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백문희-
dc.contributor.author李武順-
dc.creator李武順-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2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63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9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633-
dc.description.abstract敎育의 窮極的인 目的이 학생의 조화로운 人格形成과 自我實現에 있다고 볼 때 敎師의 존재는 실로 막중하며 敎育의 성패를 좌우하는 核心의 하나다. 그러므로 敎育的 環境의 핵심이며 敎育活動에 영향력을 지닌 敎師는 자신의 역할을 충분히 알고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敎師로서의 資質을 갖추어 敎育效果를 높이는 데 기여해야 할 것이다. 敎育은 成熟者인 敎師와 未成熟者인 學生이라는 두 人格體의 人間的 만남에 의하여 성립한다. 그러므로 아무리 풍부한 知識과 훌륭한 資質을 갖추고 있는 敎師라 할지라도 學生의 家庭敎育을 담당하고 있는 學父母가 무엇을 기대하고 있는가를 충분히 알지 못하고는 眞正한 意味의 만남을 創造하여 바람직한 人格的 感化를 주기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本 硏究는 韓圈과 日本 學父母의 敎師에 대한 기대를 調査하여 比較·分析함으로써 學生들의 成長發達을 돕는 敎師像을 정립할 수 있는 實證的 資料를 提供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目的을 達成하기 위한 硏究內容은 다음과 같다. 첫째, 韓國과 日本의 학부모는 中學校 敎師의 ① 個人特性 ② 學習指導 ③ 生活指導 ④ 全人敎育 ⑤ 社會의 學校化 ⑥ 敎職의 專門性과 敎權 등에 대하여 어떠한 기대를 갖고 있는가를 알아 보았다. 둘째, 韓國과 日本의 학부모는 中學校 敎師에 대한 위의 여섯 가지 측면의 期待에서 어떠한 差異를 나타내는가를 分析하였다. 硏究方法으로는 文獻과 先行硏究를 바탕으로 調査硏究를 하였다. 調査分析을 위해 韓國은 京畿道 光明市內 4개 公立中學校를 택하고 日本은 시즈오카縣 시모다市內 4개 公立中學校를 택하여 각각 2학년 學父母를 對象으로 韓·日 兩國의 학부모 총 664명을 표집 하였다. 이상과 같이 실시된 調査의 結果는 다음과 같다. 첫째, 敎師의 個人特性 측면에서 兩國이 가장 선호하는 敎師는 男·女 性別에 관계없이 4년제 대학 이상 졸업자로 儉素하고 깨끗하며 洞察力과 指導力을 갖춘 偏見이 없는 人格의 所有者이며 年齡에 있어서는 45세 이상의 敎師는 兩國이 모두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敎師의 淸廉度 측면에서 韓國은 社會的인 通念에 비추어 지나치지 않는 범위내 에서 진정한 마음으로 주는 金品은 받아도 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肯定的인 측면에서 볼 때는 훈훈한 人情과 人間美는 있다고 하겠으나 非倫理的이라 할 수 있다. 日本의 學父母는 敎師에게 金錢이나 膳物을 提供함으로써 원칙에서 벗어나게 하는 사례는 없으므로 倫理的이며 合理的이라 할 수 있다. 둘째, 學習指導 측면에서 兩國이 가장 선호하는 敎師는 專攻科目에 대한 豊富한 知識을 갖추고 學習指導 技術에 能하며 개인차에 따라 과제를 부여하는 敎師다. 課題不履行의 경우 양국의 차이는 韓國은 强壓的이고 體罰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으나, 日本은 責任感에 호소한다. 이것으로 비추어 볼 때 日本이 韓國보다 人間化 敎育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生活指導 측면에서 兩國이 모두 學生의 個性을 존중하고 民主的인 敎師를 선호하며 專制型과 自由放任型 敎師는 기피하는 경향이 있으나, 日本이 韓國보다 훨씬 더 民主的이며 개인의 人格을 尊重하는 편이라 할 수 있다. 넷째, 全人敎育 측면에서 韓國은 知識傳達보다 올바른 價値觀과 健全한 人間性形成을 선호하는 반면에 日本은 進路指導에 能熟한 敎師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社會의 學校化 측면에서 兩國이 모두 學生의 尊敬과 學父母의 信賴를 받는 敎師를 선호하며, 학부모와 意見交換 方法에서는 兩國 모두 家庭通信文 이용을 가장 선호하고 그 다음으로 韓國은 電話連絡을, 日本은 家庭訪問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日本이 韓國보다 家庭訪問을 선호하는 것은 敎師에게 膳物이나 金錢을 주는 풍습이 없으므로 부담감을 느끼지 않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오늘날의 학부모는 平生敎育과 文化의 向上·普及·매스컴의 役割增大 등으로 知識水準이 향상되어 敎師를 앞지르는 專門知識과 技術을 갖추고 있으므로 敎師는 社會의 學校化를 위해 地域社會의 高級人力과 施設物을 活用함으로써 敎育目標 達成에 최선을 다하여야 할 것이다. 여섯째, 敎職의 專門性과 敎權의 측면에서 兩國의 학부모가 모두 敎職의 보람과 矜持를 가지고 책임을 다하는 敎師를 선호하고 있으며, 日本의 學父母늘 敎師가 時流에 迎合하지 않고 자신의 良心과 敎育者的 信念에 비추어 옳고 바른 일을 하는 「敎育的 原則固守」에 최선을 다해 줄 것을 원하고 있다. 