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9 Download: 0

교육혁신 사례로서의 열린교육의 전파와 확산 과정에 관한 연구

Title
교육혁신 사례로서의 열린교육의 전파와 확산 과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rocess of diffusion and dissemination of open education in korea as a case of educational innovation
Authors
심은미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Keywords
교육혁신열린교육전파확산교육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ccelerating and the impeding factors in the process of the diffusion of Open Education in Korea, and on the basis of this result, to propose measures for more successful and widespread diffusion of Open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to be answered in this study are: (1) How do teachers understand the idea of Open Education, and what are their attitudes toward Open Education? (2) How the process of diffusion of Open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phases, and what factors are related to each phase? (3) What are the accelerating and the impeding factors in the process of the diffusion of Open Education in Korea? To find out answers to these questions, fifty teachers were interviewed: thirty from the schools which have adopted Open Education, and twenty from the schools which have not yet adopted it. A large number of classes in Open Education schools were observed, and various documents such as school prospectus, curriculum document, classroom diary and newsletters were analyz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eachers understand and characterize the aims of Open Education as education for promoting individuality, autonomy, and creativity. For the curriculum of Open Education, teachers emphasize curriculum integration, more diverse and abundant teaching materials, and performance based assesment. The majority of teachers are more concerned with the improvement of physical environment of schools, and they think that re-organization of teaching staff and role specification is required for Open Education. They als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roviding information to parents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the idea Open education. (2) The process of adopting Open Educat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phases: initial recognition→trial adoption→active participation or rejection. The first phase of initial recognit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sub-phases i.e. phases of recognition, interest and concern, and active information seeking. At this phase, the influence of mass media on teachers initial understanding of Open Education turns out to be very powerful. At the second phase of trial adoption, the roles of change agents are crucial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Open Education in the classroom. At the third phase, the idea of Open Education is either fully accepted or rejected. (3) Accelerating factors related to the successful adoption of Open Education are: clear and consistent understanding of the aims of Open Education,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continual motivation for changes, active initiation of the change agents, various supports from the school, piecemeal adoption policy, availability of information, fre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cooperation from the parents and community. Of theses factors, continual motivation is the most important single factor, which confirms that internal changes of attitudes are more important than changes of external surroundings in the process of educational innovation. Impeding factors related to the rejection of Open education are, the burdens that teachers feel with the new unfamiliar practices, lack of active change agents, accumulations of failure experiences, lack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unclear and inconsistent aims, conservative and easy-going attitudes of teachers, lack