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향희-
dc.creator송향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2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244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7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4454-
dc.description.abstract연구수업은 교육활동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교수-학습에 있어서의 질적개선과 교육현장에서 부딪히는 문제점 발견 및 해결에 목적을 두고 실시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교육활동에 있어 교사의 전문적 성장과 학생들의 바람직한 학습활동의 발전을 도와, 교육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실시해 온 연구수업이 그 성과면에서 회의적인 비판을 받고 있음을 본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연구수업의 본래 의미를 회복하고 그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게 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의 필요성에서 출발되었다. 본 조사연구의 목적은 각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연구수업의 운영과 연구결과의 활용에 대한 실태 및 의견을 조사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연구수업의 보다 효율적인 운영 방안을 알아보고, 연구결과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있다. 연구의 내용으로는 연구수업의 개념, 목표, 절차, 연구수업 결과의 활용을 위한 평가반송(Feedback) 방안을 문헌연구를 통해 알아보았고 연구수업의 운영과 연구결과의 활용 실태, 그리고 활용 효과에 대한 교사들의 지각과 의견을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조사도구로 사용된 설문지는 대전직할시내의 20개교 교사 400명을 표집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처리는 백분율을 사용하여 분포를 파악하고 응답상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x^(2)검증을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간 운영계획에 의해 거의 모든 학교에서 실시하는 연구수업이 형식적인 교내 행사로 흐르고 있고 여전히 교사들의 기피대상이 되고 있다. 2. 수업참관을 위한 사전 준비의 미비, 형식적인 수업참관과 함께 현장 문제점 해결과 연구수업 결과의 일반화를 위한 협의가 결여된 연구협의회는 연구수업 본연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을 보여주고 있다. 3. 교수·학습 개선을 위해 연구내용과 결과, 연구수업 협의회에 의한 분석적 평가자료 및 연구수업의 연구결과의 처리가 평가반송(Feedback) 자료로 제공되고 활용되어야 하나, 비공개적이거나 형식적인 사무처리로만 끝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연구수업 결과가 일반 수업에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거나 발전적 연구로 나아가지 못하는 이유는 연구주제나 내용이 입시 등에 의한 사회, 환경적 여건과 현실에 맞지 않거나, 연구결과나 자료의 활용을 위한 정보전달 체계의 미흡과 행·재정적 지원의 결핍으로 애써 연구한 결과들이 확산 보급되지 못하고 사장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연구수업이 교사들에게는 교직생활과 교수방법을 반성하는 기회가 되어 다소 도움이 되었다고는 하나, 교수·학습 개선에는 실제적으로 큰 도움이 도지 못하고 있으며 학생들에게도 별 효과가 없다고 응답하여 연구수업이 교수·학습의 활동 개선을 위해 큰 성과를 거두고 있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평가반송(Feedback) 단계가 없는 계획이나 활동은 의미있게 발전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수업후 교사들이나 교내 수업 장학자로서의 학교장(교감)은 연구수업 결과의 활용 상태와 수업효과에 대해 대체로 방관적이어서 연구수업 활성화를 위한 관리로서의 평가반송(Feedback)이 결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수업상의 문제점과 취약점을 해소하여 연구수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려면, 우선 학교장, 동료교사, 학생, 교사 자신들의 협동적 노력을 통한 자율적이고 민주적인 제도적 장치를 보완하여 지속적인 평가반송(Feedback)이 이루어져야 하겠으며, 이를 위해서는 교사들의 연구수업과 교내수업 장학에 대한 부정적이고 소극적인 인식을 보다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쪽으로 바꾸어 자발적인 참여에 의한 연구풍토를 조성해야 한다. 또 교육정보와 교육기자재의 수집·보급등을 위한 교원센터 설치·운영 및 교육 방송의 활용과 각 대학 또는 지방의 도서관 개방등을 통해 연구의욕을 자극·고취시킬 수 있도록 행·재정적 지원이 교육재정 투자의 확대를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Much research has been performed to improve educational efficiency,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learning, to solve most educational problems, to bring out questions and to solve them in education. Instructional research helps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students' ideal learning action, and also it has been performed to maximize efficiency in educational process. However, in these days, instructional research is facing skeptical criticism in terms of its effectiveness. This study intends to seek ways to rediscover the original meaning of instructional research and to fulfill its purpose effe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current instructional research,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research finding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instructional research,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uses documentary research to discover the concept, goal, process of instructional research, and the feedback for application of instructional research findings. In addition, a questionnaire survey is used to uncover the performance of instructional research and teacher's perceptions and opinions about the effectiveness of application. A sampling of 400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data was analyzed using percentages to grasp the distribution, and x^(2) test to verify respondent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instructional research has been performed at most of the schools studied by an annual performance plan. It consists merely of intramural events and was found to be something the teachers tried to avoid. Second, it was found that proper preparation for inspection of instruction, formal inspection, and the research council were lacking in solving problems and this revealed that they did not conduct its function properly. Third, the content and result of research, and the data of analytical evaluation by the council should be presented and applied to feedback data. But actually its was found that in many cases it was nothing but an exclusive and formal business meeting.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reason the instructional research findings were not used properly in general instruction or did not proceed research was a disagreement between the topic or content of research and the social, environment condition and reality. Also the research finding serve hoarded owing to insufficient data transmission systems and deficient administrative, financial support systems. Fifth, it was found that instructional research failed to fulfill anticipated findings for the actual improvement of teaching-learning because it really did not serve to improve instructional research or to help the students either. Sixt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insufficient feedback as a matter of administration for the improvement on instructional research because the attitude of principals or vice-principals as school supervisors was that they generally saw themselves as spectators to the application and effectiveness of instructional research findings. Tentative suggestions to solve these instructional problems are as follows: 1.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field of education, not by teachers' negative, but by their affirmative, active and voluntary participation in instructional research. 2. Continual feedback with a self-controlled, democratic, and systematic device through fully coorperative efforts of students, the teacher himself, fellow teachers, and the principal is needed. 3. An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ystem(for example, the installation of teacher's centers to spread educational information and equipment, etc.)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the enlargement of investment in educational fina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연구 내용 = 4 D. 용어의 정의 = 5 E.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연구수업의 개념 = 7 B. 연구수업의 공개와 참관 = 16 E. 연구수업의 평가 및 결과처리 = 22 D. 연구수업 결과의 평가반송(Feedback)을 위한 방안 = 25 Ⅲ. 조사방법과 절차 = 34 A. 조사대상 = 34 B. 조사도구 = 34 C. 자료처리 = 35 Ⅳ. 조사결과의 분석 및 해석 = 36 A. 연구수업의 일반 운영 현황 = 36 B. 연구수업 후의 평가와 결과 처리 = 48 C. 연구수업의 효과와 연구결과 활용 = 58 D. 연구수업의 활성화 방안 = 62 Ⅴ. 요약과 결론 = 73 A. 요약 = 73 B. 결론 = 76 C. 제언 = 79 참고문헌 = 81 설문지 = 84 ABSTRACT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7608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등학교-
dc.subject연구수업-
dc.subject활성화-
dc.subject탐색-
dc.title중등학교 연구수업의 활성화를 위한 탐색-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Resarch on Educational Instruction-
dc.format.pageix, 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행정분야-
dc.date.awarded199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