이것은 兩國이 모두 敎職을 聖職으로 보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敎職은 專門職이므로 敎師는 고도의 知的能力을 갖추고 敎職遂行을 계속적으로 硏究·硏鑽힘써 自己成長을 꾀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論한 내용을 綜合하여 볼 때, 韓國의 학부모가 바라는 敎師像은 첫째, 誠實勤勉하고 자상하며 친절한 敎師를 日本은 明朗性과 유모어 감각을 지닌 敎師를 選好하고 있다. 物質文明의 급격한 發達과는 相對的으로 사람의 心性은 날로 각박해져서 精神的으로 貧困하고 疲困한 社會에 斬新한 淸凉劑 役割을 할 수 있는 유모어는 敎歸라면 누구나 硏究·活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敎師의 淸廉度 측면에서 韓國도 日本의 경우와 같이 확고한 價値觀 定立으로 學父母나 他意에 휩쓸리지 않고 「敎育的 原則固守」로 信賴와 尊敬을 받아 학생들의 同一視 對象이 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學習指導와 生活指導에 있어서 韓國은 强壓的인 方法과 體罰을 가해서라도 敎育目標를 달성하는 敎師를 원하나 日本은 個人人格을 尊重며터 責任感을 느껴서 행동하도록 지도하는 敎師를 원하고 있다. 敎授-學習方法에 있어서 强壓이나 體罰은 學生들에게 긍정적 自我槪念 형성 및 學習環境 適應能力을 저하시키므로 어떠한 경우라도 强壓이나 體罰을 피하고 合理的이고 效果的인 方法을 모색해 야 할 것이다. 넷째, 學父母들의 自由意見 提示에서 韓國은 價値觀 定立, 意識構造改善으로 道德性 涵養, 浩然之氣의 氣像 培養에 힘쓰고 졸업후에도 마음 속에 오래 살아 움직이는 敎師, 꿈과 희망을 주는 敎師를 원하고 있고, 日本은 國際化時代, 開放化 時代에 걸맞는 마음이 넉넉하고 폭넓은 敎師, 世界平和에 기여할 수 있는 인간으로 成長發達시킬수 있는 敎師, 肯定的이고 潛在能力을 開發하여 個別指導를 잘하며 學生의 人格에 상처를 주지 않는 敎師를 選好하고 있다. 따라서, 敎師 스스로는 敎職을 天職으로 생각하여 敎職에 대한 보람과 矜持를 가지고, 조화로운 人間을 育成하기 위해 글을 가르치는 것을 임무로 하는 經師가 아니라 사람을 기르는 것을 窮極的인 目的으로 하늘 人師가 되어야 하며, 또한 敎師는 계속적인 硏究·硏鑽을 통하여 고도의 專門知識과 能力을 갖추는 등 自己成長에 노력함으로써 社會的으로 信賴와 尊敬을 받도록 해야 할 것이다. 外部的으로는 敎師가 所信을 갖고 自律的으로 職務를 遂行할 수 있도록 社會的 地位나 經濟的으로 適正한 待遇를 받을 수 있는 敎育風土 造成을 위한 政策樹立이 있어야 할 것이다.;When we think the ultimate purpose of education is to build up the harmonious character and self-realization of students, the existence of teachers is very important and a kernel influenc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education. As all the education is also operated through the roles of teachers, the expectation for teachers is growing more and more. Therefore the teacher who is a kernel and influences the activity of edeucation should not only know his own role but also have the good quality and contribute to promoting the educational effect as a teacher. The education is accomplished by the humanistic meeting of two characters. Consequently, even though the teachers have respectable quality, if they don't know well what the students' parents expect for, they can't ereate the real, meaningful meeting and give the students the moral influ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most expected image of teachers by students' parents by investigating,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xpected image of teachers by students' parents of Korea and Japan. By doing so, the teachers also enable the students to adapt themselves to the internationalization, opening and ultramordenization of the 21st century. For this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s were provided by investigating theoretically the role of teachers, the special quality of teachers, the natural disposition of teachers, the expected image of teachers, and by analyzing the anteceding studies. And according to them, questionaires were