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9 Download: 0

단위학교 책임 경영제의 효과적 적용을 위한 초등학교장의 준비성 조사 연구

Title
단위학교 책임 경영제의 효과적 적용을 위한 초등학교장의 준비성 조사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Readiness of Principals of Primary Schools for Effective Application of School-Site Based Management : With the focus of primary schools in Seoul
Authors
이현수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Keywords
단위학교책임경영제초등학교장교육행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학교교육의 질적 향상에 대한 요구 및 교육자치제 정착에 관한 요구와 더불어 단위학교의 자율적 경영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단위학교 책임경영제의 시행을 앞두고 단위학교 책임경영 이론을 배경으로 우리나라 초등학교장들이 가지고 있는 준비성의 정도를 밝혀보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 문헌들을 고찰한 다음 이를 토대로 서울시내 초등학교장들의 준비성을 교육과정 운영, 예산관리, 인사관리의 세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조사연구는 서울시내의 초등학교장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SAS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적 처리를 하였다. 설문지의 문항은 학교장들의 단위학교 책임 경영제에 관한 인식수준을 알 수 있고, 학교경영의 세 영역과 의사결정과정 및 지도력 기술에 관한 준비성을 알아볼 수 있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을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위학교 책임 경영제에 대한 학교장들의 호응도는 높은 편이며 이 제도가 교육여건을 개선시킨 후 점진적으로 시행되거나 여건은 조금 부족해도 교육발전을 위해 빨리 시행되기를 대체적으로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경영의 중요한 세 영역에 관해서는 고른 준비성을 갖추지는 못하고 있으나 교육과정 운영 전 영역의 준비성이 매우 높으며, 예산관리와 인사 관리의 준비성이 다소 낮다고 해도 준비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잠재력이 매우 높았다. 셋째, 의사결정과정을 공유하려는 학교장들의 준비성은 교사참여 및 위임에 관련된 항목이 학부모 참여 및 위임에 관련된 항목보다 다소 높다고 할 수 있으나 전체적인 준비성이 보통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제도차원의 평가체제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도력 발휘 기술에 관한 학교장들의 준비성은 매우 높아서 단위학교 책임 경영에 대해 강한 자신감을 표시했다. 학교장의 지도력은 단위학교 책임 경영제의 성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므로 이 영역의 높은 준비성 수준은 앞으로 제도를 전면 실시하게 될 때의 성공가능율을 높여준다고 판단된다. 이와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단위학교 책임 경영제의 정착을 위해 정책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과제를 제언하고자 한다. 우선 단위학교 책임 경영제에 관한 학교장들의 기대에 부응하여 예산관리와 인사관리 영역 및 의사결정과정의 공유에 관한 준비성 수준을 향상시킬 구체적 전략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교육과정 운영 영역과 지도력에 관한 학교장들의 준비성 수준이 매우 높으므로 시·도 교육청과 지역 교육청은 단위학교의 자율성 향상과 경영효과를 위해 관련 결정권들을 과감하게 이양하고 학교경영평가 및 학교장 평가를 통해 책무성을 물어야 하며 제도 정착때까지 단위학교별 준비성 수준에 따라 지속적으로 전문적 지원을 계속해야 할 것이다.;Along with demand for improvement in quality of school education and demand for implanting roots for autonomy in education school-site based management is stressed now more than any other times b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on the basis of school-site based management theory the extent of readiness on the part of primary school principals in Korea at this juncture of imminent implementation of school-site based management. To this end, available literature on this subject has been studied and on the basis of this study this writer classified the readiness by the primary schools principals in Seoul area into three categories namely 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budget planning and expenditure and personnel interviewing and selection of staff and had the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means of questionaries sent to the primary schools principals in Seoul and the results of such survey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SAS package program. And questions in the questionnaires were organized in such a way that level of recognition on the school-site based management by primary schools principals can be discovered and readiness for establishment of policies and procedures for school and leadership skills can be discovered. The result of the survey through analysis of data is as follows: Firstly, the level of reponses of the schools principals on the school-site based management theory was relatively high and they were desiring either for its gradual implementation after improvement in educational circumstances or earlier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for advancement of education even when the conditions are not ready yet. The negative responses on the system itself was only 3.26%. Secondly, with regard to 3 major fields in the school operation it was revealed that although readiness was not uniform but the level of readiness for overall curriculum operation was very high and potentiality for growth very high in spite of relatively low readiness in the aspect of budget planning and expenditure and personnel interviewing and selection of staff. Thirdly, in terms of readiness on the part of school principals to have shared decision making it was revealed that the part of teacher's participation and delegation showed slightly higher level than that of parent's participation and delegation. But overall level of readiness was shown as ordinary so evaluation scheme in a dimension of system is required. Fourthly, readiness of school principals on leadership exercise skills was shown as very high demonstrating the strong confidence on the school-site based management. Since it is known that leadership of school principals is most influential factor for the success of school-site based management hence high level of readiness in this field is considered as contributing to high level of success when the system is implemented in earnes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mentioned above a few suggestions are presented for future consideration for establishment of school-site based management.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present specific strategy for improving the readiness for shared decision making for budget planning and expenditure and personnel interviewing and selection of staffs. In view of high level of readiness of school principals in connection with 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and leadership education office for the cities and provinces and local areas shall boldly transfer related power to make decisions for enhancing autonomy and effect of operations of school sites and through evaluation of school operations and principal's evaluation schools shall be asked of their responsibilities and until the time of firm consolidation of the system and depending on the level of readiness by school-sites persistent and professional supports shall be offe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