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여은정-
dc.creator여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6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80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8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806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교사평가제라 할 수 있는 근무성적평정제도와 새로운 교사평가제(교육인적자원부가 2005년 11월에 발표한 학교교육력 제고 시범학교 운영계획에 포함된 교사평가제 시안을 의미함)의 관계 정립에 관한 교사들의 의견을 알아봄으로써 앞으로의 교사평가제에 관한 논의가 보다 건설적으로 전개되고 ‘새로운 교사평가제’가 학교 현장에 잘 정착될 수 있는 실천적 토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새로운 교사평가제의 평가 내용이나 방법 및 도입 여부에 대한 논의들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현행 교사평가제인 근무성적평정제도와의 관계 설정 및 운영 방법에 대한 논의들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런 논의들의 결여는 새로운 교사평가제도가 학교 현장에 정착되고 제도의 성공 가능성을 높인다는 측면에 있어서 걸림돌로 작용되리라고 본다. 즉, 현행 근무성적평정제도가 여러 가지 난맥상을 드러내고 있는 상황이고 교사평가의 기제로서 미흡하다는 데 교사들의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근무성적평정제도의 문제를 그대로 덮어두고 근무성적평정제도와 상호 중복적이고 모순적인 측면이 있는 새로운 교사평가제 도입을 거론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판단이다. 따라서 현장의 교사들은 전문성 향상을 위한 새로운 교사평가제도와 인사결정과 승진에 반영할 현행 근무성적평정제도의 운영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 지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의 공립 중등교사 400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 하였고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2.0 program을 사용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T-test(검증)와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 χ²(Chi-square)를 실시하였다. 또한 집단 간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해 ANOVA분석 후 Duncan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근무성적평정제도에 대한 개선 의견이 지배적인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이 근무성적평정제도에 대하여 알고 있는 수준은 그렇게 높지 않았다. 근무성적평정제도에 대한 인지 수준이 높지 않다는 것은 현행 근무성적평정제도에 대한 문제의식은 있지만 근무성적평정의 구체적 내용에 대한 관심은 부족하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둘째, 현행 근무성적평정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은 상급자 위주의 평가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식은 평가자를 교장·교감에 한정함으로써 타당하고, 공정한 교사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현실을 반영한 것이다. 새로운 교사평가제에 다면평가가 도입된 배경도 이런 이유에서 비롯된 것이다. 셋째, 현행 근무성적평정제도 개선방향에 대한 인식에서 ‘제도의 틀을 새롭게 바꾸어야 한다’가 가장 높은 응답을 보였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기존 제도의 개선 및 수정·보완 쪽에 많은 지지를 보였던 종래의 연구 결과와는 차이를 보인다. 넷째, 새로운 교사평가제 도입 목적에 대한 인식에서는 ‘공교육 부실의 책임을 교원에 전가’, ‘부적격 교사의 퇴출’ 등의 부정적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속 교직단체가 있는 교사들의 경우 평가목적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더욱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새로운 교사평가제의 내용이 타당한가, 근무성적평정제도의 문제점을 잘 보완하고 있는가, 시안의 개선 필요성에 대해서 교사들은 부정적인 응답을 보였고 새로운 교사평가제의 전면 도입에 대해서는 반대 의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새로운 교사평가제를 도입할 경우 예상되는 문제점을 조사한 결과, ‘평가 기준 미비로 인한 평가 결과의 신뢰성, 타당성, 공정성 시비’를 가장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어떠한 형태로든 새로운 교사평가제를 도입할 경우 평가목적의 중점을 ‘교사의 전문성 향상’에 두어야 한다고 보고 있었다. 선행 연구에 비추어 본 교사평가의 목적에 대한 교사들의 견해는 대체로 일관된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여덟째, 현행 근무성적평정제도와 새로운 교사평가제의 관계 설정에 대한 조사 결과는 ‘현행 근무성적평정제도를 수정·보완하여 운영하되, 새로운 교사평가제 철회’에 가장 높은 응답을 나타냈으며, ‘현행 근무성적평정제도와 새로운 교사평가제를 병행 운영한다’, ‘어떤 형태로든 교사평가제도 자체를 도입하지 않는다’, ‘현행 근무성적평정제도를 폐지하고, 새로운 교사평가제를 전면 도입한다’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즉, 제도의 전면적인 도입·시행보다는 현행 근무성적평정제도의 기본 골격을 수용하고 점진적 개선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 근무성적평정제도와 새로운 교사평가제의 관계 설정에 있어서 현장의 교사들은 새로운 교사평가제의 도입보다는 기존의 근무성적평정제도를 수정·보완한 수준에서 교사평가제를 운영하는 것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새로운 교사평가제 도입이 지나치게 경제논리나 정치적 논리에 입각하여 성급하게 추진되어 학교 현장에서 새로운 교사평가제 대한 건전한 논의보다는 새로운 제도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불안감을 조장하여 과도한 거부 반응을 일으키게 하였다. 교사들 역시 현행 근무성적평정제도가 평가기제로서의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고 있고 개선 요구도 강력하다. 따라서 성급한 교사 평가 실시가 지양되고, 교사들의 공감을 이끌어내는 평가 저변 문화를 형성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면 새로운 교사평가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eachers' understandings and opinions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existing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nd the new Teacher Evaluation System for and to provide with practical and meaningful background information about the better way to get to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in the educational area of Korea.