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96 Download: 0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아동의 공격성향 및 도덕적 판단능력과의 관계 연구

Title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 아동의 공격성향 및 도덕적 판단능력과의 관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and the child's Propensity to Hostility and Moral Judgment Ability
Authors
신지원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Keywords
가정심리환경공격성향도덕판단능력관계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가정환경은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최초로 경험하게 되는 사회이므로 개인의 인격과 행동, 가치관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부모-자녀 상호관계를 비롯한 가정내의 심리적 과정 및 가치관은 아동과 아동의 문제를 이해하고 파악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의 심리적 환경변수에 따른 아동의 공격성향 및 도덕적 판단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아동의 성별, 학년(연령), 부모의 학력, 수입에 따른 차이를 밝혀보려고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 남학생 136명과 여학생 155명 이었다. 가정의 심리적 환경의 측정도구로는 정원식(1970)이 제작하여 표준화한 가정환경 진단검사를 채택하여 사용하였고, 아동의 공격성향의 측정 도구로는 BDHI(Buss & Durkee Hostility Inventory)를 노안녕(1983)이 번안한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아동의 도덕적 판단능력의 측정도구로는 캐나다의 온타리오 교육연구소에서 제작한 Kohlberg검사지인 OISE Test를 한국 교육개발원(1982)에서 번안, 수정한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한 통계적 방법은 일원분산분석, Scheffe의 사후비교검증, Pearson 상관계수,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정의 심리적 환경 제변수에 따른 아동의 공격성향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가정의 심리적 환경 제변수 중 사회상승주의, 가족 상호간의 태도, 자율-타율 변수 각각이 아동의 공격성향에 있어서 차이를 나타냈다. 3. 가정의 심리적 환경 제변수에 따른 아동의 도덕적 판단능력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가정의 심리적 환경 각각의 제변수에 따른 아동의 도덕적 판단능력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아동의 공격성향과 도덕적 판단능력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아동의 성별, 학년(연령), 부모의 학력, 수입에 따른 아동의 공격성향은 남학생의 경우 학년(연령), 가정의 월평균 수입에 따라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여학생의 경우에는 학년(연령)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아동의 성별, 학년(연령), 부모의 학력, 수입에 따른 아동의 도덕적 판단 능력은 남학생의 경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학생의 경우에는 학년(연령)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8. 아동의 성별, 학년(연령), 부모의 학력, 수입에 따른 가정의 심리적 환경은 남학생의 경우 학년(연령), 아버지의 학력에 따라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여학생의 경우에는 학년(연령), 부모의 학력, 수입에 따라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9. 가정의 심리적 환경 제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가족상호 간의 태도와 가정의 응결력, 가족상호 간의 태도와 친애-거부, 가정의 응결력과 친애-거부 변수의 순으로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아동의 공격성향은 가정에서의 사회상승주의, 가족간의 상호태도, 자율-타율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고 남학생에 있어서는 학년(연령)과 가정의 월평균 수입에 따라서, 여학생의 경우에는 학년(연령)에 따라, 공격성향에서의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권력, 명성, 체통 있는 사회적 지위에 속하기 위해 사회상승적인 가치를 강조하는 가정의 분위기가 압도적이거나, 가족원간의 상호태도가 덜 긍정적이거나 또는 자발적인 경향이 적어서 의존적이거나 과잉보호적일 때 아동의 공격성향은 높은 경향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남학생은 학년(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가정의 월평균 수입이 적을수록 높은 공격성향을 보이고, 여학생의 경우에는 학년(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공격성향이 높은 경향이 나타남이 실증되었다. 그러나 아동의 도덕적 판단능력은 대체적으로 가정의 심리적 환경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서 도덕적 판단능력은 가정의 심리적 환경보다는 다른 변수의 영향력이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되는 바이다.;Since domestic environment is the first society man experiences since his or her birth, it has a major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and individual's personality behavior, and the sense of value. The psychological process and the sense of value at home, including inter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re especially very important in understanding children and children's problems. This research focuses on finding out a child's propensity to hostility and moral judgement ability according to the change in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And also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influence the child's sex, age(grade),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 give to the development.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fourth and sixth graders, 136 male and 155 female. The instrument used in measuring the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is the standardized Home Environment Diagnosis Examination invented by Jung, Won Sik in 1970. The instrument used in measuring a child's propensity to hostility is NO, An Young's adapted form from Buss & Durkee's 1957 BDHI (Buss-Durkee Hostility Inventory). The instrument used in measuring a child's moral judgement ability is the Kohlberg test, the OISE (Ontario Institute for Studies in Education) Test's adapted and corrected form done at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in 1982. The statistic methods used in this study for analyzing the information are one-way ANOVA, Scheffe's Multiple Comparative Analysis, Pearson's Coefficient of Correlation and Stepwise-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 1. There was no difference in a child's propensity to hostility according to the change in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2. Among the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variables, society rising tend, behavior between family members, voluntary and involuntary variables gave and influence on a child's propensity to hostility. 3. There was no difference in a child's moral judgement ability according to the change in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4. There was no difference in a child's moral judgement ability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variables. 5. There was no interrelation between a child's propensity to hostility and a child's moral judgement ability. 6. A child's propensity to hostility according to the child's sex, age,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age and average income made a difference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only the age made a difference. 7. A child's moral judgement ability according to the child's sex. age,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there was no difference. And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the age made a difference. 8. The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child's sex, age,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age and the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 made a difference,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age,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 made no difference. 9. After analyzing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variables,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resulted in this order First, the behavior between the family members and the bond within the family, second, the behavior between the family members and intimacy-rejection, and third, the bond within the family and intimacy-rejection. From the above results, we conclude that a child's propensity to hostility is mostly related to the society rising tend at home, behavior between family members, and voluntary and involuntary manners. Among male students, the age and average income, and among female students, the age gave an influence to their propensity to hostility. Therefore, when an indifferent home environment is overwhelming from focusing too much on the value of high place in society and wanting to possess the social place with power, fame, dignity, when the behavior between family members is less positive, or when the lack of voluntary tendency causes dependent and over-protective manners, a child's propensity to hostility is high. Male students show high propensity to hostility when the age is high and the average income is low, and female students, when the age is high, they show high propensity to hostility. However, there seems to be no relationship between a child's moral judgement ability and the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So instead of the intellectual side of morality development, some other side seems to be the influential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home environ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