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5 Download: 0

교사의 여가 생활에 관한 연구

Title
교사의 여가 생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eachers' Leisure Life
Authors
김기영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일반사회교육분야
Keywords
교사여가생활▼ Leisure Life일반사회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eachers' objective attitudes about their leisure life and to investigate their leisure activ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leisure activity and their environmental condition to know problems that they have in their leisure activity. This study is intended to show how to improve the teachers' working condition. In order to clarify this purpose, the following subsequent research questions were analysed and these were: 1)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y and leisure attitude, 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tion of leisure activity and their working conditon. To investigate these research problems, a survey was conducted by the questionnaires with 350 male or female teachers working in elementary or secondary schools. The statistics(SAS) used for data analysis are X^(2)-test, frequency analysis, and percentage. With the basis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used by above mentioned methods,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are usually optimistic in their objective attitudes and the trend of perception about leisure life. But they usually consider leisure as a pastime or waste of time or taking a rest. Even though they agree that leisure is necessary in their life they don't realize that leisure can play a important role in their life and that it con even make them discover their self consciousness. The degree of agreement was higher in older people. The goal of their leisure was to be healthy for men, and the improvement of culture and working ability for women. Most of them answered the expanding of leisure time is not urgent even if it has much necessity. It shows that they don't realize the importance of leisure until now. And younger people have more focus on leisure than the older people. Most of female teachers spend their leisure time reading newspapers, books or chatting and most of male teachers spend their leisure time playing tennis, table tennis, or baduk and so on. in their schools. Most of teachers usually enjoy watching TV on weekdays and climbing mountains, journey, popular entertainments, and so on. Especially the percentage of male teachers who enjoy popular entertainments is 5.86. Second, the concrete contents of teachers' leisure activity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satisfaction degree of their leisure activity. School recreation facilities for teachers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ir satisfaction of their leisure. Good facilities give teahers better satisfaction. At present many teachers are not satisfied with the recreation facilitates of their schools. Especially male teachers are more dissatisfied about their school recreation facilities than female teachers. Their partners for leisure are usually family members, fellows, friends. These partners have nothing to do with their satisfaction degree of their leisure. And the contents of high level leisure like culture books, ballet, and opera don't give any influence on their satisfaction. Teachers especially enjoy weekend and vacation. They prefer outdoor leisure but leisure programs are simple and limited. The teahers who enjoy popular entertainment many times show a great satisfaction about their leisure life. they felt satisfied when they spent some money on their lesson expense for their own development or on recreation products. The degree of satisfaction depends on sex, age, income level, teaching hours. Especially male than female, older than young, higher income and less teaching hours are important factors for teachers' satisfaction. The shortage of