = 19 2. 의사소통 (Communication) = 22 3.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 23 4. 자아존중감과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의 관계 = 25 Ⅲ. 연구방법 = 27 A. 연구대상 = 27 B. 연구기간 = 27 C. 실시방법 = 28 D. 측정도구 = 32 E. 자료처리 = 34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35 Ⅴ. 결론 및 논의 = 41 참고문헌 = 45 부록 = 52 ABSTRACT =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7729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부모역할-
dc.subjectAPT-
dc.subject훈련-
dc.subject어머니-
dc.subject자아존중감-
dc.subject자녀-
dc.title적극적 부모역할(APT)훈련이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자녀와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10대 자녀들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of APT Training on Mother's Self-Esteem and Mother-Child Communication-
dc.format.pagevii, 62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