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5 Download: 0

단위학교 경영체제에서 학교장의 역할 수행에 대한 교사들의 인지도 분석

Title
단위학교 경영체제에서 학교장의 역할 수행에 대한 교사들의 인지도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 for Principals Role on The School Based Management System
Authors
안경희
Issue Date
199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Keywords
단위학교경영체제학교장교사중등학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With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autonomy system need for management of autonomy and responsibility for unit school is advocated. Accordingly creativity, autonomy and accordingly in school management are demanded. In consequence schools of various levels came to have heightened interest on how to assure school management under the principle of responsibility through initiative of school community and as one of such alternatives school based management system came to be implemented. School based management system is a system where official authority is delegated to school principals extensively to assure autonomous management of school under the principle stressing prime importance of first line schools. Under such a system responsible management of schools suitable to reality of unit schools can be assured and effect of management be enhanced through participation to the management by people related to it directly or indirectly such as teachers, parents and important personalities in the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oles of school principals in connection with management of unit schools and status of its implementation from a standpoint that roles of school principals for encouraging autonomy in the field of operation of curricula, budget control and personnel management being considered as core part for unit school management are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o this end in this treatise this writer undertook study on the subject by canvassing relevant literature and conducting survey concurrently. Through studying relevant literature three main fields in unit school management namely, operation of curricula, budget control and personnel management are investigated and roles of school principals for encouraging autonomy and participation are examined. Through survey opinion of active teachers on role performance of school principals is canvassed. As specific method for conducting survey middle schools in Seoul and Kyonggi area which are subjected to this survey are divided into public and private schools. Then by application of stratified sampling method 600 questionnaires are distributed to these schools and of 467 questionnaires(77.8%) collected 64 questionnaires lacking reliability are eliminated and remaining ones are questionnaires lacking reliability are eliminated and remaining ones are subjected to t-test and ANOVA (Analysis of Variance) through application af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and difference among variances is identified. Result discovered through such analysis is as follows: In terms of role performance of school principals they are discovered as not performing their roles properly for encouraging operation of curricula, budget control and personnel management to enhance autonomy and participation. In particular in terms of nature of schools principals of private schools appeared to have lower level of role performance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in public schools in most of the field investigated. It was revealed that role performance of school principals scored lower rate by ordinary teachers than by seniors teachers. In reference to outcome of school principals' role performance in connection with encouraging autonomy in operation of curricula ordinarily such outcome took a form of running special activities but seldom any electives which can be freely chosen by the students are offered. As to level of encouraging participation school principals role in this connection was confined to delegating power for deciding speed and scope of teaching subject to discretion of responsible reachers depending on level and ability of students. The level of reflecting opinion of parents and community on school events and programs after class appeared to be ordinary but besides the above mentioned subjects rest of items appeared to be falling below a mean level. Principals of private schools appeared to have lower level of role performance in connection with their encouraging autonomy and participation. The level of school principals' strict control and oversight of expenditure and spending budget to prevent waste of budget and level of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on fiscal issues appeared to be in ordinary level. The level of encouraging participation by members of school organization to budget control appeared to be low in level nevertheless seldom any study programs are conducted to improve knowledge on fiscal field but there was very weak attempt in this direction by running programs under cooperation with community which require payment of fees. In reference to level of school principals encouraging autonomy and participation private school principals showed