time, money, fatigue, and lack of recreation facilities around them cause them to be dissatisfied. The degree of satisfaction doesn't depend on teachers consciousness, attitude or the contents of leisure but on environmental conditions like enough time and money and facilitie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hat authorities must lessen teachers' teaching hours and administrational tasks and improve working condition and increase recreation facilities and develop the programs of leisure for teachers. Meanwhile teachers themselves must try to change their passive attitudes about leisure.;사람은 일하고 일하지 않을 땐 놀거나 쉰다. 즉 일하기, 놀기, 쉬기를 번갈아 한다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 놀기와 쉬기를 보통 '여가 활동'이라 한다. 사람들의 일상 생활은 일과 여가의 반복으로 구성된다고 볼 수 있다. 오늘날 과학 기술의 발전, 기계화로 인한 노동 시간의 단축, 경제 발전에 따른 생활 수준의 향상은 일반인들의 여가에 대한 의식에도 많은 변화를 초래하였다. 이제 여가는 더 이상 노동을 위한 휴식으로서가 아니라 개인이 사회적인 의무로부터 벗어나 자신의 자아를 실현하기 위해 활동하는 시간으로 인간의 삶의 질과 관련된 문제인 것이다. 본 연구는 현장 교사들의 여가 생활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과 태도 및 여가 활동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여가 활동에 있어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기 위해 교사의 배경특성과 여가생활의 만족도 사이의 관계도 함께 살펴보아 교사의 일상 생활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의 추출은 서울시 초·중·고 교사 35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SAS 통계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빈도 분석, 백분율,X^2-TEST를 실시한 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여가에 대한 주관적인 태도와 인식에 있어 전반적으로 여가에 대해서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아직까지 대부분의 교사들은 여가를 기분 전환을 위한 것이나 그저 시간을 보내는 것, 휴식을 취하는 것으로 생각하여 여가 활동을 통한 자아의 발견 및 여가활동의 가치 창조적인 의미에 대한 인식은 부족함이 있었다. 또한 여가는 매우 필요한 것이라는 점에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동의하고 있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더욱 그러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 생활의 목적은 남자의 경우 건강을 위해서, 여성의 경우 업무 능률의 향상과 교양의 증진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현재 여가시간의 증가에 대해서는 여가생활이 매우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에 비해서는 잘 모르겠다는 미온적인 태도가 대부분이었는데 이는 상당히 모순적인 태도로 여가시간의 활용이나 여가 활동의 계획에 대한 준비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일과 여가의 관계에 대해서는 연령이 낮은 교사들이 일보다 여가의 의미를 더 소중하게 생각하는데 비해서 연령이 높을수록 여가보다 일에 더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교사들의 구체적인 여가활동 내용과 관련하여 학교에서의 여가 활동은 여자 교사들이 신문 읽기, 독서, 한담이나 휴식 등 비교적 실내에서의 정적인 활동을 하는데 비해 남자 교사는 운동을 비롯한 적극적인 여가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에서의 여가 시설에 대한 교사 대부분의 의견은 부정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학교의 여가 시설에 대해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불만이 많았는데 이는 여자교사들이 교무실 외에 달리 여가시간을 보낼만한 교내 시설이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여가 대상으로는 가족, 동료, 친구, 기타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이로 미루어 보아 교사들은 비교적 가정지향적인 여가활동을 선호하고 있는 것같다. 여가시간을 이용한 교양서적의 접촉, 발레, 오페라 등 고급 문화 활동에 대한 참여 정도에 있어서 대부분의 교사들은 1달에 1∼2권 정도의 교양서적을 읽는 교사들이 과반수 이상이었지만 고급 문화 활동에 대한 참여 정도는 매우 낮았다. 교사는 평일보다는 주말이나 방학중에 적극적이고 야외에서 이루어지는 여가 활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내용이 다양하지 못하며 몇몇 활동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었다. 평일에는 T.V 시청이 대표적인 여가 활동이었고 주말에는 야외로 행락이나 등산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았다. 남녀의 구분이 없이 대중 오락을 즐기는 교사는 많았는데 남자의 경우 1달에 6회 이상 참여하는 교사도 5.86%나 되고 있었다. 둘째, 교사의 여가생활 만족도는 교사 개인의 성별, 연령, 소득, 수업 시간에 따라서 달랐는데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이 여성 보다, 연령에 따라서는 나이가 많을수록, 소득은 높을수록, 교사의 직무와 관련하여서는 수업 시간이 적을수록 여가생활이 만족하다는 경향을 보였다. 여가생활 불만족 이유로는 시간의 부족과 비용의 부족, 몸이 피곤해서, 시설 및 장소의 부족, 지식이나 정보의 부족 순서로 지적되어 여가생활 만족도는 여가생활의 가장 기본적인 조건인 시간, 비용, 시설과 같은 외부적인 조건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의 여가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교사의 수업 부담의 경감이나 행정 잡무의 감소, 교사 보수의 현실화, 휴게실을 비롯한 여가 시설의 확충 등과 같은 실질적인 근무 여건의 개선이 시급하며 더불어 교사 자신의 여가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계획성 있는 여가 생활, 그리고 다양한 여가 적성의 개발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