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선미-
dc.creator정선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40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211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80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1156-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 교육문제에서 입학 시험 제도는 최대의 난점으로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보다 나은 입시제도를 마련하기 위해 시행착오도 많이 겪었다. 고3병은 이제 중3병까지 유발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중학생도 과외, 학원수업 등으로 방과 후 시간을 보내고 있으며, 방학에는 학기 중보다 더 바쁘게 학원에 배우러 다녀야 한다. 우리 나라 학생들은 오로지 시험 점수만을 잘 받기 위해 학교를 다니고 있다. 더군다나 中等學校의 교육 목표도 ‘입학 시 합격자를 많이 양산해 내는 것’으로 오인되고, 실제로 ‘시험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이 수行되고 있다. 교육목표보다 오히려 평가가 먼저 있고, 형가유형에 따라 목표가 설정되고, 수업모형이 바뀌는 主客顚倒의 현실이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중학교 국어교육 평가에서 여전히 눈에 띄는 문제점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우리 나라 교육의 목적은 한마디로 弘益人間의 이념 아래, 국민 모두 전인적인 인격의 완성을 기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교육의 목적 및 국어과 교육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 교육목표를 내적 근거로 하는 내용 타당도를 가지는 평가도구의 제작과정을 보임으로써 모든 학습자가 국어과 교육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중학교 국어 교육의 정상화를 꾀하고, 평가가 국어교육의 한 요소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론에서 본 연구는 제6차 교육과정의 교육목표에 타당한 중학교 국어과 평가도구의 시안에 연구의 초점을 두고 있음을 밝힌다. Ⅱ장에서는 기존의 교육평가의 개념과 그 중요성을 살펴 보고, 교육과정 上에 명시된 중학교 국어과 교육목표를 통해 국어과 평가목표를 제시하고, 아울러 前교육과정기의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진 국어과 평가도구를 검토하여, 내용 타당도를 가진 국어과 평가도구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Ⅲ장에서는 내용 타당도를 가지는 평가도구의 제작을 위하여 제6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국어과 교육목표에 대한 해석과 행동목표의 재분류, 평가목표의 도출 방법 등을 연구한다. 결론에서는 연구 내용을 요약, 정리하고, 아울러 미해결된 문제들과 중학교 국어과 교육평가의 발전을 위한 전제 조건들을 제시한다. 지금까지 국어과 평가도구의 내용 타당도와 관련한 연구들은 이미 제작된 평가도구에 대한 타당도 분석 위주였다. 그러나 언제까지나 지나간 과거에 대한 반성만하고 있을 수는 없다. 앞으로는 중학교 국어과 평가도구의 평가내용 및 방법에 있어서의 전환을 모색해야 할 거이다.;It is already known that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is the worst problem of our country's education. People has experienced lots of trial and error to establish better entrance examination system. The peculiar sickness of the high school third grades is being followed by the same grades of a middle school. Middle school student also spend their time doing extracurricular works and going to private schools after school. And even in the vacations, they are busy in learning more than ever. For example, one 1st grader of a middle school spent his summer vacation nat three private English schools to improve his record. One school teachers in advance the second-term English text, and the others train English conversation and English grammar respectively. Considering the other lessons he must take, a vacation for his means another short term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Like this, Korean students study hard only for a good record. Besides, the educational ideals of school have been focused on passing the entrance examination, and in actual some teaching learning models for an exam are being carried out. Putting the cart before the Horse is everywhere in our country's education as the evaluation stands above all things and the aim and model of lesson are established and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eval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ize the evaluation procedure for Korean language lesson and to clear up the causes of many problems in the substance or from the methods of educational evaluation for improvement. In the introduction, the focus of study is put on proposals for effective evaluation procedure for Korean language lesson. In the second chapter, not only the existing concept of evaluation and its importance are defined on the basis of the educational ideals of Korean language lesson for presenting the aim of evaluation, but also the present situation of actual evaluation are reviewed for finding right evaluation models. In the third chapter, evaluation procedures are outlined and concrete After that the methodological problems explanation of each stage is made. and plans for improvement are studied and presented. In the conclusion, comments are summarized and arranged as well as the unsolved problems and prerequisities for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The evaluation models have been partially established, but they are only related to the general pedagogy. Now what we need is that we must clarify the aim of evaluation and explore effective procedur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less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Ⅰ. 서론 = 1 A. 문제의 제기 = 1 B. 연구의 목적 = 2 C. 연구의 방법 = 2 Ⅱ. 교육평가의 개념 및 중학교 국어과 평가도구의 검토 = 4 A. 교육정가의 개념 및 의의 = 4 B. 중학교 국어과 평가도구의 검토 = 11 1. 86학년도 고입 선발 고사<부록 1.>의 내용 타당도 분석 : -평가행동의 관점에서- = 13 2. 교사 작성 평가도구<부록 2.>의 내용 타당도 검증 -학습목표 및 내용을 기준으로- = 17 Ⅲ. 중학교 국어과 평가도구 시안 = 27 A. 중학교 국어과 평가목표의 설정 = 27 B. 국어과 평가목표의 행동분류 = 32 1. 교육현장에서 평가되는 주된 행동 = 32 2. 평가행동의 재분류 = 33 C. 학년 평가목표의 추출 = 46 D. 필수 평가목표의 선정 = 53 E. 이원분류표 작성 = 57 1. 출재 근거 = 59 2. 평가내용 = 61 3. 평가유형 = 61 F. 평가도구 시안 = 70 G. 평가도구의 검증 및 논의 = 79 1. 평가결과의 처리방법 = 79 2. 문항 양호도 분석 = 81 3. 평가도구에 대한 설문조사<보기 3.> 결과 분석 = 88 Ⅳ. 결론 = 100 Ⅵ. 참고문헌 = 103 부록 = 106 ABSTRACT = 1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6950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학교-
dc.subject국어과-
dc.subject평가도구-
dc.subject시안-
dc.subject국어교육-
dc.title중학교 국어과 평가도구 시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ugestion Of Evaluation Instrument for the Korean Language Lesson of a Middle School-
dc.format.pageviii, 118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