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혜주-
dc.creator김혜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6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035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84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035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deas for improving the in-school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by analyzing the contents that teachers received through the in-school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and analyzing the needs of teachers in regards to the in-school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the enhancement of teachers' professional abilities and qualities. The study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eachers recognize the need for specialized content in professional, organized and personal development fields.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ir perception that the program is an opportunity for major self-development. Second,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field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among teachers. Unit schools must improve efforts for quality in-school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Teachers' needs should be reflected in these programs. They can be incorporated through the use of teacher survey. Third, the content that teachers have received thus far in professional development fields were to theory-focused. For example school curriculum course. However, teachers wanted content that can be used in class, such as the production of learning material, practical learning techniques. Fourth, teachers mainly received development programs of encouragement on-school of learning, encouragement of class learning. However, the needed development program contents also include improved human relations between teachers and methods of communication, along with teacher leadership and opinion agreement methods, which have not been part of the main development program content until now. Lastly, despite the fact that in-school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are for the level development of individual teachers and the school as an organization, it has been shown that most teachers have not received any training in personal developmental fields; however, it has been shown that the needs of teachers for development program in personal developmental fields were very high. Therefore, programs regarding health management or mental stress management, needed most by teachers, must be planned.;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의 전문적 능력과 자질 향상을 위하여 그동안 교사들이 교내 자체연수를 통해 받았던 연수 내용들을 짚어보고, 교내 자체연수 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를 분석하여 교내 자체연수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자체연수 내용을 교사의 전문적 발달영역, 학교의 조직적 발달영역, 교사의 개인적 발달영역으로 구분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사들이 교내 자체연수에서 전문적ㆍ조직적ㆍ개인적 발달영역별로 주로 받은 연수 내용은 무엇인가? 둘째, 교사들이 교내 자체연수에서 전문적ㆍ조직적ㆍ개인적 발달영역별로 필요하다고 느끼는 연수 내용은 무엇인가? 셋째, 교내 자체연수 프로그램의 전문적ㆍ조직적ㆍ개인적 발달영역별 개선 방향은 무엇인가? 연구문제의 수행을 위하여 200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분석을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내 자체연수의 전문적ㆍ조직적ㆍ개인적 발달영역 대부분의 하위 내용에 대하여 교사들은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교사들이 기본적으로 연수를 자기 발전의 기회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교내 자체연수 중 전문적 발달영역은 교사들이 지금까지 주로 받은 영역이고, 또한 교사들이 가장 많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영역임을 알 수 있다. 즉 교사들은 지금까지 전문적 발달영역에 대하여 연수를 많이 받았지만 학생들을 교육하고, 업무를 수행하는 데 전문적 발달영역의 질 높은 연수가 더 필요하다고 느낀다는 것이다. 셋째, 전문적 발달영역에서 교사들이 지금까지 받았던 연수 내용은 학교 교육과정 구성 및 교육과정 운영 계획, 수업연구 등으로 다소 이론적인 내용 중심의 연수였다. 그러나 교사들이 원하는 내용은 학습 자료 제작 및 활용, 수업 실기 등 수업에 활용할 수 있거나 아동을 지도하는 데 실질적으로 필요한 내용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적 발달영역에서는 교내장학ㆍ수업장학, 정부의 홍보 시책 전달과 교원의 인사복무 등에 대한 내용을 주로 연수받았다. 그러나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연수 내용은 이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주요 연수 내용이 아니었던 교사들 간의 인간관계 증진 및 의사소통 방법, 교사들의 리더십 및 의사결정 방법 등도 있다. 학교 조직을 위해 업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도움이 되는 연수도 필요로 하지만 그 조직 속에 소속된 교사들 간의 문제, 리더십 있는 교사의 모습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교내 자체연수는 교사 개인과 학교 조직의 고른 발전을 위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이 개인적 발달영역에 대한 연수는 받은 경험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단위학교에서 연수를 계획하는 교장ㆍ교감 혹은 관련 부장이 연수에 대한 전문적 인식이 부족하여 개인적 발달영역에 대한 연수는 연수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인식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요구 조사 결과 교사들은 개인적 발달영역의 연수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이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건강관리나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에 대해 구체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계획되어야 한다. 위의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먼저, 교내 자체연수를 계획할 때, 단위학교에서 소속된 교사들의 요구를 조사하는 것이 가장 먼저 진행되어야 한다. 연수를 진행하는 강사와 연수를 받는 교사 사이에서 의미가 있는 자체연수가 되기 위해서 프로그램 개발자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요구 조사를 통하여 이를 반영한 자체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교내 자체연수의 기본 유형을 전직원 참가형으로 하였다. 그러나 다양한 내용과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교내 자체연수의 특징을 고려할 때 교사 발달의 3가지 측면(전문적ㆍ조직적ㆍ개인적 발달영역)은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여러 가지 내용과 그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하고 적절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교내 자체연수는 일반연수와 달리, 단위학교에 소속된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단위학교를 중심으로 교사들의 요구가 반영된 프로그램을 계획ㆍ운영ㆍ평가하여 교사들의 만족도를 조사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후속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앞으로 교내 자체연수의 활발한 시행을 기대하여 볼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용어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6 A. 자율장학의 개념과 기본형태 6 1. 자율장학의 개념 6 2. 자율장학의 기본형태 7 B. 교내 자체연수의 개념 11 1. 현직연수와 교내 자체연수의 관계 11 2. 교내 자체연수의 특징 13 3. 교내 자체연수의 유형 15 4. 교내 자체연수의 내용 17 C. 교내 자체연수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24 1. 교내 자체연수의 우수사례 24 2. 교내 자체연수의 문제점 28 3. 교내 자체연수의 개선방안 35 4. 선행연구의 한계점 37 Ⅲ. 연구 방법 39 A. 연구대상 39 B. 조사도구 42 C. 자료 분석 방법 45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46 A. 교내 자체연수의 실태 46 1. 교내 자체연수를 주로 받은 영역 46 2. 전문적 발달영역의 연수 실태 49 3. 조직적 발달영역의 연수 실태 52 4. 개인적 발달영역의 연수 실태 55 B. 교내 자체연수의 필요에 대한 요구 분석 58 1. 교내 자체연수에서 필요한 영역 58 2. 전문적 발달영역의 필요에 대한 요구 분석 60 3. 조직적 발달영역의 필요에 대한 요구 분석 63 4. 개인적 발달영역의 필요에 대한 요구 분석 67 C. 교내 자체연수의 개선 방향 69 Ⅴ. 요약 및 결론 72 A. 요약 72 B. 결론 76 C. 제언 79 참고문헌 81 부록 84 Abstract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9450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교내 자체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요구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Needs of Teachers for the In-school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dc.creator.othernameKim, Hye-joo Kim-
dc.format.pagexii, 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dc.date.awarded200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