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염애영-
dc.creator염애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1Z-
dc.date.issued199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4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54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496-
dc.description.abstractThe task of school administrator is different from that of teacher and a professional work which needs the appreciation of education field as well as the executive ability. The education of school administrator in Korea however has been performed in the view point of the promotion from teacher via a short term training course and its speciality is not fully considered for instance a general administrator can be a school administrator direc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state of the principal's qualification and education system as well as the desirableness on the basis of the teacher's opinion about the level of the speciality of the school administrator. In order to meet this goal, this study combines the literature review with the survey research. The qualification of school administrator and education system are revised i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survey research examines the level of speciality of the school administrator and also the needs and direction of the system improvements. For this purpose, 327 questionnaires were retrieved, which was 74.3%, from 440 which were distributed by cluster sampling with stratification. The collected data except 5 questionnaire which were not reliable were analyzed by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in which question on the speciality and the education system of the school administrator. And also, T-test and F-test were used to examine the variance among respondents. The analysis of frequencies relied on x^(2) method to do in 3 items about the improvements of principal education system. This study examines how the teachers consider the level of speciality of the school administrator. The teachers admit the speciality very affirmatively for educational ethic(average : 3.67), communication ability(3.79) such as logical expression and work attitude(3.86) such as patience, diligence and propulsion. The teachers felt that they are comparatively good at human relationship control(3.34), rational decision(3.33), the effort for close relation with a local community(3.34), the plan of school adminstration and object managing(3.47). And also the teachers felt that they are not bad at teaching supervision(3.29), financial managing(3.16) and efficient education process managing(3.25). The teachers replied a medial level about the question whether the task of the school administrator needs professional ability. The ambiguous qualification standard such as knowledge and moral influence is presented without of the consideration for the speciality of the school administrator in its qualification and education system. They can get the license only to have a career and to take a short term education course. For this issue, the teachers replied yes about the suggestion of employing some national qualification tests(37.14%) or an appropriate test by city or province education office(37.46%). There is also an opinion to qualify by the education care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above the graduated and the teachers' suggestion.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current qualification standard, there is a unreasonableness such that a normal executive can be a school administrator without the educational experiences. The teachers don't think that there is a need of different course from teacher's in the education of school administrator. So, teachers think that the educational experiences is the essential factor for the qualification standard. To be a school administrator is considered as the promotion from the teacher, even though it has a different speciality. The teachers felt that the current promotion system is not adequate for the education of the professional school administrator. And also they felt strongly that the existing promotion structure makes the ultimate aim in the teaching profession to be a principal or an assistant principal. Those understandings induced the teachers to apply for a principal competitively rather than to devote themselves to only teaching. Many teachers agreed that the teacher promotion structure is divided between teaching and managing and teaching qualification structure is divided into a second grade regular teacher - a first grade regular teacher - a senior teacher - a head teacher, especially for the head teachers. The seniors who have an advantage of career used to be a school administrator, but generally they are close to the retirement age. On the question on the pertinence of the first appointment age, the 60% of the teachers, especially 85.7% of the teachers under 5-year experience, replied that there is a need for the young and the competent to be appointed as a school administrator early. The education of the school administrator is performed just by 180-hour's training without a special course. As contrasted with the foreign school administrator, they should take a long term