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현자-
dc.contributor.author李智暎-
dc.creator李智暎-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21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21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3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8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361-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金宗三 詩 全作品에 걸쳐 나타나는 핵심 이미지인 물과 소리를 중심으로 하여 그의 시 세계의 내적 구조를 체계화시키고, 두 이미지에 작용하는 상상력의 양상과 궁극성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Ⅱ장에서는 反映의 이미지로 나타나는 물 이미지가 현실세계의 反映으로 나타나는 비극과 고독의 현실 공간과 환영과 순수의 초월 공간의 二重的 空間 構造를 제시하고 있음을 살펴 보았다. A에서 有動性과 不動性의 대립 양상으로 나타나는 물의 兩義的 상징은 수직적 上昇과 下降의 운동성을 이루며, '머무름'의 水平空間과 단절적 時間意識의 시적 지향성을 보여 주고 있다. '머무름'의 심화는 침잠과 하강의 상징물인 '바다'를 통하여 구현되는데, '바다'는 곧 김종삼이 현실과 이상의 먼거리를 인식하는 물의 상상력의 출발점이며 그로인한 단절감과 부재의식을 상징하는 비극적 공간으로 나타난다. B에서 물 이미지는 幻影으로써 현실을 정정하는 체계적 관념화를 이루어 비극과 고독의 세계를 초월한 순수의 세계를 형성하고 있다. 현실과 가장 밀접한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현재적 시간과 공간을 이탈케 하는 힘인 '술'의 매개작용은 '찾아다님'의 구도를 통하여 역동성을 획득한다. 그리하여 지상적 비극을 無化하는 환상적 無時間의 지속을 이루는 동시에 내부적 응집력을 지닌 '샘물'로 변용되어 母性과 종교적 신성성을 통합하는 환상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환영을 통해 획득된 환상공간은 순수한 비젼의 반영으로 나타나는 물인 '비'와 '눈'의 상상력을 통해 구체화된다. '거세게' 혹은 '천천히' 하강하는 비는 시인의 과거 지향적 시간 의식과 고립 공간으로의 공간 지향성을 보여준다. 순수하게 하강하는 정화력의 상징인 눈은 '흰빛'의 내적인 치유의 힘으로 죽음과의 친근함을 부여하고 성스러움의 결정체 '벽화'의 표상으로 완결되어 죽음을 극복·미화하는 초월적 평화 의식에 이르게 된다. 눈과 비는 유동하는 물의 천상성의 상징으로서 지상적 단절감과 부재의식을 환기하던 하강의 물을 평화와 화합의 상승적 물로의 전환을 이루게 한다. Ⅲ장에서는 울림의 미적 이미지인 소리가 해체와 통합의 원리를 통해 시인의 상상력이 초월의 천상성과 영원성을 궁극적인 지향점으로 하고 있음을 살펴 보았다. A에서 소리의 이미지는 聖과 俗의 二項對立構造로 체계화된다. 일상성의 구체적인 소리는 견고함과 죽음·불모성의 상징인 '금속성'의 소리로 구현되고, 죽음을 유도하는 새소리와 죽은 예술가들과의 시적 교류 속에서 죽음이 영원한 정신적 실존이라는 의식에 이른다. 그리하여 지상과 천상, 현실과 초월을 가르는 '피리' 소리의 상상력을 유발하여 俗의 개념을 해체하고 聖의 개념으로 나아가게 된다. B에서 본격적으로 작용하는 해체적인 소리는 波動性과 淨化力에 있어서 동질적 상징체계를 이루는 물과 결합하여 '라산스카'라는 순수 평화의 공간을 형성한다. 현실세계를 해체하여 절대적이고 완전한 미적 세계에 도달하려는 시인의 상상력은 '소년', '고향집'과 같은 역행적 時/空의 이미지들과의 결합을 토대로 하여 '노래'의 이미지로 진행되고 상승적 높이를 가진 神話的 聖木의 언덕을 이루어 낸다. 또한 미지의 언어가 이끌어 내는 異國空間 들로의 방황은 非實在的이고 환상적인 공간을 향한 시인의 지향을 보여준다. 해체적 소리가 유도하는 공간화의 양상은 C에 이르러 '빛'과 결합되고 천체라는 우주적 공간으로의 확대를 이루어 聖과 俗을 통합하는 변증법적 합일의 소리가 된다. 푸른빛의 생명력과 초록빛 세계의 자연성은 소리의 실체를 절대 평화의 공간으로 통합하고 별과 천체로의 의미 증폭을 도모한다. 천상으로 부터 지상으로 확산되는 소리의 특성이 지상적 공간으로 부터 천상적 공간에로 이르는 공간 구도와 일치하게 된다. 즉, 외부적 현실의 직접적 상징인 소리들이 울림의 시적 효과와 넘어섬의 특성을 통해 聖과 俗의 二元 構造를 해체하고 우주적 공간의 영원성 개념으로 통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김종삼 시에 나타나는 물의 이미지는 수직적 하강 운동과 내면적 응집을 이루며, 소리의 이미지는 수직적 상승 운동과 외부적 확산 체계를 이룬다. 물과 소리의 수직운동과 이 두 이미지에 의해 형성되는 모든 상징체계들은 현실을 넘어서는 순수 이상향 즉 궁극적인 영원성에 도달하려는 시인의 초월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김종삼 시가 이룩한 반영과 울림의 미학을 완성하고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inner structure of Kim Chong Sam's poetry mainly concentrating on the images of 'Water' and 'Sound' that appear in every poem of his and to show the aspect and the substance of those two images. In chapter Ⅱ, two visions of 'Water' as the image of reflection are explained. The first one is the vision of tragedy and loneliness in reality, and the second one is that of illusion and purity in the ideal which transcends the reality. First of all, in part A, 'Water' has dual meanings, which symbolize 'mobility' and conversely 'immobility'. 'Water' can not only ascend or descend vertically but also can be expanded to the space of 'Stay' horizontally including consciousness of ruptured time. The deeper meaning of 'Stay' is embodied through the 'Sea' as the image of subside and descent. In Kim's poetry, 'Water' symbolizes the long distance between the reality and the ideal and the 'Sea'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imagery of water. The 'Sea' is a tragic space which symbolizes the sense of stoppage and the sense of nonexistence. In part B, 'Water' is regarded as the world of purity risen above tragedy and loneliness when it is systematically thought to purify the reality by illusion. 