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7 Download: 0

고등학교 작문교과서의 비교 연구

Title
고등학교 작문교과서의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f High Schools' Composition Textbooks
Authors
이명희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Keywords
고등학교작문교과서표현단위어휘론 영역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국어 교육의 목표는 언어 사용 기능의 신장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 교육의 성취 단계라 할 수 있는 작문 과목에서 표현의 단위를 살펴 보아 실질적인 작문 기능의 발달을 꾀하며, 나아가서 효과적인 언어 사용 기능의 신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5차 교육과정에 따른 작문 교과서 8종을 대상으로 각 교과서의 표현의 단위를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 과정에서 그 근거는 학교 문법과 문법 이론, 제5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규정한 작문 과목 교육 내용을 택하였으며, 학습자의 작문 기능의 발달에 효용성이 있는가 하는 학습 효용상에 그 근거를 두었다. 비교, 분석 과정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8종의 작문 교과서에 실린 표현의 단위의 내용이 제5차 교육 과정에서 규정한 작문 과목 교육 내용과는 거리가 있다. 2. 학습자가 작문 과정의 각 단계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책략의 제시가 충분하지 못하다. 3. 기본 개념의 제시 및 용어 사용에 있어서 교과목 또는 교과서마다 다소 차이가 있다. 4. 문법 내용과 관련된 항목에 대하여, 전체적인 체계를 제시하지 않고 교과서에 따라서 부분적인 내용만 제시하고 있다. 5. 교과서의 내용 전개 과정에서 문법 과목과의 연계성, 학습자의 준비도 등을 고려하지 않은 부분이 있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제안해 볼 수 있다. 1. 작문 교과서에서 표현의 단위의 교육 내용은 교육 과정에서 규정한 내용을 지침으로 하여 충분하고 구체적으로 선정해야 할 것이다. 2, 실제적인 작문 과정의 각 단계에서 학습자가 사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책략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특히 적용의 단위가 광범위하고 의사 소통상의 목적에 영향을 많이 받는 문단 영역에 있어서는 담화를 문법을 통해서 그 가능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3. 기본 개년의 제시는 문법 교과서의 내용과도 일치하는 정확한 개념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도 국어과의 교과목들 사이에서 또는 작문 교과서들 사이에서 통일하여야 할 것이다. 4. 세부적인 문법 지식은 문법 교과서에 미루더라도, 작문 교과에서 필요한 항목에 대해서는 전체적인 문법 체계를 이해 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을 선정해야 할 것이다. 5. 교과서의 내용 전개 과정에서 교육 내용의 선정은 물론 예문 하나, 용어 하나의 선택에 있어서도 문법 과목과의 연계성, 학습자의 준비도 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Th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lies in developing the ability of putting language to 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practical composition ability which can be said the final achievement stage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grammar availability in the writing course, and more over, to contribute to more effective language use ability.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practical use of grammar on composition in the eight kinds of textbooks designated from the fifth education course. In course of comparison, the the basis is founded on school grammar, grammatical theory and the contents of composition books designated from the fifth education course of Korean language subject, and also on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proving the development of students' writing ability. The result from the comparison and analysis is as follows. 1. The grammar use in the eight kinds of composition books is far from the aim specified in the fifth education course. 2. They are short of the presentation of specific skills applied to by students in each level of writing. 3. Regarding to the contents of grammar, they show only partical matters, instead of general outlines. 4. Each course or each textbooks has some defference in the presentation of basic concept and terms. 5. In parts, they don't consider the connection with grammar and the students' readiness in the stating the contents of each textbooks. Therefore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shown for the aboves. 1. The practical use of grammar in composition books should be selected enough and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education course. 2. Specific skills should be shown in each level of practical writing so that students can use them. We can find possibility, especially through discourse grammar, in the paragraph field that has wide application and affected by communication. 3. Basic concept should be provided precisely in accordance with grammar textbooks. Also terminology should be standardized among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or composition textbooks. 4. Detailed grammar could be taught in grammar textbooks. However, items needed in the composition books should be taught so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the whole system of grammar. 5. In course of stating composition books, not only the choice of even an example or a term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with grammar books and students' readine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