special education course with the educational background above the graduate school. For the question on the system of the school administrator education, 48.3% of the teachers agreed to the opening of the professional education administration course longer than now for the educational experienced and 37.7% of the teachers agreed to a using education administration course in a educational graduate school. The school administrator should be specialized in order for the school education to be performed efficiently. For that purpose, the qualification standard should be more intensified and clearly specified and also there is a need for a special educational course.;학교행정가로서의 과업은 교사의 과업과는 차이가 있으며, 교육 현장을 이해하는 안목과 행정적 능력을 동시에 가져야 하는 전문적인 활동임에도 불구하고, 현행의 학교행정가 양성은 주로 단기간의 연수만을 거쳐 이루어져 왔으며, 일반행정직에서 바로 학교행정가가 될 수도 있는 등 전문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학교장의 전문성 수준을 일선 교사들의 의견을 토대로 알아보고, 학교행정가 자격 및 양성제도의 실태와 함께 바람직한 변화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는데 문헌연구에서는 학교행정가 양성제도의 실태를 알아보았고, 조사연구에서는 현재 학교행정가의 전문성 수준과, 제도 개선에의 요구와 방향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조사연구의 방법으로는 먼저 서울시내 교육청 별로 지역을 구분하고 학교를 추출하는 층화군집표집 방법으로 44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한 327부(74.3%)중 신뢰성이 부족한 5부를 제외하고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를 사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다. 모든 문항은 빈도분석을 하고 직급별, 경력별, 출신대학별로 의견 차이를 알아보았는데, x^(2) 검증으로 유의도를 검증했다. 학교행정가의 전문성이란 교사와는 다른 학교행정가의 과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문적 능력, 즉 자질이라 할 수 있는데, 현재 학교행정가의 전문성 수준을 교사들은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아보았다. 교사들은 학교행정가의 교직윤리, 논리정연한 표현력 등의 의사소통력, 인내·근면·추진력 등의 직무태도에 대해서는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인간관계를 잘 조정하는 능력, 합리적 의사결정, 지역사회와의 유대 강화를 위한 노력, 학교경영 계획과 목표관리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편이었다. 그리고 장학지도, 재무관리, 교직원 인사, 효율적인 교육과정 운영에 대해서 주임교사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편이었지만 평교사는 부정적으로 인식하였고, 경력이 많은 교사일수록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학교행정가의 전문성 수준에 대해 직급 및 경력별로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의견 차이가 있었는데, 대체로 주임교사가 평교사보다, 또 경력이 많을수록 더 긍정적으로 응답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사들은 현재 학교행정가의 과업이 전문적 능력을 필요로 하는 활동인가 하는 질문에 대해서는 경력 11년 이상의 교사는 보통이라고, 경력 10년 이하의 교사는 그렇다고 인식하는 편이었다. 그런데 현행 학교행정가 자격제도는 이러한 학교행정가의 전문성을 고려하지 않고 '학식과 덕망' 등의 모호한 자격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경력을 갖추고 단기간의 자격연수만 받으면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교사들은 학교행정가의 자격을 인정할 때 국가자격인정시험을 운영하자는 의견(37.14%)과 시·도 교육청에서 적절한 검정 절차를 운영하자는 의견(37.46%)에 각각 찬성하였다. 기차로는 교육경력과 대학원 이상의 학력을 갖춘 자 중에서 교사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자격을 인정하자는 견해가 있었다. 반면에 현행 자격기준에 의하면 일반행정가가 교육경력 없이도 학교행정가가 될 수도 있어 이 또한 불합리한 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교사들은 학교행정가 양성이 교사와는 다른 경로를 통해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가 하는 질문에 대하여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교사로서의 경력을 필수적인 조건으로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현행 승진 구조에 의하면, 학교행정가가 되는 것은 전문성을 달리하는 일임에도 불구하고, 교사로서 경력을 쌓으면 행정가로 승진이 되었다. 교사들은 현행 학교행정가 양성을 위한 승진 구조가 전문성 있는 학교 행정가 양성에 적합한가 하는 질문에 대해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편이었다. 또 교사들은 현행 승진 구조가 교직 생애의 최고 목표를 교감·교장에 두도록 하고 있는가 하는 질문에 대해서는 매우 그렇다고 생각하는 편이었는데, 주임교사가 더 그렇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인식은 교사들이 평교사로 헌신하게 하기보다는 경쟁적으로 학교장직에 지망하도록 유도하였다 교사들은 이러한 부작용을 없애기 위해 교원 승진 구조를 교수직과 관리직으로 나누고 교수직 자격체계를 2급 정교사-1급 정교사-선임교사-수석교사로 하자는 의견에 찬성하는 편이었으며, 주임교사가 더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또 경력점수 면에서 유리한 연장자가 주로 학교행정가가 되었는데, 대체로 정년에 가까워서 학교행정가로 임용되는 현행 학교행정가 초임발령의 연령이 적절한가에 대해서 전체 교사의 60%가, 특히 경력 5년 이하 교사의 85.71%가 젊고 유능한 인재가 일찍 학교행정가에 임용될 수 있도록 하는 절차 마련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현재 학교행정가 양성은 별도의 전문 교육과정 없이 180시간의 연수만 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외국의 학교행정가들이 석사 이상의 학력을 갖추고 장기간의 전문 교육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학교행정가의 전문화를 위해서는 제도의 개선이 요구되는데 앞으로 학교행정가 양성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이 좋겠는가 하는 질문에 대해서 교사의 48.3%는 교육경력이 있는 자를 대상으로 지금의 교장자격연수보다 장기간의 교육행정 전문직 양성과정을 개설하자는 의견에 찬성했으며, 37.7%는 교육대학원 교육행정 과정을 통해 양성하자는 의견에 찬성하여 86%의 교사가 제도 개선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 학교행정가는 전문화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자격기준을 강화하여 명확히 제시하고 별도의 전문 교육과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학교행정가의 전문성 = 4 B. 학교행정가의 과업과 자질 = 7 C. 현행 학교행정가 양성제도 = 15 D. 외국의 학교행정가 자격 및 양성제도 = 23 Ⅲ. 연구의 방법 = 29 A. 연구 대상 = 29 B. 조사 도구 = 29 C. 자료 처리 = 29 Ⅳ. 결과 및 해석 = 31 A. 학교행정가의 전문성 수준에 대한 인식 = 31 B. 학교행정가 양성제도에 대한 의견 = 44 Ⅴ. 요약 및 논의 = 54 A. 요약 = 54 B. 논의 = 56 참고문헌 = 59 부록 = 61 ABSTRACT =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912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학교행정가-
dc.subject전문화-
dc.subject양성제도-
dc.subject서울시내-
dc.subject공립-
dc.subject중고등학교-
dc.title학교행정가의 전문화를 위한 양성제도에 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시내 공립 중ㆍ고등학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ducation System to specialize the school administrator-
dc.format.pagex, 68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199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