'Drink' is an element of intoxication which leads to forgetfulness. It is fantastic liquid that transcends the present time and space, which has the mediation working enough to achieve 'mobility'. Therefore it is transformed as 'Springwater' that continues fantastic non time voiding real tragedy and, at the same time, has inner condensed power, so finally it builds up the fantastic space unifying maternity and religious holiness. this fantastic space acquired by illusion is realized by the imagination of 'Rain' and 'Snow' that reflect pure vision. Slowly falling rain reflects the consciousness of looking for the past and pouring heavy rain symbolizes the consciousness of seeking an isolated space. Purely descending snow, symbol of purifying, has inner healing power of its 'white Iight' to be familiar with death and it is completed to the sign of 'Mural' which is the crystal of holiness, and can reach transcendental contiousness of peace that overcome and beautify death. Both 'Snow' and 'Rain' which signify celestial substance of fluid water transform falling water that shows earthly stoppage and consciousness of absence into rising water that represents peace and harmony. In chapter Ⅲ, the imagery of sound disorganized or unified is explained that the poet intends to reach celestial existence of transcendental and eternal through his imagination. 'Sound' is dually structured as sanctity and vulgarity in part A. In the world of reality which is symbolized by 'Metallic Sound', the poet gets familiar with death by 'Bird singing'. And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dead artists, he gets the consciousness that death is eternal spiritual existence. So he goes toward the world of 'Sanctity' breaking up the world of vulgarity by means of 'The Pipe' which divides earth and heaven, reality and idea. In part B, 'Sound' and 'Water' have the same natures of purification and fluctuation and they together make a space of pure peace called 'Lasansca'. Sound combined with the purity of water forms a fantastic space with its rising and expanding trends. Going backward to the 'Child' which is the time of the past and backward to 'Home' which is the space of the past, the fantastic space excludes reality and symbolizes a perfect aesthetic world, so it could proceed to the image of 'Singing' and 'The Hd1 of Holy Tree' that have rising altitude. In part C, the space led by disorganizing sound combines into 'Light' and it is unversally expanded to the celestial sphere so as to become a dialectic unity of sanctity and vulgarity. 'Blue Light' vitality and 'Green World' nature regard the substance of sound as the absolute space of peace and also helps the meaning of them turn into a 'Star' and the 'Universe'. The characteristics of sound which expands from celestial universe to the earth agrees with the composition of space which expands from the earth to the universe. That is to say, sounds as the images of external reality have special characters with their poetic effect of sonority and expansion to disorganize the dual structure of sanctity and vulgarity and to make them external universal space. In Kim's poetry, 'Water' is composed of vertical descending movement and condense of inner world, while 'Sound' vertical ascending movement and expanding structure externally. All these movement and imegery of them show his will to the transcendental external world, pure ideal one that is far over the relaity, and they also complete his aesthetic pursuit of reflection and soun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ⅳ Ⅰ. 序論 = 1 A. 硏究史 및 問題의 제기 = 1 B. 硏究의 方法 = 6 Ⅱ. 反映의 물과 二元的 空間構造 = 8 A. 비극과 고독의 현실 공간 = 8 1. 물의 兩義性과 '머무름'의 운동성 = 8 2. 단절감과 부재의식의 표상--바다 = 15 B. 환영과 순수의 초월 공간 = 25 1. '찾아다님'의 구도와 '술 / 샘물'의 매개작용 = 25 2. 구원과 평화의식의 표상--'비와 눈' = 36 Ⅲ. 울림의 소리--해체와 통합의 세계 = 51 A. 聖과 俗의 二項對立과 '피리'의 해체성 = 51 B. 소리의 공간화--'聖木의 언덕'과 '異國空間' = 65 C. 우주론적 통합-- '빛 / 천체'로의 확산 = 80 Ⅳ. 結論 = 90 參考文獻 = 95 ABSTRACT =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381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김종삼-
dc.subject-
dc.subject상상력-
dc.subjectIMAGINATION-
dc.subject.ddc900-
dc.title김종삼 시의 상상력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IMAGINATION IN THE POETRY OF KIM CHONG SAM-
dc.format.page11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dc.date.awarded199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