made. The sampl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64 students' parents that were selected from a few middle schools where are located in Kwang-myo˘ng City, Kyonggi province, Korea and Shimoda City, Shizuoka Prefecture, Japan. S.PS.S. in the Computer Center at Inha University was used for the data proces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 First, in terms of the special quality of teachers, the expected image of teachers in korea did not always corresponded to the expected image of teachers parents by students' parents in Japan. But in terms of teachers' integrit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ed image of teachers by students' parents of Korea and Japan. The students' parents of Korea expected the teachers who would accept the money or presents which is given by the students' parents with all their heart.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parents of Japan expected the teachers who would refuse any money and presents which is given by their students' parents. Consequently, it can be said that Japanese are more moral than Koreans. Second,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Japan. But if the students don't perform their assingment, the Korean students' parents want the teachers oppressing or inflicting physical punishment, on the other hand, Japnaese thechers never oppres or inflict physical punishment. The physical punishment by teachers is a matter to be guaranted by common notion in society before it is legally defined in Korea. Third, in terms of guidance of life, all the students' parents of two nations want what the teachers respect personality of students, but Japanes are more democratic. Fourth, in terms of education for the whole man, Korean students' parents want the teacher who help the students build up their humanity and the sense of value, on the other hand, Japanese students' parents want them who are proficient in the guidance of students' path in life. Fifth, in terms of communication, in the first of all the students' parents of Korea want to communicate a message to themselves as well as Japan. Secondarily, the students' parents of Korea want to speak over the telephone, but the students' parents of Japan want to visit home. Because there is no custom to give the money or presents to the teachers in Japan, the student's parents are not oppressed by visiting home. Sixth, as for the scholarly attainments,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e expected image of korean teachers and that of Japanese teachers by Students' parents. But the students's parents of Japan don't want the teachers to go with the current of time. They want them to do their best for holding fast to their eduational principle in the light of educator's faith. In conclusion, among 20 items of the questionaires, the expected images of