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49 Download: 0

현장연구 조건으로서 교사 연구공동체의 필요성

Title
현장연구 조건으로서 교사 연구공동체의 필요성
Other Titles
(An) Analysis on the Teachers' Research Community as a Requirement for the Action Research
Authors
안선영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Keywords
현장연구 조건교사연구공동체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귀윤
Abstract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성을 개발하고 교육 주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현장연구의 특성을 살펴보고, 현장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으로서의 교사 연구공동체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한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들이 교육현장의 문제해결을 위해 수행하고 있는 현장연구의 문제점은 무엇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현장연구가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조건은 무엇인가? 2. 현장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 교사 연구공동체의 역할과 특성은 무엇인가? 1) 현장연구의 수행에 있어 교사 연구공동체의 필요성은 무엇인가? 교사 연구공동체는 기존의 현장연구의 문제점을 극복하는데 있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가? 2) 현장연구의 내용을 실질적인 교육의 변화로 연결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교사 연구공동체는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 현장연구의 특징은 개선과 참여이다. 개선의 의미는 교실의 일시적인 문제해결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교실의 문제에 관련된 모든 요인들의 상호작용을 파악하여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을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교사의 변화이다. 교사의 교육 현장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문제 해결 능력을 발전시킴으로써 교육의 총체적인 개선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현장연구의 목적이다. 또 하나의 현장연구의 특징은 교사의 주체적인 참여로 연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 때 참여의 의미는 교육 현장의 문제를 공유하는 동료 교사들 간의 협동적인 형태로 확대 되어져야 한다. 이러한 교사들의 협동적인 참여는 상호주관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주관적, 객관적 제약들을 극복할 수 있으며, 동시에 변화를 실천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집단적인 힘을 확보할 수 있다. 현장연구는 기술적 현장연구, 실천적 현장연구, 해방적 현장연구로 구별된다. 기술적 현장연구는 효율적인 교육 목적의 달성을 위한 도구를 고안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 교사는 자기반성과 협동을 통해 교육 개선에 있어서 주체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교육 목적을 유지하고 옹호하는 수단으로서 이용된다. 실천적 현장연구는 교사의 신중한 판단에 의거해 교육 실제의 개선이 이루어 질 수 있다는 점에서 기술적 현장연구와 구별된다. 그러나 개선의 영역이 교사 개인의 차원에 국한되며, 주관적 판단을 왜곡시킬 수 있는 사회구조적 요인을 간과한다. 해방적 현장연구는 현장연구의 기본 원리인 '개선'과 '참여'의 의미에 일치한다. 해방적 현장연구는 교육을 사회적·역사적 현상으로 본다. 이 때 교사의 전문성은 교육을 왜곡시키는 원인을 동료 교사들과의 협동적인 논의를 통해 밝혀 내고 그것을 실제에서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현장연구의 개선과 참여의 원리를 구체화할 수 있는 장치가 교사 연구공동체이다. 상호 이해와 합의를 지향하는 협동적인 논의과정을 통해 자신들의 입장을 명확히 드러내어 수정하며, 이 과정을 통해 현장연구의 타당성을 지속적으로 검토한다. 협동적인 논의과정에서 타당한 논거를 추구해 가는 과정에서 교사의 해석체계와 문제해결 능력이 발전한다. 현장연구는 교실 문제에 대한 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결과를 직접 실천에서의 변화로 연결시킨다는 점에서 가치를 가진다. 현장연구의 결과를 실천으로 옮길 수 있는 교사들의 자율적인 권한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집단적인 세력의 형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측면에 비추어 볼 때 교사 연구공동체는 현장연구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조건이다. 교사 연구공동체를 통한 현장연구가 수행되기 위해서는 교사의 자질, 연구 수행에 필요한 물적, 제도적 여건들이 확보되어야 한다. 교사가 진정한 의미에서의 전문가가 되는 것이 현장연구의 최종적인 목적이며, 현장연구가 이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환경의 조성은 교육의 발전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The action research conducted by teachers is primarily intended to solve the actual problems and improve the educational circumstances on the whole. It is a significant resource of professional speciality for teachers. Actually in order to contribute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it needs a kind of systematic organ of teachers, that is teachers' research community. This study is to focus on analyzing the distinctive features of action research in education and asking for the answers to 'why action research need a teachers ' research community'? The action research of teacher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which have been based on the Habermas' theory of knowledge : technical, practical, and emancipatory. The technical action research seeks the most effective techniques for the given objects. It does not argue over if the objects are educationally adequate or not. It does not ask for the teachers to achieve a reflective overview and take a leading role in educational improvement, neither. What is important in technical action research is to achieve the given value system which are taken for granted. The practical action research is to appreciate the teachers' practice in education and to cultivate the teachers' comprehesion to themselves. It focused on the subjectivity of education and practice which is created by the teachers' own knowledge and judgement in the process of teaching. But it has some limitation because it failes to notice the fact that teachers' subjective practice in education itself is build up of the given ideas and values. So the apprehension is confined to personal-level. The emancipatory action research tries to embrace the objectivity of the technical action research and subjectivity of the practical action research. It does not regard education as value-free or personal. It takes education as social and historical phenomena. The professional speciality of teachers lies on the critical argument with their fellow teachers on the distorting factors. The emancipatory action research which provides oppotunit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on the whole and the cooperation of teachers fits to action research in education. What makes the emancipatory action research possible is teachers' research community. Each problems in the classroom needs to be solved in an individuated and unique approach. Therefore the action research which tries to change the classroom should not be based on the given research frame which is outside of education. Most of interpretations and decision-making around the school should be made primarily by the persons who will be responsible for the process and the results of education. Coorperative arguement within the teachers research community make it possible to seek valid ground for each educationl event and to apprehend their fellow teachers' teaching acts and finally to improve the educationl practice on the who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