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7 Download: 0

중학교 쓰기교육의 실태 분석과 지도방법 연구

Title
중학교 쓰기교육의 실태 분석과 지도방법 연구
Authors
이향욱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Keywords
중학교쓰기교육지도방법국어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Writing is considered an important skill to improve the logical thinking ability and creativity, especially in Korean language class of school education. However, writing is in fact treated less important than any other language functions-speaking, listening, and reading-though the value and necessity of it are much stressed. In the process of the change of education to raise the thinking ability and creativity from the teaching methodology for Entrance Examination, the necessity for writing education is more emphasized since the statement test has been increased. In Chapter 1, the Introduction, I intend to suggest. the objective the student of this study and the results of past research. In Chapter 2, the theoretical background, I search for the general objective for each grade in writing education, teaching methodology and testing presented in the 6th education curriculum and then suggest the testing theory based on the many kinds of references about writing test theory. In Chapter 3 , I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writing education in middle school through the survey. I propose how tn solve the problems of writing both teachers and students are faced with. To, find out those problems, I asked some questions of writing with question sheets to 75 teachers and 400 students in Pachu-Gun, Koyang-si. Kyonggi-do, irrelevant of the grade and sex. I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as the results of this thesis. First, students and teachers all together recognize the importance of writing teaching and studing respectively but they don't prepare writing class enough in teaching-studing stage. second, teachers don't study teaching materials necessary to teach writing in advance and they feel it difficult to set up the learning points in every class. Another reason why teachers can't teach writing effectively is that they have no enough time to check up the works students made because of their coutine duties and class burdens. In writing-teaching process, teachers indicate the evaluation stage most negleted and, if not, they don't pay much attention to look into what the writing of students is like. As a result, they don't give individual care to their students. Third, lacking of teaching materials. teachers largely depend on the text and side-books. They expect many materials to be developed and spread. Fourth, now that students are lacking in the fundamental knowledge of writing theory, teaching of spelling, spacing word and writing pad is required. Fifth, since students feel it difficult to think logically in order that they may write their statement or description, the way to think logically in their lives and the way to write essay are taught. Sixth, as the productive (expression) stage among the writing procedure is most difficult to students, step-by-step teaching of expression is necessary to select theme in writing after thinking of it. It is analyzed that they had better get on the opportunity to write something for building the expression ability. In Chapter 4, I suggest how to teach and study writing in view of teacher and student, and summarize teaching aims and learning points from writing selection in Korean text for the 1st-year-student during the 1st semester which focused at at the 6th education curriculum. In other words, I show the learning points necessary to teach the students for writing training by Korean teacher in class and 1 hour's teaching-plan as an example. I make a criteria for writing evaluation applied to the 1st-year student as an example. Above-mentioned, I think that all Korean teachers should try to develop teaching method of writing easy to be neglected, solving problems in writing. In conclusion, I think that writing training should be eagerly performed to raise the logical thinking ability and creativity of student, through which it leads to the ultimate goal of school, personality shaping.;학교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국어과 수업중에서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성을 기르는데는 작품교육이 매우 중요하다. 또 그 의의와 필요성이 강조되면서도 실제로 학교현장에서는 타영역인 말하기, 듣기, 읽기 영역 보다는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입시위주의 수업방법에서 탈피하여 창의성과 사고력을 기르는 교육으로 변화되는 가는 과정에서 논술고사의 실시, 주관식 평가의 확산 등 작문교육의 필요성이 더욱더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통해서 학교에서 실시되는 작품교육의 효과적 방법을 모색하려고 하였다. Ⅰ장의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 방법 및 대상과 선행 연구의 고찰을 살펴보았다. Ⅱ장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문헌을 통해서 제6차 교육과정에서의 작품교육의 학년별 목표와 지도방법 및 평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다음은 작문학습 지도이론을 여러 참고문헌을 통하여 알아보고 평가이론등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현행 중학교 쓰기교육의 실태를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교사의 작품지도 실태와 학생의 작품학습 실태를 조사하여 문제점을 찾아 그 문제점을 해소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설문대상은 경기도 고양시와 파주군에 소재한 교사 75명과 학생4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학년, 성별의 구별없이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작문지도 및 학습에 대한 중요성을 학생, 교사 모두가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하면서도 교수-학습단계에서는 철저하게 이루어지지 않고있다. 둘째는 작문지도를 위한 교재연구의 실태는 많은 교사들이 교재연구를 충실하게 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객관적 평가기준이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기 때문에 교사들이 학습목표를 설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밝혔다. 또, 교사들의 잡무와 수업부담으로 학생작품을 일일이 검사할 시간의 부족도 그 이유로 들고 있다. 학생들의 작품학습지도 과정중 미흡한 부분에 대한 내용에는 평가점검단계가 가장 안되고 있다고 밝히고 평가를 한다고 할지라도 사인(Sing)이나 수업중 검사식으로 지나치기 때문에 학생들의 글쓰기에 대한 개개인의 지도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셋째, 학습자료가 많지 않아 교과서와 참고서에만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교사들의 작문지도를 위한 자료가 많이 개발 보급되어지기를 바라고 있다. 넷째는 학생들이 작문에 대한 이론뿐 아니라 정서법에 해당하는 기초지식도 매우 부족하여 기본적인 맞춤법, 띄어쓰기, 원고지 사용법등의 교육을 시켜야 할 것으로 드러났다. 다섯째, 학생들은 논설문이나 설명문과 같은 논리적 사고를 요하는 글쓰기가 가장 어렵게 느끼고 있으므로 일상생활에서도 논리적으로 사고하는 방법과 논리적 문장전개 방법도 지도되어야 할 것으로 밝혀졌다. 여섯째, 학생들은 작문 절차중 “표현하기”단계를 가장 어렵고 부족하게 느끼고 있으므로 자기의 생각을 정리하여 적합한 주제를 선정하고 주제에 알맞은 글감들을 단계적으로 표현하는 학습지도와 글짓기 기회를 자주 가지게 하여 표현력 신장을 중점적으로 지도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Ⅳ장에서는 쓰기학습 지도방법을 교사, 학생 측면에서 제시하였고 쓰기지도의 실제에서는 제6차 교육과정 1학년 1학기 국어교과서에서 쓰기단원만을 뽑아 학습목표, 학습요소를 정리하였다. 곧 학교 현장에서 국어교사들의 쓰기지도를 위해 학생들에게 지도하여야 할 학습요소와 1차시분의 교수-학습지도안을 작성 예시하였다. 또 쓰기 평가기준을 중학교 1학년에 적용할 수 있는 안을 예시하였다. 이상의 내용으로 볼 때 학교현장에서 부진한 상태인 작품학습에 대하여 위에 제기된 문제점을 개선하여 학습방법을 바꾸어나가야 할 것이다. 결국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성을 기르기 위한 작문교육이 활발하게 전개되어 앞으로의 학교교육의 궁극적 목적인 인격형성에까지 도달하게 되리라 기대되어진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