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6 Download: 0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교수적 수정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

Title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의 교수적 수정에 대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
Other Titles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on the Instructional Adapt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Authors
백진희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재 우리나라의 통합교육은 물리적 통합과 사회적 통합의 단계에서 더 나아가 교육과정적 통합을 주장하는 수준으로 발전하였다. 교육과정적 통합이란 일반학급에 통합된 장애학생이 통합학급의 수업을 통해 적합한 교육적 성취를 이루는 수준의 통합을 의미하며, 이를 위해서는 교수적 상황의 수정과 조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학급 교실에서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적 수정의 필요성과 사용에 관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교수적 수정은 장애학생의 통합학급에서의 교육적 성취를 돕는 조치로써 개별 학생의 능력과 요구에 따라 필요도와 사용도가 결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무조건 필요도와 사용도가 높다고 해서 바람직한 교수적 수정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는 없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교수적 수정의 적절성 보다는 전반적인 필요도와 사용도에 중점을 두어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어떠한 교수적 수정을 사용하고 있으며, 어떠한 교수적 수정을 필요로 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교수적 수정에 대한 두 집단 간의 인식 차이도 함께 알아봄으로써 장애학생에게 필요한 교수적 수정의 적절한 사용을 확대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내 특수학급이 있는 초등학교의 특수교사 114명과 통합학급 교사 103명, 총 217명이다. 연구 도구는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적 수정에 대한 인식조사 설문지’로 문헌연구를 토대로 연구자가 개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빈도분석, t 검증, 검증, 일원분산분석 및 Scheffè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적 수정에 대한 필요도 인식에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모두 4점 척도에서 평균 2.8이상으로 필요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두 집단 모두 교수방법에서의 수정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교수적 수정에 대한 사용도 인식에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모두 4점 척도에서 평균 2.1 정도의 ‘가끔 사용한다’는 수준을 나타냈다. 통합학급 교사집단은 교수환경 수정의 사용도 인식이 높았으며, 특수교사는 교수방법 수정, 교수환경 수정 등 통합학급 교사보다 다양한 유형의 교수적 수정을 사용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두 집단 간 인식 차이를 살펴보면 교수환경 수정과 교수집단 수정에서 통합학급 교사 집단의 필요도 인식이 특수교사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사용도의 경우 교수환경 수정과 교수집단 수정에서는 통합학급 교사 집단의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고, 교수내용 수정에서는 특수교사 집단의 사용도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넷째, 특수교사 집단과 통합교사 집단 모두 장애학생의 교수적 수정의 필요도와 사용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용도가 필요도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통합학급 교사가 실제 수업장면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방법 수정 전략들이 많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교수내용이나 평가방법에서의 수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수준의 교육과정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교수적 수정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 간의 인식 차이를 좁힐 수 있는 효과적인 의사소통 체계나 협력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개별 장애학생에게 필요한 효과적이고 적절한 교수적 수정이 선정되고 적용될 수 있도록 교수적 수정의 개발 절차에 대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교수적 수정의 사용도를 높이기 위한 행정적인 지원이 제공되어야 한다. 앞으로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기를 바라며, 본 연구가 이후 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The nation's current inclusive education has evolved from the stage of physical and social inclusion to that where people argue on the need for curricular inclusion, which suggests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can also realize academic accomplishments by taking inclusive classrooms. Toward this end, the teaching environment needs to be adjusted. This study looked at how teachers perceive the need for and use of instructional adapt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s. The need for and use of instructional adaptation as a measure for help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alize academic accomplishments in inclusive classes depend on the individual's capability and needs. In other words, a desirable instructional adaptation is not necessarily tantamount to a rising need for and growing use of such. As such, this study focused more on the overall need for and use of instructional adaptation rather than its appropriateness to determine what type is used and needed. It also sought to find ways of expanding the use of instructional adaptation by taking a look at the difference in its understanding by the two group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A total of 217 teachers (114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103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ere considered. The "Questionnaire on Instructional Adapt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used as a research tool. Frequency analysis, t test, X2 test, one-way ANOVA, and Scheffè test were used to process the collected materi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bo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rating the need for instructional adaptation as 2.8 out of a highest possible score of 4 points. Both groups realize the supreme importance of the adaptation of instructional methods. In terms of the use of instructional adaptation, both groups gave a rating of 2.1 points (used from time to time). Whereas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e use of environmental adaptation, tho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used instructional methods and environmental adaptation. Third, regarding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between the two groups,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for environmental adaptation and instructional groupings adaptation better than thos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ch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imilarly, the recognition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terms of the use of instructional groupings and environmental adapt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ontrast, the recogni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erms of the use of instructional contents adapt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Fourth,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between the need for and use of instructional adapt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pecifically, the use of instructional adaptation was found to be less significant than the need for instructional adap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drawn: First, various instructional adaptation strategies that can be used in actual class situations should be developed. Second, a curriculum for multi level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instructional contents or evaluation methods. Third, an effective communication or cooper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narrow the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instructional adaptation between the two groups. Fourth, the development procedure for instructional adaptation should be studied to select an effective and appropriate adaptation for each students with disabilities. Finally, administrative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enhance the use of instructional adaptation. Follow-up research based on this study is recommen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