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4 Download: 0

국어과 글짓기 영역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실태 분석

Title
국어과 글짓기 영역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실태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Education Curriculum of Korean Composition and Textbook : With elementary school Korean
Authors
박영란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Keywords
국어과글짓기 영역교육과정교과서 분석국민학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Since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has been, started a composition is regarded as a important field of language education, but actually these edecation is not well practiced. Although high school graduated ones, they can not express their intention in front of the crowd, they can not write even a piece of paper of their mind. These problem are very severly show its head, So in recently the Department of Education try to examine a discourse test, and the first article nomina extension of language usage as the princeple of composit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 In generally, the acquisition of language is develeped step by step from elementary school, via midde school via high school to university. The languag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is very important phase, because the basic substance of language is formed in elementary school. So, this thesis is intended to research the change of a compostion that a field of elementary language education. The contents of thesis are as following. The first, find the phase of compostion after retract related item from elementary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 for each course. The second, search the relation for each grade retracting the purpose from writing field. The third, analize the composition education phase of textbook according to type of analysis. The fourth, overall view for compostion education for each course, and refer to the outline of teaching circumstanse. As a result of above research, the conculusion is as following. The lst, during the 1st education phase, composition education is bigger portion in representive function, but the relation of class purpose is not formed in systematically. Each chapter of textbook is not access to the core. The and. during the and phase, try to compensate above the 1st demerit, but it does not give help for the composition education because the teaching of textbook type is difficult. The 3rd, eventhough enthusiasm and awakening for the education of composition, the textbook is not used effectively, and the composition of the textbook is not composed systematically. The 4th, the composition of textbook is composed with same type and try to help understanding, but composed textbook of lst, a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is produced confusion. The 5th, the composition education of the 5th composition education course is handled equally to the other area. In editing of textbook, there is sigificant development. The korean language is divided three parts,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nd the composition of textbook is try to extensive develope for the function of language. From the above research, I have a conculusion that