of information exchange and free communication, and negative pressures from others who do not want changes. In conclusion,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successful diffusion of Open Education is the change of teachers' attitudes based on clear understanding of the basic philosophy of Open Education. With this changes of the agents, it is also required to construct supportive environment which includes, above all, more opportunity for in-service teacher training, and more information for the exemplar cases of Open Education.;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열린교육의 전파와 확산 과정에 관련된 다양한 변인 분석을 통해 열린교육 수용의 촉진 요인과 장애 요인을 확인하고, 이를 기초로 열린 교육의 성공적인 전파와 확산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열린교육의 전파와 확산 과정에서 나타난 우리 나라 교원들의 열린교육에 대한 인식 및 수용 태도는 어떠한가? 2) 열린교육의 수용과정은 어떠한 단계로 구분되며, 각 단계에 작용하는 변인들은 어떠한 것이 있는가? 3) 열린교육의 수용을 촉진하는 요인과 그 수용에 장애가 되는 요인은 각각 어떠한 것이 있는가? 연구방법은 면담을 주된 방법으로 하여 관찰과 문서분석을 병행하였다. 열린교육 중심학교의 교원 10명, 열린교육을 갓 수용한 학교의 교원 20명, 열린교육 비실시 학교의 교원 20명 등 모두 50명을 대상으로 수행된 면담은, 면담지를 이용한 '반구조적' 방법을 기조로 하되, 경우에 따라 '비구조적' 방법도 활용되었다. 관찰은 열린교육학교 견학 및 열린교육교사의 수업참관을 통해 이루어졌고, 객관성과 타당성을 높이기 위해 관찰기록지를 활용하였다. 문서분석은 열린교육학교의 홍보지나 연혁, 열린교육 관련문서, 각 교원의 시범수업 및 워크샵 참관록, 활동자료, 열린교육연구단체의 소식지를 수집하여 수행되었고, 그 결과는 면담결과 분석 때에 참고자료로 활용되었다. 조사 도구 작성을 위한 주된 이론적 틀은 해블록(Havelock, 1973)이 제시한 교육혁신 모형 가운데 '사회적 상호작용 모형'이 채택되었고, '문제해결 모형'도 보조적인 이론적 틀로 활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들은 열린교육의 성격을 다음과 같이 인식하고 있었다. 즉 열린교육의 이념은 개성화·개별화·자율화 창의성 함양으로 규정되고 있었고, 교육과정 운영면에서는 통합교육과정 운영, 학습내용과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학습집단 조직, 학습방법의 개발, 풍부한 학습자료 제공, 과정중심의 다양한 수행평가 실시 등이 강조되고 있었다. 교육환경면에서는 심리·사회적인 측면보다 물리적인 측면에 더 많은 관심을 보였고, 학교·학급경영면에서는 학부모교육 및 홍보활동의 필요성을 인정하였다. 열린교육 실시에 따라 교사조직과 역할 또한 달라져야 한다고 보았고, 교사의 역할은 학습정보제공자, 자료준비자, 촉진자, 관찰자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다. 교육적 변화의 깊이에 대해 열린교육을 실시하는 교원들 대부분은 긍정적인 시각을 지닌 반면, 열린교육을 실시하지 않고 있는 교원들 대부분은 비판적인 견해를 밝히는 사례가 많았다. 수용 태도를 보면, 단계적이고 자발적인 열린교육 수용 사례가 많았고, 열린교육에 관한 교사교육 프로그램도 비교적 다양한 편이었다. 둘째, 열린교육의 수용과정은 '초기 인지→도입→적극 참여/포기' 등의 3단계로 구분 될 수 있다. 초기 인지단계는 다시 '인식→관심과 흥미→정보추구' 단계로 구분되며, 매스컴의 영향력과 효용성이 매우 크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도입단계는 '교육적 상상력을 통한 열린교육 시도 및 평가→소규모의 시도' 단계로 구분되며, 실천가능성 제고를 위해 교원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의욕을 자극하고 격려해 줄 변화주도자의 적극적인 역할 수행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적극 참여/포기단계에서, 교원들의 적극 참여를 유도한 긍정적인 변인은 지속적인 실천동기유발, 변화주도자의 적극적인 역할 수행, 지원체제 확립, 단계적 수용 유도, 정보교류 및 의사소통의 편이성 보장, 학부모와 지역사회와의 협력체제 구축 등이었다. 특히 '지속적인 실천동기유발'이 가장 긍정적인 변인으로 작용한 점은 수용자의 내면적 변인이 교육혁신의 성공을 위해 얼마나 중요한가를 시사해 주는 것이다. 반면 교원들을 '포기단계'로 이끈 가장 결정적인 변인은 열린교육운영에 대한 교사 자신의 부담감이었다. 이밖에 지원체제 결여, 변화주도 자의 부재, 권위주의적인 학교분위기, 교육관의 상이함, 방어적이고 안일한 태도, 주위의 부당한 압력 등도 부정적인 변인으로 작용하였다. 셋째, 열린교육 수용의 촉진 요인과 장애 요인에 관한 분석 결과, 먼저 촉진 요인에 속하는 것은 명료하고 일관된 목표인식, 투철한 교육적 신념, 지속적인 실천동기유발, 변화주도자의 적극적인 역할 수행, 지원체제 확립, 전문성 제고, 학부모나 지역사회와의 협력체제 구축, 열린교육 자체의 적합성, 단계적 수용 유도, 정보교류 및 의사소통의 편이성 보장 등으로 밝혀졌다. 또한 장애 요인으로는, 열린교육운영에 대한 교원들의 부담감, 변화주도자 부재 또는 역할 미비, 부정적 경험의 누증, 재정적·행정제도적인 지원체제 미흡, 불명료하고 일관되지 못한 목표인식, 보수적이고 방어적인 태도, 학부모나 지역사회와의 공감대 형성 실패, 정보교류 및 의사소통의 어려움, 열린교육 자체의 부적합성 등이 지적되었다. 열린교육의 성공적인 전파와 확산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교육현장에서 실제로 열린교육을 수용·실천할 교원들의 가치관 및 의식의 변화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열린교육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과 태도 올바르게 정립될 때 더욱 성공적인 열린교육의 실천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와 함께 병행되어야 할 것은, 열린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교육 여건 개선과 지원체제 강화, 지속적인 실천동기유발, 실천가능성 및 전문성 제고, 자신감 고취,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열린' 교사교육, 변화주도자의 적극적인 역할 수행, 정보교류 및 의사소통의 편이성 보장, 열린교육의 적합성 검증 노력, 단계적 수용 유도, 모범적인 열린교육 사례 발굴 ·보급, 매스컴의 영향력과 효용성의 최대한 활용 등이다. 이러한 조치들을 통해 우리 나라 열린교육의 전파와 확산은 더욱 활성화될 것이며, 열린교육에 대한 사회문화적인 인식 기반도 확충되어 더욱 바람직한 발전이 가능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