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8 Download: 0

고등학교 문학교과서 수록 애정 전기소설의 여성상 연구

Title
고등학교 문학교과서 수록 애정 전기소설의 여성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age of females in amorous strange tales in high school textbooks
Authors
한주미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애정 전기소설의 여성인물이 유교적 예교(禮敎)가 요구하는 조선시대의 일반적인 여성상과 다르다는 점에 주목하여,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에 수록된 애정 전기소설 『금오신화』의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과 <운영전>을 여성인물의 시각을 토대로 새롭게 해석해 보았다. 그리고 여기서 도출된 여성상을 교육에 활용하여, 편협한 남성 중심의 시각이나 가부장적 유교 이데올로기에 의해 왜곡되지 않은 고전소설의 긍정적 여성상을 학생들에게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하고 오늘날 자신의 삶을 풍요롭게 가꾸어 나가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에 수록된 애정 전기소설의 본격적인 작품 분석에 앞서 애정 전기소설의 개념과 변천과정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전기소설(傳奇小說)은 중국의 당(唐)나라 때 성립되어 한국, 베트남, 일본 등에서 잇따라 창작된 중세 한자문화권의 보편적 장르로서, 주로 남녀의 離合이나 신이한 이야기 등의 奇事를 저술한 작품들이다. 이 중 애정 전기소설은 전기 모티프와 애정 모티프를 함께 지니고 있는 이야기로, 이상적인 결연을 이룬 남녀 주인공들이 여러 가지 현실적인 문제에 부딪치면서 서로간에 신의(信義)를 지켜가려는 모습을 서사화 하고 있다. 만남과 사랑이 어떠한 방식으로 나타나며, 장애를 어떻게 해결하고, 그 결합의 성격이 어떠한가를 통해 개별 작품의 차이가 드러날 수 있으나, 대체적으로 애정 전기소설에서는 ‘애정장애’를 극복하고자 하는 여주인공의 의지가 보다 강화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17세기에 오면 애정 전기소설에서 전기담은 대거 소거되고 애정담이 서사를 추동하는 기반이 된다. 따라서 17세기 애정 전기소설은 전대의 애정 전기소설에 비해 갈등의 전개 및 귀결 형식에 있어서 사실성이 훨씬 강화되어 나타나게 된다. Ⅲ장에서는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에 수록된 『금오신화』의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과 <운영전>을 중심으로 애정 전기소설에 나타난 여성상을 분석해보았다. <만복사저포기>의 여성인물은 왜구의 난을 만나 정절을 지키려다가 한을 품고 죽은 여인으로, 중세 사회의 폭력에 의해 잃어버린 자신의 존재감을 되찾기 위해 일상 규범과 세계 질서를 일탈하여 만복사의 양생과 사랑을 시작한다. 그녀는 정욕을 긍정하고 자신의 욕망을 실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결연을 주도하여 양생과의 애정을 성취시킴으로써, 한 남자의 아내로 현실세계에서 자신의 존재를 확인받고 싶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소망을 일상 규범의 엄정함 속에서 용납 받지 못한 그녀는 더 이상 현실의 규범 체계와 세계 질서에 순응하거나 동조하지 않고 초탈하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중세 사회가 부여한 여성의 굴레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남성으로 거듭나고, 자신의 존재감을 새롭게 재정립하게 된다. <이생규장전>의 여성인물은 벌열귀족 집안의 무남독녀로 자수를 잘하고 시문에도 뛰어난 아리따운 15, 6세의 여성이다. 부잣집의 무남독녀로 부모님의 애지중지한 사랑을 받으며 집안에서만 고이고이 자라온 최랑은 말쑥한 외모에 뛰어난 재주를 갖고 있는 국학생 이생과 담장 너머로 눈이 맞으면서 그와 사랑에 빠지게 된다. 이생과의 험난한 사랑의 여정은 생사를 넘나들면서까지 이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최랑은 자신의 애정을 뚜렷이 자각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표현하며, 사회적 관습이나 세계의 질서 여부와는 상관없이 자신의 애정을 실현하고자 하는 투철한 의지를 보여준다. 곧 그녀는 자신을 애정의 대상으로만 인식하고 남성의 처분을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를 애정의 주체로 인식하고 애정실현을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함으로써 자신의 삶의 주체로 거듭날 수 있었던 것이다. <운영전>의 여성인물 운영은 안평대군의 사저(私邸) 수성궁에 살고 있는 재색이 뛰어난 궁녀로, 자신이 남자가 아닌 여자이기 때문에 입신양명도 하지 못하고 그렇다고 여자로서 한 남자의 아내가 되어 자식을 낳고 시부모를 섬기는 평범한 아낙네의 삶도 살지 못하는 자신의 처지를 깨닫고 한이 되어 몸부림친다. 그런데 때마침 안평대군의 분부로 김진사의 벼루를 받들던 운영은 우연히 손가락에 잘못 떨어진 먹물 한 방울을 계기로 훤칠한 외모에 안평대군이 감복할 만한 뛰어난 시재까지 갖춘 김진사와 사랑에 빠지게 된다. 그리고 이때부터 운영은 궁중의 금기를 어기고 죽음을 무릅쓰면서까지 적극적이고 대담하게 김진사와의 험난한 사랑을 이어간다. 비록 이들의 금지된 사랑은 현실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지만 운영의 목숨을 내건 절실한 사랑은 어떠한 이념으로도 침해받을 수 없는 인간의 본래적 감정에 대한 충실한 실천이며, 애정 성취를 통해 자신이 처한 비인간적이고 폐쇄적인 삶을 뛰어 넘어 여성으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찾겠다는 강한 의지의 소산이라고 할 수 있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전반적인 애정 전기소설의 여성상의 특징을 밝혀내고, 이러한 애정 전기소설의 여성상을 조선시대의 이상적인 여성상으로 일컬어지는 <사씨남정기>의 사정옥의 여성 형상과의 비교함으로써 애정 전기소설의 독특한 여성상을 보다 선명하게 드러내고자 하였다. 뚜렷한 자아의식과 개성을 지닌 인물로 형상화되어 있는 애정 전기소설의 여성상과는 달리, 가부장적 이념을 표상하는 부덕(婦德)의 화신인 <사씨남정기>의 여성인물 사정옥은 대대로 부귀와 권세를 누리던 유씨 가문의 종부(宗婦)로, 자신의 천거로 들어온 첩 교씨의 모함에 의해 7년간 정실 자리에서 내쫓기지만 남성들이 중시하는 유교적 관습을 남성인 유연수보다 더 잘 실천하고 오히려 남편에게 권장하고 가르치는 태도를 보임으로써 끝내 자신에게 닥친 고난을 극복하고 다시 유씨가의 정실 자리로 복귀한다. 