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어수영-
dc.contributor.author오은정-
dc.creator오은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2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2Z-
dc.date.issued199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0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80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014-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까지 실시되어온 한국 고등학교에서의 통일교육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고등학교 통일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고등학교 국민윤리 교과 속에 포함되어 교육되고 있는 통일교육의 목표, 내용 그리고 교수방법과 통일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을 발견하였다. 오늘날 국제사회는 종전까지의 이념적 동서 대립 체제가 급격히 붕괴되면서 이데올로기의 대립에서 오는 긴장감이 완화되고 평화와 화해의 공감대가 형성되어 가는 가운데 국가간의 발전과 번영을 앞세우는 실용주의적 국제질서의 개편이라는 새로운 경제적 협력과 경쟁관계가 강화되고 있다. 또한, 북방관계의 급속한 변화, 그리고 이로 말미암은 남북한 관계의 예상되는 변화 등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교육과 관련되어 있으므로 그 목표, 내용, 방법 등에 있어서도 종래의 '대립과 대결의 경직된 구조'로부터 벗어나 '조화와 통합에의 지향'이라는 시각에서 융통성 있게, 그리고 합리적으로 재조정되어야 한다. 통일교육은 국가 사회의 존립과 발견, 민족의 생존권 확보와 평화통일을 위한 기반조성과 직결되는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에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통일교육의 목표는 학생들로 하여금 남북분단의 배경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현 상황을 평화적으로 극복함으로써 남과 북이 한나라로 통일을 이루어 민족공동체로서 살아야 한다는 민주적 정확 풍일의 신념을 굳게 다지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통일교육은 해방이후 현재까지 독립된 교과목으로서 체계적으로 실시되지 못했다. 족, 한국의 통일교육의 현실은 확고한 교육학의 원리에 의해 이루어지지 못하고 정책상의 고려에 의해, 또는 정치적 선택성의 원리에 의해 실시됨으로써, 이론적 체계나 교육 내용 및 방법상의 일관된 틀을 지니지 못한 채 그때 그때의 정치적 목표 구현에 맞추어 온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앞으로 한국의 통일교육은 북한의 위협적 측면과 더불어 북한의 동족적 측면도 함께 강조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형제와 위협'의 측면을 조화롭게 가르쳐야 할 교사들의 의지도 정립되어야 한다. 또한, 교육을 통하여 통일에 대한 긍정적인 사고를 하게 할 수도 있고, 또 조속히 통일을 이루고자 하는 의지를 기를 수도 있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 통일교육은 북한이나 통일에 관한 다양한 의견과 주장이 개인, 집단, 국가 각 수준에서 어떤 방식으로 제기되고 절충 타협되며, 마침내 하나의 사회적 합의를 이루게 되는지를 직접 간접으로 체험토록 하여 이러한 절충과정에서 요구되는 바람직한 행동규범을 습득할 수 있도록 통일의지를 높이기 위한 적극적 생활 훈련을 시켜야 한다. 아울러 통일은 민족의 행복과 발전을 이룩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라는 점을 민족적 차원에서 인식시켜 통일에 대한 관점을 명백히 하도록 강조하며, 통일에 관한 제도와 정책상의 노력을 병행하여야 한다.;The pupose of the present thesis is to search for the efficient plans to improve the high school's education of national unification through analysing the realities of the Korean high school's education of national unification so far enforced and thereby finding out the points at issue. In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purpose, contents teaching methods, realities and points at issue in the education of national unification. following points have been found out. In the nowadays' international society, with the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the East and West so far maintained being racidally collasped, thereby resulting in the mitigation of tension form such confrontation, and with the common sense of making peace and reconciliation being formed, the relations of new economic cooperation and competition between nations are being consolidated, which is so called the reorganization fo utilitarian national order which precedes the development and prosperity between nations. Also, since the radical change of the relationship toward the North, thereby the forecasted change the relations between S.Korea and N., etc. are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to education, the purpose, contents, method, etc. of the education related to national unification should be escaped from the rigid structure of confrontation or fighting in the past and therefore should be rationally readusted flexibly in the perpective orientd to harmony and unity. Since the education of national unification includes the contents linked directly and indirectly with the formantio of the ground for the existence of national society, development, the security of the racial right to live, and peaceful national unification, it is redeemed to be so significant. The purpose of the education of national unification focuses on the confirmantion of the belief of democratic, peaceful national unification that S.Korea and N. should be unified into one nation, thereby, living in a same community of a same people through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situation in peace. However, the Korean education of national unification from the Liberation from Japan to the present has been yet systemically practised as an independent subject. That is, the realities of the Korean education of national unification has not been achieved on the principles of pedagogy, and instead, it has been enforced in consideration of policy or the principle of political selective nature, and therby resulting in no manitaining of theoretical structure and the consistent frame of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Therefore, the fact that the education of national unification was arranged to meet the design of political targets is indicated to be a significant point at issue. So, the future education of national unification should focus on both aspects of N.Korea's threat to S.Korea and the relation of a sane race and therefore such kind of education is requerd. At the same time, the teachers' will should be defined and theorised so that they can teach both aspects of 'brethren and threat'. Also, considering the strong points that through such education, stuents can think positively national unification, be cultivated with their will to achieve the national unification the education of national unification should be one that through which how various opinions and assertions concerning national unification are suggested, compromised and finally are reached to one social contusion can be reviewed or directly and indirectly experienced at various level such as in each individual, group, and state respectively, and thereby the desirable behavioral norms requierd on the compromising process can be acquired, and the education of national unification should include the positive discpline to raise the will of national unification, In addition, making students recognize in a racial dimension Tha tnational unification is a means to achieve the people's happiness and prosperity, emphasis on national unification should be clearly reviewed, and a great effort should be given to the system as well as the policy related to national unifi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Ⅰ. 서론 = 1 A. 문제의 제기 = 1 B. 연구의 목적 = 3 Ⅱ. 통일교육의 성찰 = 5 A. 공산권의 변화 = 5 B. 국내의 상황 변화 = 7 Ⅲ. 통일교육의 목적과 필요성 = 12 A. 통일교육의 개념 = 12 B. 통일의 당위성 및 통일교육의 필요성 = 15 Ⅳ. 통일 교육의 실제 = 19 A. 통일교육의 목표 = 19 B. 통일교육의 내용 = 25 C. 통일교육의 방법 = 37 D. 통일교육의 현황 = 40 Ⅴ. 통일교육의 개선방안 = 52 A. 통일교육의 문제점 = 52 B. 통일교육의 개선방안 = 59 Ⅵ. 결론 = 69 참고문헌 = 72 부록 = 77 ABSTRACT = 8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455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한국-
dc.subject고등학교-
dc.subject통일교육-
dc.subject국민윤리교육-
dc.title韓國에서의 高等學校 統一敎育의 現況과 問題點-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and Issues of the High School's Education of National Unification-
dc.format.page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국민윤리교육분야-
dc.date.awarded199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