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효전-
dc.creator최효전-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5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55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32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2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329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eacher's expectation levels for the teaching supervision classified into 3 areas as the planning conference, the observation of teaching and the evaluation conference. For this purpose, I described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general concepts, teacher's attitude, requirement of teaching supervision and a process of teaching supervision, and then performed observation study by questionnaires.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was sorted 3 areas as the planning conference, the observation of teaching and the evaluation conference, and total items of questionnaire were 35. Two variables were considered ; one was personal variable (male or female), and the other was school variable (public or private school).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530 teachers from 14 public and private middle schools in Pusan, and 499 questionnaires of them, which was 94.15% were retrieved. It was calculated the average score of each variable and group from the collected data, and then analyzed teacher's expectation level every area. Then, it was observed the statistic probability at 1% level by using Chi squire-test. From the analysis of the above observation study,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an area of the planning conference, all teachers expected principal's supports to buy various materials and instruments, and expected to be held the planning conference by requirement of teachers. But they had negative opinions to draw up only documents and make a round of inspection by principal or vice-principal for teaching supervision. In school variable, the expectation levels for opportunities of the study and training of teachers in private schools was higher than that of teachers in public schools, and the negative opinions of teachers in private schools for inspection by principal or vice-principal was stronger than that of teachers in public schools. In personal variable, the expectation levels of male teachers group for a workshop class and encouragement from teaching supervisor with a same fellow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teachers group. But the expectation level of female teachers group for opportunities of the study and training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teachers group. 2. In an area of the observation of teaching, all teachers didn't want to be desecrated personally by teaching supervisor. In personal variable, the expectation levels of male teachers group for the objective and analytic teaching observ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teachers group. 3. In an area of the evaluation conference, all teachers expected to examine self through inspecting a class at work and their teaching study. In school variable, the expectation levels of teachers in private schools for the requirements of teaching supervision was higher than that of teachers in public schools. In personal variable, the expectation levels of male teachers group for the evaluation of the requirements and for the effects of teaching supervision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teachers group.;본 연구는 교사들의 수업장학에 대한 기대를 수업장학의 절차인 계획협의회, 수업관찰, 평가협의회의 3가지 영역에 따라 알아보려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서두에 수업장학의 일반적인 개념, 수업장학에 대한 교사들의 태도, 수업장학의 필요성, 수업장학의 절차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서술하였으며, 질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를 하였다. 