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현미-
dc.creator김현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1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4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5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465-
dc.description.abstractAs the teacher's role become more emphasized in education today, worldwide trend to strengthen the teacher's training program with the continuing to expand the teacher's specialties. A study seen from this point of view has a purpose of examining the te requests about the teacher's training program being conducted in our improve the teachers' specialties and with these results as backgrou ways to improve the general training program and present them. With these purposes in mind, the main research contents establishe follows: First, what is a theoretical basis of a teacher's training? Secondly, what are the teachers ' attitudes toward the middle school attitudes, the educational process and its management, the given cond the system of a general teacher's training program? Thirdly, what are the teachers' requests in regard to the desirab contents that need to be enforced, operated, and directed? As a research method, the documentary research and the field resear conducted side by side. For the documentary research, by examining the necessity, concept, ma principle, and the distinctive character of a general teacher's trai and the transitional process,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our train the problems of our country's general training program were emitted. As for the field research, from the 5 schools in each of the 11 education offices in Seoul, 4-5 teachers were picked randomly and the total of and female teachers were given surveys. The surveys focused on the pr of our present general training system, the teachers requests, and th improvemen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attitudes toward the general training progr expand the teachers' special ties. However, it was their understanding sent general training does not contribute greatly to enhance the proble the actual education and thus does not contribute to enhancing the teach specialties. Secondly, from the 4 domains, general educational theory, the textbook textbook guidance method, and the general culture, teachers hoped textbook guidance method, which can be applied in an actual education would be emphasized. And as results of examining the priorities in each of the 4 domain general educational theory domain, the students' living guidance in th -related domain, the understanding of a new educational process, in th guidance method domain, the textbook guidance techniques, and in the culture domain, the usage method of computers and the practical s education were most preferred. Thirdly, in the plans and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general train onal process, the advance notification and the teacher's level tes really being performed. Fourthly, in the present general training educational process, the b ion and the other training education process were being repeated and systemized. Fifthly, in the operation process of a general training pro educational method the teachers hoped for in the first place were ob study by inspection, and the audiovisual education that were closely r the actual field. In the evaluation, the teachers showed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the grade evaluation and the influence of the lecture content, but hop evaluation method centered on the attitude of participation. Also, the teachers saw that the instructors' understandings of th field were low, and pointed out that in the teaching method, the ch questions and discussions were very insufficient. As for kind of instr hoped for, they picked someone who is experienced in the field. Sixthly, related to a given condition and the system of a training the general training programs were not established sufficiently by eac ms, and therefore, th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were low. In the selection of the participants of the general training pr teachers hoped for the first-come-first-served basis, and for the pe training to be conducted during the school vacation, and the allocat completion time to be varied according to the training content. Also, as for the plans to combine with the broadcast training, th were positive. Seventhly, the teachers' understandings were that, in the most rec of the training program compared with the past general training prog voluntary participation and the training facilities were somewhat imp as for the evaluation method, there was no big change. Eightly, as for the reasons of the impedance of the active genera program, the relativity of the training material and the actual fie1 problems in the efficiency of the method, and the desire of the train low due to the school overwork were pointed out. Finally, as for the ways to improve the system of the training prog teachers hoped for the individual completion time to be in effect w were in office and especially, the private school teaching staff re manpower assistance for the loss of the teaching time. From these results, the problems of the general training program c towards the present middle school teaching staff are the systematic the training process, the unsuitability of the training material and the unsatisfactory instructors, and the impedance that comes from t overwork and the lack of desire of the training due to the burden of s Therefore, in this research, while these problems of the presen training program as center points, the plans for improvement were pres First, when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training materials are s organized to integrate, as executors of educations, the