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崔明珠-
dc.creator崔明珠-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6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228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53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285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社會相의 집약적이며 총체적 반영물로서의 호칭어를 성별 기준에 의한 對立關係로 체계화하여 사회적 맥락과 연관지워 파생되는 여러 문제들을 고찰하려는데 있다. 여기에서 파생되는 문제들은 주로 여성호칭이 남성호칭에 대해 造語過程에서와 意味變化上에서 차별화된 흔적을 밝히는 데 주력하였고, 이에 대한 연구 방법으로는 社會言語學的 측면이 강조되었다. 이와같은 연구주제의 성격과도 결부하여 본 연구는 부분에서 전체로 시각이 확대되어 가는 근래의 학문적 동향에 발맞추어 언어학과 여성학의 접목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논의된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男女同位呼稱은 性別이라는 의미자질에 있어서만 변별적이고 나머지 자질에서는 잉여적인 호칭의 짝을 말한다. '同位'라는 말은 性差를 제외한 나머지 자질에서는 동등하다는 의미에서 편의상 붙여진 이름이다. 둘째, 對立關係의 개념은 구조주의 언어학에서 처음 도입되어 현대 언어학의 기본원리가 되고 있는 이항대립의 개념을 기초로 규정하였다. 세째, 男女同位呼稱의 목록을 구성하는 데는 男女一般呼稱, 父母呼稱, 子女呼稱, 兄弟·姉妹呼稱, 夫婦呼稱으로 구분하여 성별에 의한 대립관계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쌍점(:)' 표시를 하여 제시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네째, 男女同位呼稱을 造語法上의 특성 면에서 살펴볼 때 性差別 흔적이 발견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남성과 여성의 격리된 생활공간을 상징하는 '밖'과 '안'의 대립적 개념이 남녀호칭에 일관된 조어규칙으로 작용하고 있음은 尊陽抑陰觀에 뿌리를 둔 유고윤리와 가부장제하에서의 남성우선 특권이 반영된 것으로 보았다. 또한 尊稱語나 謙稱語에서는 부부호칭을 제외하고 남성호칭이 월등한 숫적 우위를 점유하고 있으나, 정상적인 가족 형태에 수용될 수 없는 準親族語나 그 밖의 하층 특수사회의 호칭에서는 여성에 대해서만 호칭이 발달해 온 것을 알 수 있고, 通性名詞에 있어서도 특별히 남성을 분별하는 호칭이 없는 반면, 여성임을 지시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호칭이 필요불가결했음이 지적되었다. 男女關係를 지시하는 卑稱의 호칭에 있어서는 여성지시의 字가 앞서 놓여지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이는 여성에 대한 조소적 감정이 작용한 데 말미암은 것으로 보았다. 다섯째, 호칭의 의미는 美的 價値에 있어 시간적인 경과에 따라 변이가 일어나기도 하였다. 輕蔑的 發展으로 가치가 내려가는 경우도 있었고, 改良的 發展으로 가치가 향상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이들 상반되는 미적 가치는 모두 여성호칭의 품격향상을 위해서는 도움을 주지 못했음을 결과적으로 알 수 있었다. 여섯째, 현재 쓰이고 있는 남녀호칭어들은 유교를 국시로 한 조선 역사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렇게 전통적 윤리의식이 담겨 있는 호칭들이 서구의 진보적 자유사상이 유입되어 그 사용의 세력판도가 흔들리어 순수전통지향도 현대적인 개방적 사고방식지향도 아닌 혼미를 거듭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에 의거하여 여성차별의 면모가 발견되는 호칭사용은 마땅히 지양 되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ze the address forms by the opposite relationship due to the difference of sex and to examine many problems which stem from correlating these with social context. Here, I concentrated my effort on inquiring mainly in the viewpoint of sociolinguistics the traces that the address forms of woman have been discriminated compared with those of man in the course of making the coinage and changing of the meaning. And I tried the joint of linguistics and woman studies not only relating to the character of this topic but also keeping step with the today's trend of studies that tends to transfer from the part to the whole. The summaries studi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ame level address forms between man and woman is distinctive only in the semantic feature of sex and redundant in the rest. The word 'same level' is called for convenience' sake, in the meaning of the equality in the other semantic features except the difference of sex. Second, the conception of the opposite relationship was defined on the basis of the binary opposition, that is, a basic principle of modern linguistics. Third, The lists of the same level address forms between man and wonam were classified in the general address form of the sexes, the address form of the parents, the address form of sisters and brothers, and the address form of the couple. And the mark of ':' was presented to grasp the opposite relationship due to the difference of sex at a glance. Fourth, examining the idiosyncrasy of the word formation same level address form, I found the traces of the distinction of sex. The opposite concepts of 'outside' and 'inside' that symbolize the woman's and man's segregated living space acted consistently as the word formation rule in man's and woman's address forms. This trait is caused by the privilege of 'man first' under the patriarchal system and the confucian ethics rooted in the viewpoint of respecting the positive and oppressing the negative. (cf. The dual principle of the negative and positive, that is, the shade and light has been considered as the principle creating and governing the cosmos in the Oriental philosopy.) Also, in the words of an honorific and modest form, the man's address form is far exceeded in number, save the address form of the couple but in the quasi-kinship terms which can not be belonged to those of the normal family system and in the address firms of the other lower-class paticular societies, the address form has been developed only on woman. And in the course of the interpretation about the noun of the common gender, it has been found that the special address form is essential to indicate the womanhood, while there aren't special man's address forms. In the humble forms indicating the relations of man and woman, the phenomenon that the letter meaning a female is placed ahead in letter order can be found due to the derisive feeling of the woman. Fifth, in the esthetic value, the meaning of the address form happened to change according to the time process. The esthetic value was falled to the pejorative development or rised to the ameliorative development. But these contrary esthetic values never render a help for the improvement of dignity in woman's address form i.e., The address form of woman compared with that of man has been relatively disregarded in the aspect of the meaning change. Also, there is a case that the discriminated address form has been embellished to the address form of dignified sensitivity at this time. Sixth, the now used address forms of man and woman are creatures of the history in Lee Dynasty of the Confucian countury. And these address forms are being thrown into confusion neither the purely conventional state nor the modern progressive state. In results, the use of these discriminated address forms of woman has to be restrained just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ⅳ Ⅰ. 序論 = 1 A. 硏究의 目的 = 1 B. 硏究史 槪觀 = 3 C. 硏究의 範圍 = 6 D. 硏究의 方法 = 7 Ⅱ. 男女同位呼稱의 對立關係 = 9 A. 對立關係의 개념 = 9 B. 對立關係의 區分 = 17 Ⅲ. 對立關係에 대한 종합적 검토 = 44 A. 造語上에 나타난 문제점 = 44 B. 意味變化上에 나타난 문제점 = 60 Ⅳ. 男女同位呼稱에 대한 社會言語學的 연관성 = 67 A. 傳統倫理意識이 반영된 남녀동위호칭 = 67 B. 西歐文化의 유입으로 인한 呼稱의 혼란상 = 70 Ⅴ. 結論 및 提言 = 73 參考文獻 = 75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786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한국어-
dc.subject남여동위호칭-
dc.subject대립관계-
dc.subject한국어교육-
dc.title韓國語에 있어 男女同位呼稱의 對立關係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社會言語學的 측면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Opposite Relationship of the Same Level Address Forms between Man and Woman in Korea : Mainly in the viewpoint of sociolinguistics-
dc.format.page8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198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