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8 Download: 0

국민학교의 학교자체평가 실태와 기대에 관한 교사의 의견 연구

Title
국민학교의 학교자체평가 실태와 기대에 관한 교사의 의견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tatus of Self Evaluation of Elementary Schools and Expectations of the Teachers
Authors
김형선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행정분야
Keywords
국민학교학교자체평가교사의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교육자치제의 정착과 자율적인 학교 운영에 대비한 학교자체평가의 내실있는 운영을 위해 학교자체평가의 현실태와 교사들의 기대를 조사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내용은 문헌 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으며 학교자체평가의 실시 동기 및 목적, 학교자체평가의 방법, 결과의 활용에 대한 현 실태와 교사들의 기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인천 직할시내에 있는 22개 국민학교(공립 17개, 사립 5개)를 선정하여 교사 560명에게 질문지를 배부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각 문항별 백분률에 의하여 전체적인 경향과 성별, 직위별, 경력별, 학교 설립별, 학교 규모별 변인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였다. 이상에서 시행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자체평가의 목적은 학교 경영활동의 계획과 실천을 위한 분석에 두고 있었다. 그러나 실시 동기면에서는 주로 상부 기관의 장학, 감독에 대비하거나 행정기관의 지시에 의해 실시 되고 있었다. 즉, 목적에 대한 인식은 높으나 그 실시 동기는 아직까지 수동적이고 부정적이었다. 둘째, 학교자체평가는 전직원에 의해 매학기말에 주임교사와 소관부서별 토의로 교육계획서 체크리스트법에 의해 실시되고 있었다. 평가위원회 구성에 대한 기대에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평가업무를 기획할 담당 주임 1명과 5-6명 정도의 교사로 구성할 것에 높은 반응을 보였고 학교자체에서 제작한 질문지 활용, 자기평가 보고 방법도 사용하길 바라고 있었다. 셋째, 학교자체평가 영역별로 살펴 본 교사들의 기대는 다음과 갈다. 학교 교육목표는 개별학교의 특수한 상황이 많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반응했다. 이는 학교 자체평가가 획일성, 전체성에 반대하여 개별성, 특수성에 대한 추구라는 점을 고려할 때 바람직한 기대라고 본다. 학교 교육계획은 전교직원이 함께 수립하며 교과지도 영역에서는 교과 내용의 선정과 조직을, 특별활동 영역에서는 학생들의 요구와 흥미를 우선해야한다는 반응이 많았다. 효율적인 생활지도를 위한 다양한 자료의 제공이 필요하며 예산 집행 및 평가에 교사들의 참여 욕구도 높은 편이다. 학교자체평가시 학부모의 참여 여부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학생들로부터의 평가도 찬성률이 높았다. 넷째, 이와 같은 학교자체평가 결과는 다음해 학교 경영계획 수립에 대체로 반영되고 있으며 그 홍보는 직원회의를 통해 가장 많이 잘 전달되나 적극적 홍보는 되지 못하고 있다. 다섯째, 학교자체평가의 자율성 정도는 전체적으로는 대체로 자율적이다라는 반응이 약간 높았으나 젊은층 교사들에게는 타율적이라는 반응도 높았다. 교사들은 학교자체평가의 내실있는 운영을 위해 학교장이 학교경영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시도해 줄것을 바라고 있으며 조직내의 자율성과 개방적인 풍토를 학교자체평가 성공의 우선조건으로 들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학교자체평가를 실시할때 개선하거나 연구되어야 할 과제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일선학교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부정적이고 소극적인 평가관에서 벗어나 더욱 긍정적인 태도로 자체평가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해야겠다. 둘째, 학교는 지역사회와 더불어 교육을 하고 있다. 더구나 교육자치제 실시에 지역주민(학부모)의 참여는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학교 자체평가시 필요한 영역에 학부모나 학생들을 참여시키는 방법도 연구되어야 한다. 셋째, 일선 학교에서 필요하면 언제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학교자체평가 도구가 빨리 개발되어야겠다. 마지막으로 학교 조직내 자율적이고 개방적인 풍토조성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야겠고 학교자체평가의 원활한 운영을 위한 행, 재정적인 지원도 계속 되어야 한다.;As autonomy of school management and self government settles in, this study purport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utility of the self evaluation of schools and the expectations of teachers in order to provide an effective operation of self evaluation.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composed of literature analysis and research, the motives for self evaluation of schools and objectives, sphere and content of the self evaluation, methods for self evaluation, a pplication of evaluation results and the expectations professed by elementary level instructors. 22 schools(17 public, 5 private) of the Incheon metropolitan area were designated while 560 teachers participated in questionnaires. Analysis of the research materials was carried out by calculation percentages for each question, resulting in overall tendencies, sex, experience, status, establishment of the school and size of the schoo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motivating forces behind self evaluation were generally in preparation for a an inspection or supervisory visit from a higher level institution or under the rule of administrative institutions. However, the objectives were centered on planning and analysis of application of school management. Thus a highly goal- oriented attitude could be determined, but a passive and negative motive in self-evaluation still remained. Second, self-evaluation of the school carried out by the eative staff at the end of every semester. Under the direction of the head of department and related divisions, the self evaluation progresses according to evaluational plan checklist rules. Composition of the evaluation committee is usually 1 head of department, 5-6 teachers and questiomaires and self evaluation methods were to be decided by the schools themselves. Third, the expected self evaluation spheres are as follows : School education goals are not totalitarian or uniform, rather they are specific and individnal. Therefore, individual schools shou'd be allowed to consider specific situations. The education plan should be a cooperative project of the entive staff and as for the subjects territories, the content and organization of the subject matter itself and for the special activities, students demands and interests should be the major input factors. For effective direction, various materials should be allocated and the participation demand by teachers concerning the forming and evaluation of the budget was high. Most responses were positively inclined to allowing parent participation and students evaluations. Fourth, results from the self evaluation of schools are generally reflected in the following management plans, however, self evaluation results are simply passed on through staff meetings and remain under emphasized. Fifth, the age group showed differences in comparative autonomy being currently present in self evaluation. The younger teachers considered the evaluation process as passive, while all teachers demanded variety in management skills on the part of the principal in order t o effectively utilize the self evaluation concept. Also an autonomons and open organization and culture were called for. The results of this study become the basis for the following subjects which need to addressed during self evaluation of schools : First, measures which evable the teachers to participate in the self evaluation with positive and agressive view points are needed in place of the passive and negative nature of evaluation standards presently. Second, schools are educational actors as the local communities are. Furthemore, autonomous education, self rule and participation of local citizenz(name1y parents) is required. Measures to include the parents and students in the self evaluation process need to be considered. Third, self evaluation tools which can easily be utilized by the schools need to be developed. Fourth, for the self evaluation of schools to be successful, an open and autonomons educational culture needs t o be established and further efforts from administrative aid to participation should continu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