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1. What do teachers think about the existing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 What do teachers think about the existing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re there an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ir thinking depending on their sex, career, position and the group they are with? b. What do they think about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re there an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ir thinking depending on their sex, career, position and the group they are with? c. What do they think about the necessity to improve the existing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re there an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ir thinking depending on their sex, career, position and the group they are with? 2. What do teachers think about the new 'Teacher Evaluation System'? a. What do teachers think about the new 'Teacher Evaluation System'? Are there an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ir thinking depending on their sex, career, position and the group they are with? b. What do they think about the problems of the new 'Teacher Evaluation System'? Are there an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ir thinking depending on their sex, career, position and the group they are with? c. What do they think about the necessity to improve the new 'Teacher Evaluation System'? Are there an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ir thinking depending on their sex, career, position and the group they are with? 3. What do teachers think about the relations between the existing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and the new 'Teacher Evaluation System'? Are there an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ir thinking depending on their sex, career, position and the group they are with? The subjects were 400 teachers at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1 middle school and 9 high schools in Seoul, 1 middle school and 1high school in Incheon and 1 middle school and 2 high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10.0 program. The study made use of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One-way ANOVA, χ²(Chi-squar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conducted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for post-hoc.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ven though teachers think that the existing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needs to be improved, they don't have enough understanding and knowledge about the details of this system. Second, teachers are especially unsatisfied with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existing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nd we can also find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ir thinking about the evaluation method depending on the group they are with. Teachers who are with "the Korean Federation of Teachers' Association"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level of 2.91 points, teachers who are not in any group showed the middle satisfaction level of 2.51 points and teachers who are with "the Korean teachers & Education workers' union" showed the lowest satisfaction level of 2.20 points. Third, with regard to the ways of improving the existing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most of teachers responded that its framework itself has to be totally changed. Fourth, most of teacherswell understand the fact that the main purpose of introducing the new 'Teacher Evaluation System' is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however they don't think that the new system will be so successful as expected. Fifth, with regard to the introduction of the new 'Teacher Evaluation System', teachers who are with any of group took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 it. Despite the continuous denial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most of teachers think that the new system will be used for the restructuring of teachers in the future. Sixth, generally, teachers think that the new 'Teacher Evaluation System' needs to be improved quite a lot and they also have a negative attitude about the immediate and sweeping introduction of this new system. Seventh, with regard to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relations between the existing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nd the new 'Teacher Evaluation System', 44.9% of teachers wanted improvement ofthe existing system in better ways and wanted withdrawal of the new system. 19.1% of teachers have the view that both systems needs to go side by side. 18.0% of teachers objected to either of them. And 16.5% of teachers wanted abolition of the existing system and wanted immediate enforcement of the new system.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 that most of teachers preferred the improvement of the existing system to the immediate introduction of the new syst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3 C. 용어의 정의 4 D. 연구의 제한점 5 II. 이론적 배경 6 A. 교사평가의 개념 및 구성요소 6 B. 근무성적평정제도 21 C. 새로운 교사평가제 30 D. 근무성적평정제도와 새로운 교사평가제의 관계 43 III. 연구방법 54 A. 연구대상 54 B. 측정 도구 55 C. 자료의 처리 56 IV. 연구결과 57 A. 현행 근무성적평정제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57 B. 새로운 교사평가제에 대한 인식 64 C. 근무성적평정제도와 새로운 교사평가제도와의 관계 설정에 대한 인식 75 V. 결론 82 A. 요약 및 결론 82 B. 논의 및 제언 86 참고문헌 91 부록 96 ABSTRACT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535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근무성적평정제도와 새로운 교사평가제에 대한 중등학교 교사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existing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nd the new Teacher Evaluation System-
dc.creator.othernameYeo, Eun-Jeong-
dc.format.pagex, 10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