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여가-
dc.creator김여가-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1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1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44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67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44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부모가 의도한 언어통제 유형과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을 함께 고려하여,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과 아동의 공격성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아동의 공격성을 감소시키고 보다 높은 자아존중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을 제시하여 바람직한 부모-자녀 관계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에 소재한 4개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272과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조사에 사용된 도구로서, 부모의 언어적 통제 유형 측정도구는 Bernstein(1971), Gumperz(1973)의 연구 및 국내의 선행연구들(권향숙, 1981: 김희복, 1981; 서선주,1988: 신양재, 1986: 이미경,1984)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를 참고로 이완정(1990)이 수정 번안한 것을 다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공격성 검사는 Buss & Durkee(1957)가 제작한 BDHI(Buss-Durkee Hostility Inventory)를 노안녕(1983)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아동의 자아존중감 검사는 Coopersmith(1967)가 제작한 SEI(Self-Esteem Inventory)를 김경연(1987)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AS Program Package을 이용하여 일원분산 분석(one way anova), x^(2)검증, 중다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고 Pearson 상관 계수를 내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과 부모가 의도한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은 일치하지 않았다. 2.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에 따른 아동의 공격성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이 명령지향적일 때 공격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가 의도한 언어통제 유형에 따른 아동의 공격성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에 따른 아동의 자아존중감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이 인성지향적일 때 자아존중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가 의도한 언어통제 유형에 따른 아동의 자아존중감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_부모가 의도한 언어통제 유형이 인성지향적으로 나타난 같은 집단내에서도,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따라 아동은 같은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을 다르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인성지향적으로,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명령지향적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아동의 공격성과 아동의 자아존중감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낮아질수록 아동의 공격성이 높아지는 경향성을 보였다. 5. 아동의 성별, 부모의 학력 및 수입과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간에는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6. 아동의 성별, 부모의 학력 및 수입에 따른 아동의 공격성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7. 아동의 성별, 부모의 학력 및 수입에 따른 아동의 자아존중감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his study, which concerns the verbal control type and the way children perceive adult's verbal control type,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s verbal control type, the aggression of children, and the self-esteem of children. This introduces the parent's verbal control type which decreases the aggression of children and heighten the self-esteem, and therefore enhances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s and childre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272 children of fifth and sixth grade in four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their parents.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urvey was, the study by Berstein ana Gumpez, which measures the parent's verbal control type, and prior studies in Korea by Kim Hee Bok(1981), Suh SunJu(1988), Lee Mi Kyoung(1984), Shin Yang Jae(1986), Kwon Hyang Sook(1981)...., which were used as measuring instruments by Lee Wan Jung(1990) who corrected and translated this, and which in turn was somewhat corrected by self. The survey of the children's aggression used was the BDHI, made by Buss and Durkee and translated by Roh Ahn Nyung. Also, the survey on the self esteem of children was the SEI written by Coppersmith which Kim Kyung Yeon translated. The data analysis was used in SAS program package to put in effect the one way ANOVA, x^(2)-tes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to prove by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1. The way children perceive parent's verbal control and the intention of the parent's verbal control type differed significantly. 2. Considering the way children perceive parent's verbal control type, substantial difference showed in the aggression of children. In short, the aggression was greatest when the verbal control type of parent was imperative.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rent's intention of verbal control type and the aggression of children did not exist. 3. Considering the perception of children of the parent's verbal control type, the self-esteem of the childr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short, when the parent's verbal control type was person-oriented, the self-esteem was greatest.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rent's intention of verbal control type and the self-esteem of children did not exist. Even in the group of the verbal control type intended by the parent which showed person-oriented features showed that the child's self-esteem and parent's verbal control type differed depending on the child's self-esteem. If the child's self esteem was high, so would the person-oriented features therefore if the child's self-esteem was low, they perceive it to be imperative. 4. The aggression of children and the self-esteem of childre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hen self-esteem of children decreases, the aggression of the children increases. 5. The verbal control type of parent considering the child's gender, parent's academic background and income,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relationship. 6. The child's aggression, considering the child's gender, parent's academic background and income,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7. The self-esteem of child, considering the child's gender, parent's academic background and income,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공격성 (aggression) = 6 B. 자아존중감 (self-esteem) = 12 C. 공격성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 17 D. 부모의 언어통제유형 및 관련 변인 = 18 Ⅲ. 연구방법 = 24 A. 연구대상 = 24 B. 측정도구 = 26 C. 연구절차 = 29 D. 자료 분석 방법 = 29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31 A.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과 부모가 의도한 언어통제 유형간의 관계 = 31 B. 부모의 언어통제 유형에 따른 아동의 공격성 = 32 C.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른 아동의 자아존중감 = 36 D. 아동의 공격성과 아동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 43 E. 아동의 성별, 부모의 학력, 수입과 부모의 언어통제유형 = 43 F. 아동의 성별, 부모의 학력, 수입에 따른 아동의 공격성 = 44 G. 아동의 성별, 부모의 학력, 수입에 따른 아동의 자아존중감 = 44 Ⅴ. 논의 = 45 참고문헌 = 50 부록 = 55 ABSTRACT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365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부모-
dc.subject언어통제-
dc.subject공격성-
dc.subject자아존중감-
dc.title부모의 언어통제 유형과 아동의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among the parent's verbal control type the aggression of children and the self-esteems of children-
dc.format.pagevi, 74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