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6 Download: 0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사회복지 영역에 대한 내용분석

Title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사회복지 영역에 대한 내용분석
Other Titles
(The) Contents Analysis on the Social Welfare Realm in the Textbook of Social Studies in High School
Authors
박승의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일반사회교육분야
Keywords
고등학교사회과교과서사회복지영역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사회과교육이 당면하는 현실에 대만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려는 민주 시민을 육성한다고 볼 때, 사회문제의 발생에 대하여 해결하거나 혹은 예방한다는 차원에서 인간의 복리를 추구하는 사회복지야말로 사회과교육의 목표와 일맥상통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 사회복지를 사회과교육에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그래서 사회복지영역이 그간 사회과교육에 얼마나 비중있게 적절히 제시되고 있는지를 검토함으로써 사회과교육에서의 사회복지영역의 실태를 밝히고 아울러 미래사회과에서의 사회복지영역에 대해 제언해 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2차 교육과정에서 5차 교육과정까지의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사회복지 내용을 검토하기에 앞서 한국의 사회복지정책이 어떠한 정치·경제·사회적인 분위기속에서 형성되었는가를 문헌연구를 통해, 각 시기별로 살펴봄으로써 한국 사회복지 발전과정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교과서 분석을 위해 사회복지에 대한 분석들을 사회복지 전개과정, 사회복지의 개념, 사회복지의 주요 대상영역 그리고 사회복지 제도적 측면에서 사회보장제도로 나누고 각각 그 하위내용을 선정한 후 이러한 영역들이 사회과 교육과정개정에 따른 사회교과서에 어느 정도 비중있게 반영되어 있는가를 교과서 분석을 통한 실증적 연구로 알아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한국 사회복지의 전개과정을 각 시기별로 정치, 경계, 사회적 상황에서 비롯된 주요 복지정책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역시 그 시대의 사회문제를 해결하여 인간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함이 주 목적인 사회복지의 의의에 따라 우리나라가 60년대부터 제정하고 실시한 사회복지 관련법들이 당시 시대적 배경과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마련된 관련법들이 교과서에 반영은 되었으나 사실나열 및 단순나열에 그쳐, 학생들로 하여금 실생활에 직접 필요한 관련법들의 중요성을 덜 인지하게 하고 있다. 둘째, 사회복지에 대한 교과서의 비중은 3차때 10.4%를 제의하면 2차 2.5%, 4차 6.3%, 5차 6.5%로 저조했고, 특히 사회과를 구성하고 있는 다른 사회과학의 영역에 비해 적은 분량을 다루었다. 단원구성에 있어서 대단원으로 사회복지를 부각(3차 교육과정기때는 'Ⅳ.복지사회의 건설', 4차 교육과정기 때는 'Ⅵ. 현대사회와 국민복지', 5차 교육과정기때는 'Ⅴ.현대사회와 복지') 시켰지만, 실제 복지문제를 다룬 곳은 대단원내의 소단원으로서 비중은 낮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10.4%로 그 비중이 높아진 3차때는 70년대 경제성장의 박차를 가하기 위해 '교육'이라는 분야를 사회·경계·국가발전이라는 맥락에서, 비교적 많이 다루어 그 비중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세째, 사회복지에 대한 내용서술은 지식측면에서의 서술이 가장 많았고, 가치측면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기능 및 태도측면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는데,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의 목표가 초·중학교에 비해, 체계적인 사회과학의 지식습득을 강조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성향은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네째, 설정된 분석틀에 의한 주요 대상영역을 설명함에 있어, 일관성없이 다루고 있다. 똑같은 내용을 교육과정기마다 다르게, 복지단원내에 혹은 단원 이외에 다루었다. 앞으로 여러 분야를 확충시켜 사회복지 분야에 대한 이론적 정립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본다.;As Social Studies Education brings up a democratic citizen who solves various question of the days, in the meaning that, social welfare which prevents o r solves against social problems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purpose of social studies. It is desirable that 'social welfare' should be properly reflected in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of social studies so this thesis is studied on the contents analysis in the social welfare realm of social studies. That is to say, examinig that social welfare has been properly reflected in the textbook of social studies, this thesis makes a clear of an actual conditions of social welfare realm in the social studies and adds social welfare in the future social studies. Prior to examinig social welfare realm in the high school's textbook of social studies from the 2nd curriculum period to the 5th curriculum period, according to documentary review, this thesis provides how korean social welfare policies are made up in a political, economical, social mood and produces the process of the korean social welfare. And also according to positive study, social welfare policies are gravely reflected in the textbook of social studies. For the purpose of contents analysis, the analysis table of social welfare realm has been classified into 'the development process of social welfare', 'the concept of social we1fare'. 'the principal concerned fields of social welfare', and 'social' security in the respect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 and then their low-ranking realm contents have been selected, and those abstracted are treated as the standard of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of social studies. And analysis results are follows : First, with the change of the lim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social welfare is studied centering around social welfare policies dated from political, economical, social conditions. As well, according as meaning of social welfare which pevents o r solves against various social problems of the days and elevates quality of life. Social welfare policies which Korea established since 1960s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background of that times. But established social welfare policies or laws are reflected in the textbook as a simple array or description, the textbook doesn't make students recognize importance of policies or laws which are concerned with actual life. Second, reflecting gravity rate of social wilfare, except 3rd curriculum period(l0.4%), is low as a 2nd(2.5%), 4th(6.3%), 5th(6.5%). Especially, it is treated lowly in comparison with other social science realms which composes social studies. The great unit of social welfare is highlighted(3rd-Ⅳ. Construction of the Welfare Society, 4th-Ⅵ. Modern Times and the Citizen's Welfare, 5th-V. Modern Times and Welfare), but because real problems of the social welfare are treated in the small units, their gravity rate is low. It is interpreted that relatively high rate, 3rd(10.4%) treats a lot of education realm, for education has something to do with 1970s economic growth. Third, content description on social welfare has a lot of the side of the knowledge, a short of that the worth. Compared with primary and middle school, the aim of the social studies in high school places emphasis on the knowledge acquirement of social science so that this trend is judged to be desirable. Fourth, principal concerned fields depended on analysis table are composed whithout consistency. So to speak, each curriculum the same fields are differently treated in welfare unit o r other units. In the future, theoritical arrangement of social welfare realms in social studies must be established through the expansion of various fiel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