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9 Download: 0

李淸俊 小說의 空間 硏究

Title
李淸俊 小說의 空間 硏究
Other Titles
(The) study on the space in the novels of Lee Chung Jun
Authors
申季澈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Keywords
이청준소설공간Space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이청준의 소설 세계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위해서 인물의 공간 이동에 따른 행위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여 공간의 주조와 의미를 알아 보았다. Ⅱ장에서는 현실 공간을 좌절과 갈등의 부정적 공간으로 인식하는 인물들이 다른 공간으로의 탈출을 시도하여 현실의 좌절과 갈등을 해소하는 긍정성이 회복되는 공간과 오히려 더 좌절하고 파멸하는 부정성이 강조되는 공간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여기에서 두 개의 공간축인 외공간과 내공간이 각각 '찾아떠나다'와 '되돌아오다'의 행위에 연결되어 이 행위에 따른 공간 의미를 검토하였다. 우선 긍정성이 회복되는 공간에서는 좌절과 갈등의 현실 공간인 외공간에서 어머니의 무의식적 변형인 미스 윤과 아낙들이 있는 내공간으로 이동하여 따스함과 안정을 얻음으로써 긍정성이 회복됨을 볼 수 있었으며 또한 자아 회복의 공간인 '동백골'과 '물 속의 꽃마을'은 주인공의 내면 의식속에 잠재해 있는 고향으로, 내면 의식을 통해 고향 체험(내공간으로의 이동)을 함으로써 어머니를 느끼고 안정과 위로를 받을 수 있는 긍정성이 회복되는 공간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공간의 특성은 내밀함을 지향함과 아울러 의미면에서도 여성쪽을 추구하고 있어 모성 지향적인 요나공간임을 알 수 있었다. 부정성이 강조되는 구속 공간은 '감옥' '도시' '사회' 등으로 개인의 내부 공간보다는 사회적으로 확장된 외부 공간에서 잘 나타나 있었다. 인물은 현실의 좌절과 갈등으로부터 탈출하여 도시를 지향하거나 사회적 공간으로 이동하는데 그 속에서 외부적인 힘, 권위의 상징인 '전짓불' '남성'을 만나게 되어 오히려 더 좌절하고 그 공간에 함몰되어 죽음으로써 고향에 '돌아오거나' 철저하게 파괴되어 새로운 공간인 '남쪽' 고향마을을 '찾아떠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현실 공간의 좌절로부터 초월하여 새로운 공간을 찾아떠나는 인물의 공간 이동에 따른 행위에 초점을 두고 內/外의 수평 공간 뿐만 아니라 上/下의 수직 공간도 혼합되는 총체적 공간으로서 '天上'과 '바다'라는 자연 공간을 모색하는 인물을 보게 된다. 여기에서 인물은 죽음을 거쳐 재생이라는 공간적인 영원성을 획득하는데 수직적 상승 구조인 '별'과 '소리', 하강구조인 '섬' '남쪽'으로 나누어 살펴 보았다. 수직적 상승 구조인 '별'과 '소리'에서는 주인공이 현실적이며 부정적인 수평공간을 탈출하여 현실을 초월한 天上에 이르러 '별'과 만남으로써 기쁨의 공간 체험을 하며 소리를 통해 '비상학'으로 날으는 순간 '인간적인 모든 질곡과 고통에서 해방'되어 인물이 현실에서의 좌절과 갈등에서 벗어남을 볼 수 있었다. 수직적 하강 구조에서는 인물이 내공간인 섬에서 배를 통하여 외공간인 바다로 나가는 수평 구조와 하강적 행위를 통하여 바닷속으로 들어가는 수직구조를 나타내었다. 부정적 공간인 현실의 삶을 탈피하여 새로운 공간을 찾기 위한 주인공의 죽음은 재생을 위한 죽음으로 聖의 세계를 거쳐 다시 俗의 세계로 돌아오는 구조였다. 결국 주인공이 찾아 헤매던 공간은 환상의 공간이며, 관념의 공간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肉/外, 上/下의 총체적 공간에서는 인물의 행위에 따른 공간적 가치가 수평적 구조일 때는 부정적인 것으로, 수직적 구조일 때는 수직적 상승과 하강을 통하여 존재론적 전환을 가져옴을 알 수 있었다. 李淸俊 소설 전반에 걸쳐 나타난 다양한 공간 구조와 의미는 크게 '찾아떠나다'와 '되돌아오다'의 인물의 행위 체계로 요약될 수 있으며 '도시' '사회' 등의 부정적 구속공간인 外空間으로 떠나고 나아가려는데 그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라 '집' '고향'과 같은 긍정적인 內空間으로 되돌아오려는데 그 의미가 있었다. 출발지와 목적지의 등식 관계, 이것이 李淸俊 소설 공간을 형성하는 기본틀이라 하겠다.;In this study, for more concrete and systematic study about the novel world of Lee, Chung Joon, this researcher examined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space by analyzing after placing focus on the activity attendant upon the space movement of figures. In the chapter Ⅱ. this researcher tried to analyze by classifying into the space that the affirmative nature to solve the frustration and conflict of activity is restored by the trial of escape of the figures to recognize the actuality space as the negative space of frustration and conflict toward other space and the space that more frustrated and destrnying negative nature is emphasized instead. Here in, the outer space and the inner space which are two space sides are linked to the action of 'leave for visiting' and 'return' respectively. So, this researcher examined the space meaning attendant upon this action. Above all, in the space that the affirmative nature is restored, this researcher could see that the affirmative nature is restored through obtaining warmth and safety by moving from the ourside space which is the actuality space of frustration and conflict to the inside space where there are Miss. Yoon and wives who are the unconscious transformation of mother, In addition, this researcher could see that 'camellia district' and 'flower village