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6 Download: 0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고등학생의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효과

Title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고등학생의 진로의식 성숙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Career Search Group Counseling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Authors
김홍혜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심리전공
Keywords
진로탐색집단상담고등학생진로의식성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제시한 진로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맞도록 구성된 진로탐색 프로그램으로 실시한 집단진로상담이 고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진로탐색 집단상담에 참여한 후 진로성숙도 태도부분과 각 하위변인들에 있어서 사후 검사 득점은 검사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2. 진로탐색 집단상담에 참여한 후 진로성숙도 능력부분과 각 하위변인들에 있어서 사후검사 득점은 검사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차이가 있을 것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본 연구자가 상담자원봉사를 하고 있는 대전에 위치한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남학생들이다. 2학급 95명에게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기저선이 비슷한 40명중 무선표집하여 검사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20명씩 배치하였다. 검사집단은 한 집단에 10명씩으로 두 집단이다. 진로탐색 집단상담에 사용한 프로그램은 한국교육개발원이 제시한 진로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맞도록 구성된 프로그램, 즉 대전광역시 교육연구원의 고둥학교용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하고, 광주광역시 교육과학연구원에서 발행한 고둥학교 진로 교육 프로그램을 보완해서 본 연구자가 선별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진로상담은 진로탐색 프로그램에 따라 1주일에 1회 각 1시간씩 총 20회 20시간을 각각의 검사집단에게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사전-사후 검사 외에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진로성숙도 검사지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진로탐색 집단상담에 참여한 후 검사집단과 통제집단의 진로성숙도 태도부분(t=3.67, p< .01)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태도부분의 하위변인에 있어서 계획성(t=3.21, p< .01)과 독립성(t=3.45, p< .01)에서는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었지만 결정성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2. 진로탐색 집단상담에 참여한 후 검사집단과 통제집단의 진로성숙도 능력부분(t=3.94, p< .001)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능력부분의 하위변인에 있어서 직업선택(t=2.11, p< .05)과 의사결정(t=4.22, p< .001)에서는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었지만 직업이해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본 연구에서 처음 실시한 한국교육개발원이 제시한 진로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맞도록 구성된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진로의식을 성숙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e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on the students' career awareness maturity. And the counseling was based on well structured program as to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the career education suggested by the KEDI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on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objective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Will there be a difference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research in the students' attitudes about career with each variable after participating in the career search group counseling? 2. Will there be a difference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research in the students' career search ability with each variable after participating in the career search group counseling? The study is doned on the 11th grade male students of high school in Taejon where the researcher volunteers as a counselor. The two-class 95 subjects are given pre-test and 40 are randomly selected who have similar results. The 20 are assigned in the control group and 10 subjects each are assigned in two experimental groups. The programs that are used for the career search group counseling are based on the guidelines of the KEDI for the contents and objectives. That is based on the carefully selected high school career education programs by the Taejon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and the Kwangju Education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Counseling is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s one hour a week each for the total 20 hours according to the programs. The control group is not given other than pre or post-test. The instrument for the study is Career Maturity Inventory by the KEDI and t - test using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is done to find the homogeneity of both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before the career group counseling with SAS program. To see the effects of the career search group counseling on the career awareness maturity on both groups t - test is done and proved significance at the level of p< .05, p< .01, and p< 001.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listed as follows: 1.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attitudes (t=3.67, p< .01) of career search after the group counseling. In the lower variables of the attitude, there are differences in planning (t=3.21, p< .01) and independence (G3.45, p< .01) but not in decisiveness. 2.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capability (P3.94, p< .001) of career search after the group counseling. In the lower variables of capability, there are differences in career selection(t=2.11, p< .05) and decision-making (t=4.22, p< .001) but not in the career understanding. Therefore, in conclusion of the study the career search program well structured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objectives and contents proposed by KEDI is effective for maturing the students' awareness toward their care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