the purpose and contents should be selected to fit with the step of grade. when the purpose and contents of composition teaching represented in education course reflect in textbook, effective education can be carried into effect in the actual place.;국어 교육이 시작된 이래 글짓기도 국어 교육의 한 영역에 포함되어 그 중요성이 인정되어 오고 있으나 교육현장에서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고등학교를 나와도 여러사람 앞에서 자신의 의견을 제대로 말하지 못하고 자기의 의사를 전달하는 글 한장 제대로 쓰지 못하는 것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어 근래 와서 시급히 논술 고사를 치루게 하고 새로이 개정된 제 5차 교육과정에서는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 원칙의 제 1항으로 언어 사용 가능의 신장을 들고 있다. 언어의 습득은 국민학교 시기,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시기에로 전승되면서 발달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국민학교 시기에서의 언어 교육은 어느 급교의 시기보다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하겠는데 이는 언어 생활의 기본적인 틀이 국민학교 시기에서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과정이 실시된 이후 지금까지의 국민학교 국어 교육의 한 영역인 글짓기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실태를 알아 봄으로써 글짓기 교육의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보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내용으로써 첫째, 각 교육과정별로 국민학교 국어과 교육의 교과 목표에 나타난 글짓기 관련사항을 추출하여 글짓기 교육의 위상을 알아보고 둘째, 쓰기 영역의 학년 목표중 글짓기에 해당되는 목표를 추출하여 각 학년간의 연계를 살펴 보았으며 셋째, 국어과 교과서의 제재 유형분석을 중심으로 국어 교과서의 글짓기 교육 양상을 분석하고 넷째, 각 기별 글짓기 교육을 이에 따른 지도 실태에 대해 간략하게 언급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로 도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 1차 교육 과정기의 글짓기 교육은 국어과 목표에서 볼때 표현 기능에 큰 비중을 두어 글짓기 교육이 큰 위치를 차지하였으나 학년목표의 연계가 체계적, 순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학년간 목표의 순서가 뒤바뀐 경우도 있다. 교과서의 각 단원은 제재가 일정한 형식에 한하지 않고 혼합되어 있으며 어느 한 유형의 편중과 연계가 이루어지지 않는 미흡함이 나타나 글짓기 교육 자체도 형식적으로 그 과정을 메워가던 때라고 보겠다. 둘째, 제 2차 교육 과정기의 글짓기 교육에서도 목표상으로는 그 위상이 크게 나타나며 제 1차 시기의 미비점을 수정하여 체계를 잡으려 노력한 흔적이 역력하나 교과서의 구성이 주제에 의한 단원 구성으로 반복적, 집중적 교재 유형의 지도가 어려웠으며 공부할 문제에는 글짓기에 대한 문제 수도 적고 구체적이지 못해 글짓기의 현장 교육에 큰 도움을 주지 못했다. 셋째, 제 3차 교육 과정기의 국어과 일반목표에서는 활발한 글짓기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학년목표에 있어서도 제 1,2차의 쓰기 영역을 글짓기와 글씨쓰기의 세분하였다. 글짓기의 단계적 성장을 설정하여 집중적인 능력 개발을 시도하였고 교과서도 '국어' 와 '쓰기' 로 구분하여 글씨쓰기와 글짓기의 향상을 꾀하였으나 이러한 글짓기 교육에 대한 열의와 자각에도 불구하고 쓰기 교과서가 의도된 대로 사용되지 못하였고 교과서에서도 보다 체계적인 글짓기 지도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넷째, 제 4차 교육 과정기의 국어과 교과목표에서는 표현의 한 영역인 글짓기 교육이 다른 영역의 목표들과 아울러 고루 강조 되었으며 학년 목표는 지나치게 높은 수준을 요구하지 않았고 구체적으로 제시되었다. 글짓기 교육의 학년별 지도내용을 보면 기본적인 것을 완전히 터득하고 그것을 기본으로 보다 발전된 수준의 목표를 설정해가는 분화 학습을 시도 하였다. 교과서의 구성은 같은 유형의 글로 단원을 구성하여 제재유형에 대한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이해를 돕도록 하였으며 매 단원마다 1쪽식 '글짓기'를 배당하여 보다 발전된 글짓기 교육을 시도하였으나, 1,2학년의 통합 교과서 운영으로 저학년에서 국어의 기초가 흔들릴 우려를 낳았다. 다섯째, 제 5차 교육 과정이 글짓기 교육은 교과 목표상에서 볼 때 타 영역의 우위에 두지 않고 동일하게 취급하였다. 학년 목표에서 각 학년의 중점지도 목표를 부각시키고 학년 내용을 포괄하도록 진술하였으며 점차 학년 단계에 맞도록 그 범위와 수준을 높여갔다. 교과서의 편찬에 있어서는 특히 활발한 발전을 보여 '국어'를 3종으로 하여 「말하기·듣기」, 「읽기」, 「쓰기」로 세분하였고 구성에 있어서는 1,2,3학년은 세 교과서의 단원명을 동일하게 하여 언어 기능의 균형 있는 신장계발을 피하였으며 4,5,6학년에서는 세 교과서의 단원을 달리하여 각 영역의 목표에 맞는 내용을 선정하였다. 제 5차에서는 다른 어느 시기보다도 목표에 따른 지도 내용이 교과서에 체계적으로 제시 되었으며 「쓰기」교과서를 통해 글짓기의 단계적, 체계적 성장을 이루도록 편찬 되었다. 이상에서 볼 때 교육과정의 목표와 지도내용은 학년단계에 맞도록 선정되어야 하며 학년간의 연계가 잘 이루어 져야한다. 또한, 교육과정에 제시된 글짓기 교육의 목표와 내용이 교과서에 충분히 반영되었을 때에 현장에서의 효율적인 글짓기 교육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