teaching sta participate will increase. For these, it is proposed that in each trai [Department of Training Program Education Research] which will be oper collaboration with a college proffesor, schoarship research personnel, manager, and the competent field teacher, to be established and operat Secondly, the training instructors should possess the combinatio experience in the frontline of the educational field and the educational They also should seek to gradually establish the training professor-inch Thirdly, the training system that will generalize each training fa to be constructed and operated in order to systemize the training e process. Fourthly, with the sufficient establishment of the training proce curriculums, the opportunities of the teacher's training need to be ex Fifthly, for the training method, participation methods, such as study, discussions/debate, case presentation, and the audiovisual met be used and the evaluation method need to be varied according to the c of each training program. Also,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need t into account and reflected in the formation of the next training process. Also to strengthen the motive of learning, the completion time of th could be creditized and these credits to be accumulated and relate salary and promotion. Finally, to obstruct the impedance of the desire of the training from the loss of the teaching time and the school overwork, the active the broadcast training need to be examined.;오늘날 교육에 있어 교사의 역할이 강조되면서, 교원의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신장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교원연수를 강화하고자 하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교원의 자질향상을 위해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일반연수에 관한 교사들의 요구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연수의 개선방안을 모색·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된 주요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연수의 이론적 기초는 무엇인가? 둘째, 일반연수에 대한 중등교사들의 연수에 대한 태도, 교육과정과, 그 운영과정 및 여건과 제도에 대한 교사들의 태도는 어떠한가? 셋째, 앞으로 실시·운영되어야 할 바람직한 연수의 내용 및 방향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는 무엇인가?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현장조사연구를 병행하였으며, 문헌연구에서는 현직연수의 필요성, 현직연수의 개념 및 유형, 현직연수의 원리 및 특성, 우리나라 연수제도의 변천과정 및 현황을 살펴보았다. 현장조사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에 소재하는 11개 교육구청 중 각 교육구청별로 5개 학교씩 4-5명의 교사를 무작위 선정하여 남녀 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현행 일반연수제도의 문제점과 요구 및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을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일반연수에 대한 연수관은 전문적 자질향상이었으나 현행 일반연수는 이론적 심화와 교육현장의 문제해결력 향상에 크게 공헌하고 있지 못해 교원의 전문성 향상에 기여하지 못한다는 것이 교사들의 인식이었다. 둘째, 교사들은 일반교육학 이론, 교과내용의 심화, 교과지도법, 일반교양의 네 영역중 실제 교육현장에 활용될 수 있는 교과지도법에 관련된 내용이 강조되기를 희망하였다. 또한 네 영역별로 우선순위를 두는 내용을 조사한 결과, 일반교육학 이론 영역에서는 학생생활지도를, 교과내용에 관련된 영역에서는 새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교과지도법 영역에서는 교과지도기술을, 일반교양에서는 컴퓨터 활용법 등의 실용적인 특기교육을 가장 선호하였다. 셋째, 현행 일반연수 교육과정의 수립 및 운영에 있어 사전안내와 교사의 선행학습 확인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넷째, 현행 일반연수교육과정은 직전교육 및 타연수교육과정과 중복이 되고 계열화되어 있지 않았다. 다섯째, 일반연수의 운영과정면에서 먼저 교사들이 희망하는 교육방법은 관찰·견학, 시청각 교육 등 실제현장과 밀접하게 관련되어진 교육이었다. 평가에 있어서 성적평가의 공정성이나 강의내용의 반영도에 대해서는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나 평가 방법으로는 참여태도를 중심으로 한 평가를 희망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강사들이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도가 낮다고 보고 있고 수업방식에서는 질문 토론의 기회가 매우 부족한 점을 지적하였으며, 희망하는 강사로는 현장실무경험자를 꼽았다. 여섯째, 연수의 여건 및 제도와 관련하여 일반연수가 각 교과별로 충분히 개설되지 않아 그 참여기회가 적다고 하였으며 일반연수의 대상은 희망자 순으로, 연수실시는 방학중이 될 것을, 이수시간은 내용에 따라 다양한 시간을 배정해 줄 것을 희망하였다. 또한 방송연수를 겸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긍정적이었다. 일곱째, 과거 일반연수와 비교하여 최근의 연수의 변화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자발적인 참여나 연수시설은 어느 정도 개선되었다고 보고 있으나 평가방법에 대해서는 큰 변화가 없다고 보고 있다. 여덟째, 일반연수 활성화 저해요인으로는 연수내용이 현장과의 연계성이 부족하고 방법의 효율성에 문제가 있으며 학교의 업무과다로 인해 연수의욕이 낮다는 점 등을 지적하였다. 아홉째, 연수의 제도 개선안에 대해 교사들은 재직기간 중 개별이수를 희망하였으며 특별히 사학교원은 수업결손에 따른 인력의 보조를 요구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현행 중등교원을 대상으로 한 일반연수의 주요 문제점으로는 연수과정 체계성의 결여, 연수내용 및 방법의 부적절, 강사의 자질미흡 및 학교의 업무과다나 수업의 부담에서 오는 연수의욕 저해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행 일반연수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그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연수내용의 이론과 실제가 통합되도록 선정·조직될 때 교육실천자로서의 교원의 일반연수 참여의지가 높아질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각 연수기관에 대학교수와 장학 연구직 요원, 연수기관 운영자 및 유능한 현장교사의 협동체로 운영되는 「연수교육과정연구부」 를 설치하여 운영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연수강사진은 일선 교육현장의 경험과 학문성을 겸비한 사람을 중심으로 연수전담교수제도의 점차적인 확립을 꾀해야 할 것이다. 셋째, 각 연수기관을 총괄하는 연구기구가 구성·운영되어 연수교육과정의 체계화를 이루어야 한다. 넷째, 각 교과별 연수과정의 충분한 개설로 교사들의 연수기회가 확대되어야 한다. 다섯째, 연수방법은 현장견학, 협의·토의, 사례발표, 시청각 방법 등의 참여식 교육이 활용되어야 하며, 평가방법도 연수의 성격에 맞추어 다양화되어야 한다. 또한 평가의 결과는 다음 연수교육과정 구성시 반영되도록 한다. 그리고 학습동기를 강화하기 위해 연수이수시간을 학점화하여 이를 누적할 수 있게 하며 승급과 보수에 연계시킨다. 일곱째, 수업결손과 학교업무의 과다로 인한 연수의욕 저해를 막기 위해서 방송 연수의 적극적 활용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의 문제 및 내용 = 5 C. 연구의 제한점 = 7 D. 용어의 정의 = 7 Ⅱ. 이론적 배경 = 9 A. 교원의 전문성 신장과 현직연수의 필요성 = 9 B. 현직연수의 개념 및 유형 = 12 C. 현직연수의 원리 및 특성 = 21 D. 한국의 일반연수 운영 현황 = 23 Ⅲ. 연구의 방법 = 38 A. 조사대상 = 38 B. 조사도구 = 39 C. 자료의 처리 = 40 Ⅳ. 결과의 해석 및 논의 = 41 A. 연수관 = 41 B. 알반연수 교육과정 구성과 내용 및 운영 = 43 C. 운영과정 = 52 D. 연수여건 및 제도 = 58 E. 개선방안 = 63 Ⅴ. 요약 및 결론 = 68 참고문헌 = 74 부록 = 77 ABSTRACT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540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등교원-
dc.subject일반연수-
dc.subject교원연수-
dc.subject교육과정-
dc.title중등교원의 일반연수 요구 분석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analysis of the middle school teacher's training program-
dc.format.pagex, 89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dc.date.awarded199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