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南惠林-
dc.creator南惠林-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8Z-
dc.date.issued198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37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6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379-
dc.description.abstractThe interaction between methyl viologen (MV^(2+)) and sodium dodecyl sulfate (SDS) was investigated by the polarographic and conductometric measurements. MV^(2+) showed two reversible one electron reduction wave with the half wave potential at -0.7V vs SCE and -1.04 V vs SCE. The addition of SDS caused the decrease in the diffusion current (id) and the shift in the reversible half wave potential (E_(1/2)), but the [SDS] dependence of id's and E_(1/2) of the two steps were different. Neither the precipitate formation of MV^(2+)-SDS nor The increase in bulk viscosity attributed to the large decrease in id's of MV^(2+) with SDS. The conductometric titration of MV^(2+) with SDS showed little association of MV^(2+) with SDS below 10^(-3) M SDS, and strong association above the concentration. The cmc of SDS moved higher by two times of [MV^(2+)] in the presence of MV^(2+).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interaction between MV^(+). and SDS at low [SDS], and cooperative cluster formation between MV^(2+) and SDS, and the incorporation of MV^(+). in MV^(2+)-SDS cluster at high SDS concentration. The effects of Triton X-100 and CTAB on polaro-graphic behaviors of MV^(2+) were also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SDS.;methyl viologen(MV^(2+))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sodium dodecylsulfate(SDS)간의 상호작용을 polarography 및 conductometry 실험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methyl viologen은 두 단계의 가역적인 1 -전자전달과정을 거쳐 환원되며 각 환원단계의 표준환원전위는 각각 -0.7 volts vs SCE이다. MV^(2+)에 SDS가 첨가됨에 따라 확산전류의 감소와 반파전위의 이동이 관찰되고, 이러한 변화는 두 단계에서 서로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즉, 낮은 SDS농도에서는 첫번째 환원단계의 반파전위의 양의 방향으로의 급격한 이동과 두번째 단계의 확산전류의 큰 감소를 보이는 반면, 높은 SDS농도에서는 두번째 단계의 반파전위가 음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첫번째 단계의 확산전류가 크게 감소하였다. SDS에 의한 MV^(2+)의 확산전류의 감소가, 분광학적 실험에서는 MV^(2+)의 침전에 의한 것이 아니며, 점성도측정에서는 용액의 점성도증가에 의한 것이 아님이 확인되었다. MV^(2+) 및N-methyl-γ,γ^(1)_bipyridinium 이온과 SDS간의 상호작용은 SDS의 micelle형성농도를 이들의 당량만큼 증대시킴이 전기전도도 측정에서 관찰되었다. MV^(2+)과 SDS는 낮은 SDS농도에서도 소수성인 요인으로 상호작용을 하며 보다 높은 SDS농도에서는 협동적으로 결합하여 cluster를 형성한다. 이 cluster는 MV^(+)에 보다 소수성인 영역을 제공하여 MV^(+) 의 환원성질의 변화를 초래한다고 설명할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인 CTAB 및 중성 계면활성제인 Triton X 100과 MV^(2+)간의 상호작용도 polarography로 연구하였고, SDS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실험 = 7 Ⅱ-1. 재료 = 7 Ⅱ-1.A. Methyl viologen dichloride와 N-methyl-γ,γ´-bipyridinium iodide의 합성 = 7 Ⅱ-1.B. 기타 시약 = 8 Ⅱ-2. 실험 방법 = 9 Ⅱ-2.A. polarogram의 측정 = 9 Ⅱ-2.B. conductance의 측정 = 10 Ⅱ-2.C. 기타 = 10 Ⅲ. 결과 및 고찰 = 12 Ⅳ. 결론 = 35 REFERENCES = 36 ABSTRACT = 4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542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Methyl Viologe-
dc.subjectSodium Dodecyl Sulfate-
dc.subject상호작용-
dc.titleMethyl Viologen과 Sodium Dodecyl Sulfate간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ies on the Interaction between Methyl Viologen and Sodium Dodecyl Sulfate-
dc.format.page4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화학과-
dc.date.awarded198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화학·나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