relatively lower level of encouraging such autonomy and participation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in public schools. In the field of personnel management in reference to outcome of school principals' role performance for encouraging autonomy ordinarily such outcome took a form of providing support for on the job training and research activities but seldom any invitation was extended to capable teachers required for establishing teachers' organization suitable to characteristics of schools. The level of encouraging participation appeared to be less than ordinary and in particular result of service evaluation was rarely disclosed. At the time of appointing senior teachers seldom any opinion of ordinary teachers was reflected. In connection with responses to difference variances it was peculiar that principals of public schools were more reluctant in disclosing result of service evaluation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in private schools. At the time of conducting training of active teachers opinion of teachers was not reflected. However in case of private schools level of encouraging participation to various personnel management problems through organizing school governance committee or in-house personnel management committee was very low. For realizing effective school based management there should be more delegation of power and autonomy to school principals legally and in terms of system and they should be made possible to perform their roles more positively for encouraging participation to school operation by parents, teachers, students and important personalities of the communities. Members of school organization should be encouraged to participate to various line organization or activities of committees with positive mental attitude, sense of joint responsibility and for democratization of school organization.;교육자치제 실시와 함께 학교 단위의 자율ㆍ책임 경영이 주장되고 있어 학교경영에 창의성과 자율성, 그리고 책무성을 함께 요구하게 되었다. 이에 각급 학교에서는 어떻게 하면 학교 공동체가 중심이 되어 책임 있는 경영을 좀 더 활성화할 수 있을까에 대하여 관심을 갖게 되었고 그 대안으로 단위학교 책임 경영제가 실시되었다. 단위학교 책임경영제는 현장 중심의 자율경영을 보장하기 위해 학교장에게 공식적인 권한을 대폭 이양함으로써 단위학교의 특성에 맞게 책임경영하도록 하고, 교육에 직ㆍ간접으로 관련되는 교사, 학부모, 지역 사회 인사들을 그 과정에 참여시킴으로써 경영의 효과성를 높이기 위한 제도이다. 따라서 단위학교 책임경영제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관련된 모든 사람들이 이 제도에 걸맞은 의식과 자질을 갖추어야 하는데 특히 학교장의 역할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단위학교 경영의 핵심 영역인 교육과정 운영, 예산관리, 인사관리의 세 영역에서 자율성을 증진하고 참여를 촉진하는 학교장의 역할 수행 정도를 조사해 보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단위학교 책임경영의 핵심영역인 교육과정 운영, 예산관리, 인사관리의 세 영역에 대해 알아보고, 단위학교 경영에서 요구되는 학교장의 역할로서 자율성 증진을 위한 학교장의 역할과 참여를 촉진하는 학교장의 역할에 대해 고찰하였다. 조사연구에서는 단위학교 경영체제하에서 학교장의 역할수행에 대한 현직교사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조사연구의 방법으로는 서울, 경기 지역의 중등학교를 공ㆍ사립으로 구분하고 학교를 추출하는 층화무선표집 방법으로 6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한 467부(77.8%) 중 신뢰성이 부족한 64부를 제외한 403부를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를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모든 문항은 빈도분석을 하고 설립별, 직급별, 경력별, 학력별로 의견 차이를 알아보았는데, x^(2)검증으로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자료분석을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단위학교 운영을 위한 학교장의 역할 수행에 있어서 교장은 교육과정 운영, 예산관리, 인사관리의 세 영역 모두에서 자율성 증진이나 참여를 촉진하지 못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설립별 반응에서는 거의 모든 영역에서 사립학교 교장들이 공립학교 교장들보다 역할 수행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급별 반응에서는 평교사 집단이 주임교사 집단보다 교장의 역할 수행 정도가 낮다고 반응하였다. 교육과정 운영 면에서 자율성 증진을 위한 학교장 역할 수행 정도에 대한 조사 결과는 학교의 특색을 반영할 수 있는 특별활동을 운영하는 정도가 보통이었으며, 학생들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선택과목이 거의 제공되지 않았다. 참여 촉진 면에서 학생의 수준과 능력에 따른 수업의 속도·범위 결정권을 교사에게 위임하는 정도, 학교행사나 방과후 프로그램 등의 활동에 학부모와 지역사회의 의견을 반영하는 정도는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그외의 사항은 보통 수준에 못 미치는 경향을 보였다. 설립 법인별로는 사립학교 교장들이 공립학교 교장들보다 자율성 증진,. 참여 촉진의 역할 수행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산관리 면에서 자율성 증진을 위한 학교장 역할 수행 정도에 대한 조사 결과는 학교장이 학교예산의 낭비를 막기 위해 예산 지출과 사용에 대한 엄격한 통제와 감독을 하는 정도와, 학교장이 재정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는 정도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예산관리 면에서 구성원의 참여를 고무하는 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재정에 관한 지식 습득을 위한 연수를 거의 실시하지 않고 있었으며, 지역사회와 연계한 유상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정도도 미약하게 나타났다. 설립 변인별로는·공립학교에 비해 사립학교 교장들의 자율성 증진 정도와 참여 촉진 정도가 상대적으로 더 낮게 나타났다. 인사관리 면에서 자율성 증진을 위한 학교장 역할 수행 정도에 대한 조사결과는 교사들의 전문적 성장을 위한 현직연수 및 연구활동의 지원 정도가 보통이었으며, 학교특색에 적합한 교사조직의 구성에 필요한 능력 있는 교사의 초빙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참여를 고무하는 정도는 보통 이하의 반응을 보였는데 특히 근무평정 결과는 거의 공개하지 않았으며, 주임교사 임명시 평교사의 의견을 잘 반영하지 않았다. 변인별 반응에서 특이한 결과는 공립학교 교장들이 사립하교 교장들보다도 근무평정 결과를 공개하지 않고, 현직 연수시 교사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았다. 사립학교의 경우는 학교운영위원회나 교내 인사위원회 등을 통해 제반 인사문제를 협의하여 구성원의 참여를 고무하는 정도가 아주 미약하였다. 효과적인 단위학교 경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교장에게 교육의 재량권과 자율권이 법적ㆍ제도적으로 충분히 부여되어야 하며, 학교장은 학부모, 교사, 학생, 지역사회 인사들이 학교운영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참여를 조장하고 촉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학교 구성원들도 적극적인 사고 속에서 공동 책임의식을 갖고 학교 조직의 민중화를 위해 각종 위원회 활동에 능동적이며,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