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3 Download: 0

영상 매체를 활용한 시 교수-학습 방안 연구

Title
영상 매체를 활용한 시 교수-학습 방안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Poem Teaching-learning Method Using Visual Media
Authors
이선미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 언어의 의사 소통 방식은 다매체들로 인해 다양화·다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 학습자들이 있으며, 학습자들은 변화에 매우 민감한 P(Passion)세대임을 인식해야 한다. 즉, 그들은 mp3를 들으면서 핸드폰으로 영화를 보고, 음악을 들으면서 드라마를 보는 등 복합적이고 동시적인 언어 소통 방식을 추구한다. 그러므로 교육의 중심에 있는 학습자들의 언어적 소통 방식을 고려한 새로운 국어 교육적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국어 교육의 현장은 다매체의 다양한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학습자와 가장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현장 교사들은 매체 활용 수업에 대한 필요성을 누구보다도 절실히 느끼면서도 다매체를 활용할 수 있는 시설의 절대 부족, 교단선진화 기기의 노후로 인한 오작동, 매체 활용에 대한 전문성 및 교수-학습 방법의 부족 등 많은 문제들을 수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매체 중에서도 학습자들이 가장 흥미 있어 하는 ‘영상 매체’를 활용하여 학습자 중심의 시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고, 학습자의 창의적인 언어 사용 능력 및 문학 능력 신장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과 중학교 교과서 시 단원을 비교하였으며, 학습자들이 원하는 시 수업에 대한 경향 분석 및 실태 조사, 현장 교사들의 시 교육 전반에 관해 느끼는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사전 검토하여 ‘영상 매체를 활용한 시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는 데 적극 반영하였다. 영상 매체를 활용한 시 교수-학습 방안은 학습자의 시 수용 능력과 창작 능력의 향상, 학습자의 시 내면화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며, 실제 수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구체적인 시 교수-학습 과정안을 통해 보다 나은 시 교육의 방법과 그 효과를 제언하고자 하였다. 영상 매체를 활용한 시 교수-학습의 구체적인 모형은 크게 ‘시의 수용 단계’, ‘시의 창작 단계’, ‘시의 내면화 단계’로 나누어 제시하고, 통합적이고 전체적인 관점 안에서 절차적으로 학습하도록 하였다. 또한, 세부적으로 각각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며, 도입-전개-정리 활동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도입 부분에서는 학습자의 시에 대한 학습 동기를 높이고자 영상 매체인 영상뮤직비디오, 영상드라마, 영상CF 등을 적극 활용하여 ‘보여주기’ 활동을 하였고, 전개 부분에서는 학습자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중심으로 모둠별 협력 학습을 전개하였으며, 정리 부분에서는 시 학습 요소에 대한 정리 및 평가 등을 중심으로 시 내면화를 위한 학습을 전개하였다. 각 단계별 활동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시의 창조적 수용 단계에서는 ‘작가와 작품 세계 이해하기’, ‘좋아하는 시 찾기’ 활동을 제시했다. 이 활동은 학습자들이 직접 컴퓨터로 시를 검색하고, 교실과 교과서 밖의 ‘시’들을 감상하는 등 감상의 주체로 시를 창조적으로 수용하는 활동이다. 다음 단계로 시 창작의 확대 단계에서는 ‘시의 영상화’와 ‘영상물의 시화’ 활동을 제시하였다. ‘영상물의 시화’는 다양한 영상물(영상시, 사진, 뮤직비디오, 영상CF, 영화, 드라마 등)을 시로 표현하는 활동이며, ‘시의 영상화’는 시를 중심으로 영상물(영상뮤직비디오, 영상CF, 영상드라마 등)다시 만들기 활동을 하는 것으로 창작의 폭을 확대한 활동이다. 마지막으로 ‘시 내면화’ 단계에서는 시의 창조적 수용과 창작을 바탕으로 한 ‘발표와 총평쓰기’와 ‘영상 카페 공유하기 및 댓글달기’ 활동을 제시했다. 이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이 시를 통해 내면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영상 매체를 활용한 시 교수-학습 방안’을 실시한 결과 첫째, 학습자가 시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확대되었다는 점, 둘째,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는 점, 셋째, 학습자의 언어적 상호 작용에 대한 이해와 수용, 창작 방안이 확대되었다는 점, 즉, ‘복합 문식성’과 ‘문화적 문식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었다는 점, 넷째, 영상 매체로 인해 보다 다양하고 풍부한 시적 상상력과 시적 정서를 함양할 수 있다는 점 등에서 긍정적인 효과와 그 가치를 제언할 수 있다. 앞으로는 영상 매체를 활용한 시 교수-학습 방안이 더욱 다양하게 연구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토대로 한 현장의 연구가 뒷받침될 때 시 교육이 보다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해 본다. 나아가 시대 변화에 알맞은 학습자가 갖추어야 할 언어 능력으로서 ‘복합 문식성’ 또는 ‘문화적 문식성’을 높이는 데 있어 영상 매체의 활용이 국어 교육에서 매우 유용한 가치와 효과를 지닐 것으로 기대해 본다.;Accepting the changed linguistic communication way of learners' due to multimedia, this study aims to find a prope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enhance learners' creative linguistic ability. That is, this study aims to give actual help i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by applying visual media which learners have interest in, by providing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designing specific lessons. Ultimately, this study suggests the methodical