teachers are as following : The most expected image: Teachers who carry out their duties with the pride and the self-confidence. The second : Teachers who are respected by their students and relied upon by the students' parents. The third : Teachers who have their insights and leadorship. The fourth: Teachers who have plenty of knowledge and interest f their subject The fifth : Teachers who make students acquire the sound humanity and the right thoughts on value rather than convey merely the konwledge for the advancement for education. The sixth : Teachers who guide their students without any prejudice. The seventh : Teachers who refuse the money or presents given them by the students' parents. The eighth : Teachers who never inflict physical punishment. The study on the image of teachers in futuer should be researched to be generalized under the long-term plan by the sample subjec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Ⅰ. 序論 = 1 A. 硏究의 必要性 = 1 B. 硏究의 目的 및 問題 = 3 C. 硏究의 制限點 = 4 Ⅱ. 理論的 背景 = 5 A. 敎職의 特性과 敎師의 役割 = 5 1. 敎職의 特性 = 5 2. 敎師의 役割 = 7 B. 敎師의 資質 = 11 C. 期待되는 敎師像 = 13 1. 敎職觀의 類型과 敎師像의 差異 = 13 2. 期待되는 敎師像 = 15 (1) 敎師의 個人特性에 대한 期待 = 16 (2) 學習指導에 대한 期待 = 19 (3) 生活指導애 대한 期待 = 21 (4) 全人敎育에 대한 期待 = 23 (5) 社會의 學校化에 대한 期待 = 24 (6) 敎職의 專門性과 敎權에 대 한 期待 = 25 Ⅲ. 硏究方法 = 31 A. 硏究의 方法 및 節次 = 31 1. 調査對象 및 範圍 = 31 2. 硏究節次 = 32 3. 設問紙 標集過程 = 32 B. 道具 및 資料處理 = 33 1. 調査 遼具 = 33 2. 資料處理의 方法 = 35 Ⅳ. 硏究結果 및 解析 = 36 A. 敎師의 個人特性에 대한 期待 調査結果 分析 및 解析 = 36 1. 敎師의 年齡 側面 = 36 2. 敎師의 性則 側面 = 37 3. 敎師의 學證 側面 = 38 4. 敎師의 容貌 側面 = 39 5. 敎師의 性格 側面 = 40 6. 敎師의 品性 側面 = 41 7. 敎師의 淸廉度 側面 = 42 B. 敎師의 學習指導에 대한 期待 調査結果 分析 및 解析 = 44 1. 學父母가 기대하는 敎師의 學習指導 內容 = 44 2. 敎師의 學習課題 賦與의 側面 = 45 3. 學生의 課題不履行에 대한 學父母가 期待하는 敎師의 處理方法 側面 = 46 4. 學父母가 期待하는 學業成績에 대한 敎師의 關心 = 47 C. 敎師의 生活指導에 대한 期待 = 48 1. 學父母가 期待하는 敎師의 生活指導 方法애 대한 反應 = 48 2. 敎師의 學級일 處理方法 = 49 3. 學父母가 期待하는 敎師의 環境構成 方法에 대한 反應 = 50 D. 敎師의 全人敎育에 대한 期待 調査結果 分析 및 解析 = 52 E. 敎師의 社會의 學校化에 대한 期待 調査結果 分析 및 解析 = 53 1. 學父母가 期待하는 敎師의 社會의 學校ft에 대한 反應 = 53 2. 學父母가 期待하는 學父母와 敎師와의 相談內容에 대한 反應 = 54 3. 敎師와 學父母와의 意見交換 方法 = 55 F. 敎職의 專門性과 敎權에 대한 期待 調査結果 分析 및 解析 = 56 G. 學父母가 期待하는 敎師像에 대한 其他 意見(自由意見) = 57 Ⅴ. 要約 · 結論 및 提言 = 61 A. 要約 = 61 1. 敎師의 個人特性에 대한 期待 調査分析 = 62 2. 敎師의 學習指導에 대한 期待 = 63 3. 敎師의 生活指導에 대한 期待 = 64 4. 全人敎育에 대한 期待 = 64 5. 社會의 學校化에 대한 期待 = 64 6. 敎職의 專門性과 敎權에 대한 期待 = 65 B. 結論 = 66 C. 提言 = 72 參考文獻 = 74 附錄 = 77 Abstract =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2284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학부모-
dc.subject중학교-
dc.subject교사상-
dc.subject한국-
dc.subject일본-
dc.title學父母가 期待하는 中學校의 敎師像에 관한 韓國과 日本間의 比較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and Japan on the Middle School Teachers' Image Expected by the Students' Parents-
dc.format.page10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행정분야-
dc.date.awarded199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