질문지 문항은 계획협의회, 수업관찰, 평가협의회의 영역에 따라서 35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실제조사에 앞서 중학교 교사 35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여 문항의 타당성을 검토한 후 수정·보완하여 본 조사에 이용하였다. 변인으로는 개인신상별 변인(남교사·여교사)과 교사들이 소속되어 있는 학교의 설립별 변인이 비교되었다. 조사대상은 부산시 공·사립 중학교 14개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530명을 대상으로 무선표집하여 질문지를 배부하였으며 499부가 회수되어 회수율은 94.15%이었다. 이중 자료처리가 가능한 질문지는 467부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 문항별로 5간 척도에 따른 반응의 평균 점수를 산출하여 각 영역마다 교사의 기대를 학교설립별·성별로 비교 분석하였고, Chi square-test를 통해 .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도를 살펴 보았다. 조사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계획협의회 영역에서 전체 교사들은 자료, 도구의 구입을 위한 학교장의 지원 및 협의회는 교사의 요청으로 시작하기를 아주 높게 기대하고 있으며, 수업장학담당자와 신뢰적·동료적 관계를 확립하여 친화감을 형성하기, 학교장이 각종연수 기회를 제공하여 교사들의 성장발달을 지원해 주기, 같은 교과 교사와 공동연구 및 협의를 통하여 다른 교사의 의견을 참고하기, 수업장학담당자가 동료장학담당자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용기를 북돋아 주기 등의 분야에서 기대가 높았다. 그러나 교육청의 장학지도에 대비해 서류상으로 수업연구 계획만 짜놓거나 교장·교감의 교내순시를 통한 수업장학에 대해서는 아주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으며, 나머지 문항들은 보통의 정도로 기대를 나타내고 있다. 설립별로는 사립학교 교사가 공립학교 교사보다 학교장이 각종연수의 기회를 제공해 주기를 더욱 기대하였다. 그러나 교장·교감의 교내 순시를 통한 수업장학은 사립학교 교사들이 공립학교 교사보다 더욱 불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성별로는 수업장학 활동이 지속적으로 시행되기를 기대하는 정도, 같은 교과 교사의 수업공개, 수업장학담당자가 동료장학 담당자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용기를 북돋아 주기에 대한 질문에서 남교사의 기대가 여교사의 기대보다 높았으나, 학교장이 각종연수 기회를 제공하여 교사들의 성장발달을 지원해 주기 바라는 정도는 여교사의 기대가 남교사의 기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수업관찰 영역에서 전체 교사들은 수업장학 담당자가 수업관찰을 통해 교사를 개인적으로 모독하지 않기 및 교사나 학생에게 방해가 되지 않게 관찰하기를 아주 높게 기대하고 있으며, 수업행동과 학생활동이 어떻게 연결되고 있는가를 주의 깊게 관찰하기, 단위 시간내의 학습목표가 어떻게 얼마나 달성되는가에 관심을 두기, 수업관찰을 통해서 현장에서 발생되는 문제점 발견 및 학습정보를 교환하기, 수업방법 개선을 위해 치밀한 사전 계획과 충분한 교재연구로 수업을 하고 있는지 등의 분야에서 기대가 높았다. 그러나 수업시작과 끝부분 10분씩만 부분적으로 관찰하는 것은 불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나머지 문항들은 보통의 정도로 기대를 나타내고 있다. 성별로는 객관적인 수업관찰지를 마련하여 객관적이고 분석적인 관찰에 주안점을 두기를 기대하는 정도는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평가협의회 영역에서 전체 교사들은 시범적인 수업을 참관하거나 자신의 수업연구 활동을 통해 스스로의 수업을 반성하기를 아주 높게 기대하고 있으며, 수업장학담당자가 수업개선을 돕는 장학활동을 하기, 협의회가 시작될 때 장학담당자가 이야기를 주도하기 보다는 교사가 주도하도록 해주기, 수업장학의 필요성 및 그 효과에 대해 알기, 자기 자신의 수업기술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나 지도·조언을 받기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그러나 수업연구는 수업자체 보다도 평가협의회에 더 무게를 두는것에 대해서는 아주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으며, 나머지 문항들은 보통의 정도로 기대를 나타내고 있다. 설립별로는 사립학교 교사가 공립학교 교사보다 수업장학에 대한 필요성 인식, 수업공개를 참관한 교사는 의무적으로 협의회에 참석하기를 기대하고 있으며, 수업연구는 수업자체 보다 평가협의회에 더 무게를 두기에 대해서는 공립학교 교사들이 더욱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성별로는 수업장학의 필요성 및 그 효과에 대해 알기, 시범적인 수업을 참관하거나 자신의 수업연구 활동을 통해 스스로의 수업을 반성, 수업관찰을 통해 수업행동 및 수업을 이끌어 나가는 기술이 평가되기에 대한 질문에서 남교사의 기대가 여교사의 기대보다 모두 높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용어 정의 = 4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수업장학의 개념 = 5 B. 수업장학에 대한 교사들의 태도 = 12 C. 수업장학의 필요성 = 17 D. 수업장학의 절차 = 21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27 A. 조사도구 = 27 B. 조사대상 = 28 C. 조사실시 및 자료처리 = 29 Ⅳ. 조사의 결과 및 해석 = 30 A. 계획협의회에 대한 교사들의 기대 = 30 B. 수업관찰에 대한 교사들의 기대 = 35 C. 평가협의회에 대한 교사들의 기대 = 38 Ⅴ. 요약 및 결론 = 44 A. 요약 = 44 B. 결론 및 논의 = 47 참고문헌 = 49 부록 = 51 ABSTRACT =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510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수업장학-
dc.subject교사-
dc.subject기대-
dc.title수업장학에 대한 교사들의 기대 조사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Observation Study on Teacher's Expectation for the Teaching Supervision-
dc.format.pageviii, 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행정분야-
dc.date.awarded199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