in water' which are the space of self-restoration is the space that the affirmative nature to be able to feel mother and get the stability and conflict is restored by experiencing the hometown(movement into inside space) through internal consciousness as the hometown which is potent in the internal consciousness of master. As the feature of this space is seeking the female side in the meaning side also including aiming at the privacy, this researcher could see that it is motherhood-oriented Jonah space. The restriction space that the unjust nature is emphasized appeared in the outside space expanded socially than the inside space of individual well as 'prison', 'city' and 'society' etc. Figures point to the city or move toward the social space by escaping from the frustration and conflict of actuality. Then. they got to meet the outside power, the electric lamp which is the symbol of authority, and 'male' in it. So. the form to return to hometown by being more frustrated and sunk and dying in the space and to leave for the southen hometown which is the new space could be seen. In the chapter In. the figure to grope for the nature spaces which are heavens and sea as the whole space that not only inside and inside horizontal space but also the up and down vertical space are mixed by focusing on the action attendant upon the space movement of figures to leave for finding the new space after transcending from the frustration of actuality space gets to be seen. Here-in, figures acquire the spatial permanence which is regeneration by passing death. Then, this researcher examined by classifying into 'star' and 'sound' which are vertical rise structure and 'is-land' and 'south' which are descent structure. In 'star' and 'sound' which are vertical rise structure, it could be seen that the figures get out of the frustration and conflict from actuality by being released from all the humane bonds and trouble, at the moment when the master flies as 'flying crane' through the sound, experiencing the space of joy by meeting with 'star' after escaping from the actual and negative horizontal space and arriving at the heavens which transcended the actuality. In the vertical descent structure, this researcher showed the horizontal structure that figures advance from the island which is the inside space to the sea which is the outside space through ship and the vertical structure that the figures enter inside the sea through the descending action. The death of master for finding the new space by getting out of the life of actuality which is the negative space was the structure to return to the world again by passing the world of sacredness as the death for regeneration. After all, it could be seen that the space that the master wandered was the space of fantasy and the space of idea. With this, it could be seen that the spatial value attendant upon the action of figures is negative in case of horizontal structure and that it brings the existential conversion through vertical ascent and descent in case of vertical structure, in the whole space of inside/outside and upper side and lower sidel. The diverse space structure and meaning which appeared over the whole of novel of Lee, Chung Joon may be summarized with the action system of 'leave for finding' and 'return' largely, And, the meaning isn't in trying to leave and advance toward the outside space which is the negative restriction space such as 'cith' and 'society' etc., but it is in trying to return to the affirmative inside space such as 'home' and 'hometown'. It can be said that the equality relation of starting place and destination is the basic frame to form the space of novel of Lee, Chung Jo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