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1 Download: 0

사회과에서의 통일교육내용 변화에 관한 연구

Title
사회과에서의 통일교육내용 변화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hange in the Contents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Social Studies
Authors
이명선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일반사회교육분야
Keywords
사회과통일교육통일교육내용사회과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전숙자
Abstract
If unification education, that can forster a will to overcome the separate land and can help solve reasonably various problems which come up on the way of unification, systematizes the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the contribution will be great in view of going into hopefull democratic society in long time period.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treated Ion the social studies texts from 1st curriculum to the current fifth curriculum and then to find some suggestions to develope a future curriculum for unification education. As for analyzation results of contents regarding unification in middle school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the textbook indicated as accepting the government's unification policy of that time as it is. Despite the purpose of social studies is to raise a reasonable democratic citizen with a critical attitude, it showed that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true sense was not carried out. Thus, present teachers in charge of social studies expresed great dissatisfaction at the results, and they said that they have to let the students acknowledge that there are various means of approaches to conquer the separation of land, and, therefore, contents of the curriculum must be so framed that they might forster the sense of discrimination that could judge themselves, by introducing true image of North Korea, moreover they emphasized that the national security logic for unification must be sublated and emboss affirmative side of unification concretely. Followings are suggestions for the satisfactory results from effective teaching of unification in the education of social studies: First, contents or methods for unification education must be established in view of long time period so that they might maintain a continuity. Second,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texts must be reorganized so that unification education might be reflected. Third, reeducation of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must be executed essencially and systematically so that consultation for unification education might be activated.;분단극복의 의지를 키우며, 통일로 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여러가지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통일교육이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체계화된다면, 장기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한 민주사회로 나아가는데 큰 공헌을 할 것이다. 본 연구는 1차 교육과정에서 현행 5차 교육과정까지 사회교과서에서 다루어져 온 통일교육의 실태를 조사하여 봄으로써, 앞으로의 통일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작은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중 통일에 관련된 내용분석의 결과, 사회교과서는 그 당시 정부의 통일정책을 여과없이 그대로 수용하고 있었다. 사회과의 성격이 합리적이고 비판적인 민주시민을 길러내는 것이 목표라고 볼 때, 이는 사회과에서 진정한 의미로의 통일교육은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이에 대해 현직 사회과 교사들은 매우 불만을 나타냈으며, 분단 극복을 위해서는 다양한 접근방식이 있음을 인지시키고, 진실된 북한의 모습을 소개하여 스스로 비판할 수 있는 안목을 키우는 교육내용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했다. 아울러 통일의 안보논리화를 지양하고, 통일의 긍정적 측면을 구체적으로 부각시켜야 한다는 것도 강조했다. 따라서 사회과 교육에서 통일교육이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첫째, 통일교육의 내용이나 방법이 장기적인 안목에서 설정되어 계속성을 유지해야 한다. 둘째, 사회과 교과서에 반영되는 통일교육의 내용을 재조직 해야 한다. 세째, 통일교육을 담당하는 사회과 교사들의 재교육이 실질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통일교육 논의가 활성화 되어야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