한미한 집안의 딸 사씨가 권세가의 당당한 안주인이 되고, 자녀를 제대로 생산하지 못한 치명적인 약점에도 불구하고 위기를 거쳐 지위를 공고히 하게 된 것은 바로 가부장적 이념으로 무장한 부덕을 철저히 지켰기 때문이다. 그것이 그녀가 자신의 삶을 지탱하는 가장 유력한 방식이었던 것이다. Ⅴ장에서는 애정 전기소설의 문학교과서 수록 양상을 살펴보고, 『금오신화』의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과 <운영전>이 수록되어 있는 교과서 해당 단원의 학습목표와 본문수록 실태, 학습활동을 분석하여 애정 전기소설이 현재 어떠한 내용으로 학습 지도되고 있는지 검토해보았다. 그 결과,『금오신화』의 <만복사저포기>과 <이생규장전>의 경우 주로 한국문학사의 전개과정 속에서 최초의 소설이라는 문학사적 의의에 초점이 맞춰져 다뤄지거나, 『금오신화』의 전기소설적 특징을 학습하기 위한 제재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만복사저포기>의 여성인물이나 <이생규장전>의 최랑을 중심으로 작품을 해석하거나, 그러한 해석을 토대로 남성 중심의 시각이나 가부장적 유교 이데올로기에 의해 왜곡되지 않은 긍정적 여성상을 찾는 활동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운영전>의 경우는 한국문학사의 전개과정 속에서 다뤄지지 않고 서사문학을 수용하고 창작하는 단원에 포함되어 ‘사랑’이라는 주제를 다루는 소단원의 제재로 사용되었으나, <운영전>을 수록한 교과서는 학습지도의 포커스를 운영과 김진사의 ‘비극적인 사랑’에만 맞춰 작중 인물이나 배경에 대한 이해는 도외시하였다. 따라서 <운영전>에서도 역시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 금지된 사랑을 선택한 운영의 입장에서 작품을 해석하거나, 운영을 비롯하여 운영의 금지된 사랑을 도와주는 궁녀들의 형상을 통해 가부장적 유교 이데올로기에 의해 왜곡되지 않은 긍정적 여성상을 찾는 활동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Ⅵ장에서는 Ⅴ장에서 지적된 애정 전기소설 학습지도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방향에서 <운영전>을 대상으로 교과서의 단원을 재구성하고 그에 따른 학습목표와 학습활동을 마련하여 애정 전기소설의 바람직한 교육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This study newly interpreted , , and of 『Keunosinhwa』, included in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based on the angle of female characters, focusing on the point that female characters of an amorous strange story are different from a general image of females in Chosun Dynasty which Confucian teaching of courtesy requires. Then by applying consciousness and images of females drawn from this study to education, presenting a positive image of females, undistorted by a narrow angle oriented on male or patriarchal Confucian ideology, this study intends to help students build a righteous sense of value and cultivate their rich life. In Chapter II, I examined the concept and the history of amorous strange tales before analyzing the works of amorous strange tales included in high school textbooks in the following chapters. In Chapter III, I analyzed the female image which appeared on amorous strange tales focusing on , , and of 『Keunosinhwa』, included in high school textbooks. As a result, contrary to the traditional female image in the Chosun era, frequently appearing on classical novels, the female characters in these three works were characterized as having distinct self-consciousness and personality enough to fully follow their own desire, positively develop their own fate unbound from the medieval taboo, and actively express their own opinions and emotion. In Chapter IV, based on the female image of amorous strange tales and clearly showed the characteristic female image in amorous strange tales by comparing the female image in amorous strange tales with that of ‘Sa jeong-ok' in , regarded as the ideal female image of the Chosun era. In Chapter V, I examined how amorous strange tales were included in literature textbooks and what contents of them were learned and instructed at present by analyzing the learning goals of the corresponding chapters, the actual state of the included contents, and learning activities. In Chapter VI,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problems that were indicated in Chapter V, regarding the instruction of amorous strange tales, I designed a desirable way of teaching amorous strange tales by reconstructing the chapters of a textbook focusing on and arranging learning goals and learning activit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