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9 Download: 0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실태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학부모위원과 교사위원의 의견분석

Title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실태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학부모위원과 교사위원의 의견분석
Other Titles
(A) study of the opinions of teachers and parents committee members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school governing body management and on the plans to activate the committee
Authors
신정자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Keywords
학교운영위원회운영실태활성화학부모위원교사위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School Governing Body (from now in I'll call it Committee) has lately been established to provide diverse educations creatively to fit the regional condition and characteristics through promotion of educational autonomy of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problems in the institution and management of the Committee and thus to purpose solutions af activating the Committee to achieve its original goal. In order to meet its goal, this study combines the literature review with the survey research. The Literature review examines the goal of the Committee, its feature and function, experiences of foreign nations for the Committee, analysis of the case of managing schools for the experiment, and the roles of the parties to lead the Committee. In order to investigate how the Committee is actually managed, the survey research analyzed 185 surveys. The surveys were filled by two types of Committee members (teachers and students' parents) in 51 public middle schools located in three regions, Kangnambuk, Kangnamsuh, and Kangnamdong in Seoul. The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survey results used the program of SPSS/PC+ while the analysis of frequencies relied on x^(2)(chi-square) method to examine the variance among respondents. Major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both members of the Committee (teachers and students' parents) made positive evaluation regarding late the activation of the Committee. However, regarding chief barriers to inhibit the activation of the Committee, the Committee members of students' parents chose the institutional rigidity including laws for the Committee while the committee members of teachers chose the passive attitude of schools' principals and immature management styles. Second, regarding the selection of the Committee members, the members of students' parents are selected in the representative meeting or in the Committee of students' parents (the Committee of students' parents for promoting education) while the members of teachers are selected in the whole meeting of teachers through democratic procedures. However, in some cases, the Committee members are selected by strict qualifications rather than by either voluntary, free nomination or recommendation. In these cases, there are some debates about both the democratic procedure for selection and the degree of representing all parents and teachers. Third, regarding the management of the Committee, the subcommittees are not organized in many cases or if they exist their activities are not active. The period of notifying agendas for discussion in advance are not sufficiently long for information exchange. The parties to purpose the agendas are usually the schools' principals. Most ordinary parents and teachers have no idea about the activities of the Committee. Fourth, both members(parents and teachers) of the committee positively evaluated the assistance and roles of schools' principals for the Committee. However, they also proposed three reforms ; participation of more parents and teachers in the management of the schools, their democratic management, and avoiding the authoritarian management style. Fifth, regarding the average frequency of dealing in the Committee, we can know that educational finances, facilities, welfare facilities, educational course,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 in order. It is thought that agendas being dealt with in the committee are much more concentrated on educational facilities and finance related to parents' financial support than the areas like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courses which need speciality. In particular, it dealt with implementation of paid programs and autonomous studies more often than educational activities aimed at cultivating good human characteristics and creativity. Finally, both members of the Committee proposed the following solutions for activating the Committee : 1) strict qualifications for selection of members must be lifted ; 2) Previous organizations in the schools(for example, the committee for promoting physical activities of students) must be activated as subcommittees of the Committee or as cooperative organizations for the Committee ; 3) the Committee call for additional institutions controlling the authority of schools' principals to make decision in agendas to be dealt with in the Committee ; 4) the Committee need to introduce the system of evaluating schools or schools' principals ; and 5) the request of the governmental official in education for reconsidering decisions of the Committee must be removed. On the basis of these research findings, the following proposals for reforms are made : First, in order to meet the original goal of the Committee, the Committee must be operated on the basis of new attitudes and