aspect to help learners achieve poem studying goals, such as making learners better understand poems in more variety of ways with the aid of visual media, enhancing the ability of appreciating and creating with diverse appreciation activities, expanding poetic imagination, and purifying mind and increasing the joy of learning poems. This study focuses especially on increasing learners' opportunity to participate with learner centered poem education, and enhancing self-leading studying ability and inducing learners to enjoy reading and writing poems in the process of 'poem internalization.' Besides, this manuscript based o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in a subject of Korean, reorganizes contents of poems taught in educational courses and chapters of poems in middle school textbooks to propose a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Before drawing up plans for 'Poem Teaching-Learning Method with Visual Media,' prior investigation on actual conditions, tendency, and perception was done, and the instructors' poem teaching method and problems of poem education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and were applied to the lessons. The model of Poem Teaching-Learning Method with Visual Media suggests roughly three stages: 'stage of accepting a poem,' 'stage of writing a poem,' and 'stage of internalizing the poem.' These steps help to learn according to a sequence in unified and general activities and also indicate each of the content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In the introduction section, 'Showing' activity was done to motivate learners to study poems by showing visual music videos, visual dramas, and visual advertisements; in the development section, focusing on nducingparticipation, 'Group study' and 'Lessons using visual media' were done; in the closing secction, focusing on the ‘poem internalization’ study, elements of studying poems were organized and evaluated. Looking into the activities done in each stage, in the stage of creatively accepting a poem, I suggested activities such as ‘understanding the world of the writer and the work’ and ‘finding a favorite poem.’ Learners can search recourses through Internet, appreciate poems out of class and not in textbooks, and become the subject of appreciator of a poem through these activities. On the next stage of expansion of creatively writing a poem, ‘visualizing a poem’ and ‘making a visual work into poem’ was done. Remaking poems into visual works (visual CF, visual music video, visual drama) is the activity in visualizing a poem, and making various visual works (visual poems, visual music videos, visual CF, movie, drama) into poems is the activity in making a visual work into a poem. On the last stage of internalizing the poem, activities such as ‘presentation and criticism,’ ‘uploading visual works on Internet cafes and posting comments,’ were done to make comments on the whole lesson. The result of this Poem Teaching-learning Method with Visual Media shows 1) learners interest in poem was increased 2) learner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the lesson 3) understanding of learner’s linguistic communication structure, which is cultural/ complex rhetoric was increased, 4) diverse poetic imagination and rich emotion can be formed with the help of visual media. With these results, I want to suggest the benefits and values of using visual media in studying poems. I wish the Teaching-learning Method with Visual Media becomes diversified and activated, and expect the positive effects and benefits would develop with continuous research. Also, the effects and values will be realized to the utmost when the teachers in the field study and use these cont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