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0 Download: 0

유아의 교차된 성역할 행동에 관한 추론과 성유형화된 놀이감 선호와의 관계 연구

Title
유아의 교차된 성역할 행동에 관한 추론과 성유형화된 놀이감 선호와의 관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REASONING OF CROSS-GENDER BEHAVIORS AND GENDER-TYPED TOY PREFERENCES ON THE 4 TO 7 YEAR-OLD CHILDREN
Authors
金基京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Keywords
유아성역할성유형화놀이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정환
Abstract
본 연구는 4-7세 유아를 대상으로 교차된 성역할 행동에 대한 추론과 성유형화된 놀이감 선호의 연령별, 성별의 차이를 알아보고, 교차된 성역할 행동에 대한 추론과 성유형화된 놀이감 선호와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차된 성역할 행동에 대한 추론은 유아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교차된 성역할 행동에 대한 추론은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성유형화 놀이감 선호는 유아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4. 성유형화 놀이감 선호는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5. 교차된 성역할 행동에 대한 추론과 성유형화 놀이감 선호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는 4-7세 유아를 대상으로 연령별(4)×성별(2) 각 18명씩 총 14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4세 유아 8명이 교차된 성역할 행동에 관한 추론검사에서 응답을 하지 않았으므로 연구대상에서 제외되어 13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성유형화 놀이감 선호와 교차된 성역할(cross-gender)에 대한 추론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유아들과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유아들의 성유형화 놀이감 선호를 검사하기 위한 면담도구는 Carter와 McClosky(1984)의 검사도구를 기초로 하여 실물 놀이감을 사용하였다. 교차된 성역할 행동에 대한 추론수준을측정하기 위한 면담도구는 Damon(1977)의 교차된 성역할 행동에 관한 남아용 이야기를 기초로 하여 Lobel과 Menashri(1993)가 수정하여 사용한 남아용과 여아용이 야기를 사용하였다. 연구절차는 예비검사와 본검사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유아의 교차된 성역할 행동에 대한 추론의 연령별,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x^(2)검증을 실시하였고, 성유형화된 놀이감 선호의 연령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성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중을 실시하였다. 교차된 성역할 행동에 대한 추론과 성유형화된 늘이감 선호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ANC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교차된 성역할 행동에 대한 추론은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유아의 연령이 중가함에 따라 교차된 성역할 행동에 대한 융통성이 높게 나타났다. 2. 유아의 교차된 성역할 행동에 대한 추론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유아의 성유형화된 놀이감 선호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유아의 성유형화된 놀이감 선호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남아가 여아보다 성유형화된 놀이감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교차된 성역할 행동에 대한 추론과 성유형화된 놀이감 선호와의 관계는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교차된 성역할 행동에 대한 추론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성유형화된 놀이감을 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차된 성역할 행동에 대해 더 융통적으로 추론하는 유아들이 놀이감의 여성성, 남성성과 같은 성의 특징보다는 새것, 헌것과 같은 특징을 지닌 놀이감을 더 선호하였음을 알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the reasoning of cross-gender behaviors and gender-typed toy preferences on the 4 to 7 year-old children. To accomplish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five questions have been selected: 1. Is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reasoning of cross-gender behaviors according to children's age? 2. Is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reasoning of cross-gender behaviors according to children's sex? 3. Is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gender-typed toy preferences according to children's age? 4. Is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gender-typed tay preferences according to children's sex? 5. Is there any relations between the reasoning cross-gender behaviors and gender-typed toy preferenc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4 children (72 boys, 72 girls) ranging from 4 to 7 years old who consist of 8 groups chosen on the basis of each one group of 18 children by ages(4)×sexes(2), but excepted 8 children(4 boys, 4 girls) of 4 years old who were not responsed to examine on the cross-gender behaviors. The materials employed in this study were the toys(two dolls, two trucks) are basis on the Carter & McClosky(1984) studies, were to asses the children's gender-typed toy preferences. Also the stories which by using Lobel & Manashri(1993) studies that basis on the Damon's(19W) interviews, were 13 asses the children's reasoning level of gender-role. The data thus collected have been analyz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SPSS/PC Program. Chi-square tests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reasoning of cross-gender behaviors by children's age and sex. One-way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gender-typed toy preferences by children's age.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gender-typed toy preferences by children's sex. ANCOVA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the reasoning of cross-gender behaviors and gender-typed toy preference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sed as follows: 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the reasoning of cross-gender behaviors according to age. Children's flexibility on the reasoning of cross-gender behaviors showed high grade according to increase age.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asoning of cross-gender behaviors according to sex.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der-typed toy preferences according to age. 4.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der-typed toy preferences according to sex. Boys were more likely than girls to choose gender-typed toys. 5.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the reasoning of cross-gender behaviors and gender-typed try preferences. Children's exhibited less gender-typed toy preferences according to increase flexibility of the reasoning levels of cross-gender behavio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