participation of relevant parties of education through concrete and realistic advertisement regarding the goal of the Committee. Thus, until the Committee is actively operated, the day for the Committee must be chosen to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of parents. Second, in selecting the members of the committee, democratic procedures must be introduced to select those who possess not only voluntary attitudes for both participation and service, but also high interests in education. Third, in order to provide a sufficiently long period for consideration and decision making regarding agendas to be dealt with in Committee, the Committee must make the rule that the time for the meeting must be notified at least one week in advance and that agendas must be set three days before the meeting. Furthermore, agendas to be dealt with by the Committee must include diverse issues regarding implementation of programs aimed at cultivating good human characteristics and creativity. Fourth, schools' principals must allow various problems faced by the schools to be dealt with by the Committee for democratic management of the schools. In order to hear diverse opinions regarding the agendas, the Committee must be established not only as the leaders for changes but also as specialists of school management. Fifth, the most crucial factor to activate the Committee is to enlarge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systems of support to guarantee autonomous management of individual schools. Also, the Committee must be supported by both information exchange and provision of relevant data. Finally, building the Aggregate Committee beyond individual school levels needs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mediate conflicts of the Committee with either schools' principals or relevant governmental agencies of education.;단위학교의 교육자치를 활성화하고 지역의 실정과 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을 창의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최근 우리나라의 초·중등학교에도 학교운영위원회가 도입·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학교운영위원회의 제도와 운영상의 문제점을 확인함으로써 학교운영위원회가 본래의 목적에 부합하여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학교운영위원회의 설치배경 및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과 운영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운영주체의 역할에 대해 모색하였다. 조사연구는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 실태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서울시내 강북, 강남 서, 강남 동의 3개 지역 공립 중학교 51개교의 교사위원과 학부모위원을 대상으로 총 185부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조사결과의 통계적 분석은 SPSS/PC^(+)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frequences)은 응답자 변인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x^(2)(chi-square)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행의 첫해인 학교운영위원회 활동에 대하여 교사위원과 학부모위원들은 활성화되고 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그러나 학교운영위원회의 활성화에 대한 장애요인으로 학부모위원은 법규 등 제도상의 경직성을, 교사위원은 학교장의 소극적인 태도와 운영미숙을 지적하였다. 둘째, 학부모위원은 주로 대표자 회의나 기존의 학부모회(육성회) 등에서 선출되고, 교사위원은 대부분 교원전체회의에서 무기명 투표나 거수로 민주적인 방식으로 선출되고 있었으나 후보자 선정시 자발적인 자유 입후보나 추천이 아닌 남녀, 직급, 경력 등을 제한 하거나 특별위원회의 추천으로 선출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는 선출과정의 민주성과 위원구성의 대표성을 약하게 하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운영면에서, 소위원회는 구성되어 있지 않거나 구성되어 있어도 활동이 미약하고, 심의안건의 사전 통지 일은 정보교환을 위해 충분하지 않으며, 심의안건의 주 상정 자는 학교장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일반학부모와 교사는 학교운영위원회의 활동에 대하여 거의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장의 학교운영위원회에 대한 지원과 역할에 대하여 교사와 학부모위원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나, 학교경영의 개방과 민주적인 운영을 요구하고 권위주의 의식의 지양을 지적하였다. 다섯째, 학교운영위원회에서 그 동안 심의된 내용을 평균 심의횟수로 본 결과 교육재정, 교육시설·복지후생, 교육과정, 교육행정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행정과 교육과정 등의 전문성을 필요로하는 분야보다는 학부모의 재정적인 후원과 관련된 교육재정과 교육시설 분야가 월등하게 많이 심의된 것으로 생각된다. 우려되는 점은 심의내용이 인성과 창의성 함양 교육활동 보다는 보충수업과 자율학습의 강화내용이 더 많이 심의되고 있는 것을 지적할 수 있다. 끝으로, 학교운영위원회의 활성화와 관련된 주요 방안에 대해서는 ①교사위원 선출시 자격 제한과 학교장의 당연직 위원장 화는 바람직하지 않다. ②학교의 기존 단체들(체육진흥회 등)은 학교운영위원회의 산하기구 또는 협력기구로 계속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③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결과 반영에 대한 강화 방안이 필요하다. ④학교(장) 평가제의 도입이 필요하다. ⑤교육감(장)의 재심의·시정 요구는 활성화의 장애 요인이다. 라고 지적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운영위원회가 본래 목적에 맞게 운영되기 위해서는 학교운영위원회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홍보로 교육주체들의 새로운 인식과 참여를 높여야 한다. 따라서 학교운영위원회가 활성화되어 바람직하게 정착될 될 때까지 '학교운영위원회의 날(열린학교)'을 학교별로 운영하여 교육공동체 의식을 높여 학부모와 지역인사들의 교육적인 능동적 참여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운영위원으로는 자발적인 참여의식과 봉사정신을 가진 자로 학교교육에 높은 관심과 전문적인 지식이나 경험이 많은 사람이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자격제한 등의 방법을 통한 선출 보다 개방적인 선출 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셋째, 심의안건에 대한 충분한 검토와 소위원회를 통한 의견수렴이 가능할 수 있도록 심의안건의 사전 통지 일은 최소한 회의 개최 1주일 전에, 의제는 3일 전에 송부하도록 당해 학교운영위원회 규정에 명시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심의내용은 되도록 모든 운영위원들의 합의에 의하여 선정하도록 하며, 학교교육의 정상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특별히 인성과 창의성 함양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다각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넷째, 학교장은 학교경영이 투명하고 민주적으로 경영되도록 학교경영의 제반사항을 학교운영위원회를 통하여 최대한 개방하여야 한다. 또한 다양한 의견창출과 수렴을 위해 학교행정의 전문가와 미래지향적 변화의 선도자로서 학교운영위원회를 능동적으로 지원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활성화를 위한 가장 중요한 요인은 단위학교의 자율성을 실질적으로 보장할 수 있도록 행정적·제도적 지원체제를 확대하고, 이와 함께 정보교환과 자료제공 등을 통해 단위학교의 학교운영위원회를 지원하고 문제 발생시 이를 교육적으로 신속하게 중재할 수 있는 광역단위의 학교운영위원회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