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성태제-
dc.contributor.author김자미-
dc.creator김자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11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79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7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79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instructiolal variables between mastery learner and nonmastery learner.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which instructional variable is functioned to classify the mastery learner from nonmastery learner. For the study three hundred and three elementary school student of six grade from six public schools and one private school in six districts in Seoul were sampled. Two hundred and ninty one student' responses were analyzed. Cutoff for classifing mastery learner or nonmastery learner is the score which is above or below one standard deviation from the mean of standard by the Angoff method and the Jaeger method. The results are : First, this study fou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for learning motivation, paticipation, reinforcement, questionaire form, locus of control, and satisfaction of learning environment.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for the clue and the degree of subject cognition. Second, the paticipation is highly correlated with group classification of mastery learner and nonmastery. Next highly correlated variables with groups classification are learning motivation, reinforcement, locus of control in order. Among the instructional variables, learning motivation is highly correlated with learning participation. This study found highly correlation coefficiant among the clue, the degree of subject cognition, and questionaire form. In distinguishing between mastery learner and nonmastery learner, classroom participation had the highest effectiveness. The satisfaction of learning environment, learning motivation, reinforcement, and questionaire form, except for, the clue and cognition, functioned for discrimination between two groups. This study and subject that teaching method is important to improve the learning ability for the nonmastery learner. In instruction-learning process, teacher may improve teaching skill to ameliorate nonmastery learner's learning participation. If teacher could consist of individualized instruction, nonmastery learner's cumulative lack of learning will be filled. It may be helpful for nonmastery learner that teacher encourage the nonmastery learner to participate in classroom activity and give nonmastery learner reinforcement. Nonmastery learner may get positive self-concept instead of negative self-concept when teacher encourages student to get high learning motivation.;본 연구는 준거참조 평가를 실시하여 완전학습자와 불완전학습자를 분류한 후, 두 집단간의 학습 차이가 어떠한 교수 변인에 기인하는지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거참조 평가를 근거로 분류된 완전학습자와 불완전학습자, 두 집단간에 학습자의 학습동기, 학습에의 참여정도, 교사의 보상, 교사의 단서제시, 교사의 교과 인지도, 질문형태 등의 교수 변인에 대하여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였다. 또한 학습상태에 대한 만족도와 귀인에 있어서 두 집단간의 차이를 검정하였다. 둘째, 교수 변인들과 학습상태에 대한 만족도, 귀인 등 8가지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완전학습자와 불완전학습자에 대한 8가지 변인들의 판별 기능 분석을 하였다. 준거참조 평가 실시와 교수 변인들에 대안 관전학습자와 불완전학습자 집단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서울 시내 6개 교육구에서 표집된 공립학교 6개교와 사립학교 1개교의 총 303명의 6학년 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산수과 성취도 검사 시험지와 질문지를 배부하였으며, 291명의 응답 내용을 분석하였다. 준거참조 평가 실시 후, 환전학습자와 불완전학습자를 나누는 준거 점수는 Angoff방법과 Jaeger방법에 의한 준거 점수의 평균을 중심으로 ±1 표준편차에 위치하는 점수를 준거 점수로 설정하였다. 이상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완전학습자 총 68명, 불완전학습자 총 79명을 대상으로 완전학습자와 불완전학습자에 대한 교수 변인의 판별 기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완전학습자와 불완전학습자, 두 집단은 학습동기, 학습에의 참여정도, 교사의 보상, 질문 형태 등의 교수 변인에서 두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학습상태에 대한 만족도와 귀인 등에 있어서도 두 집단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교사의 단서제시, 교과 인지도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변인들간의 상관 관계에서는, 집단 구분과 가장 상관 계수가 높은 교수 변인은 학습에의 참여정도이며, 학습동기, 보상정도, 귀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수 변인들간의 상관관계는 학습 동기와 학습참여가 가장 높은 상관 관계를 보였고, 교사의 단서제시와 교과 인지도, 질문형태 등이 높은 상관 계수를 나타내었다. 완전학습자와 불완전학습자에 대한 교수 변인의 판별 기능 분석에서는 학습에의 참여정도가 판별 기능에 대한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학습상장에 대한 만족도, 귀인, 학습동기, 교사의 보상, 질문 형태 등이 두 집단을 판별하는데 기능하는 교수 변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단서제시와 교사의 교과 인지도는 두 집단을 의미있게 판별하는데 기능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불완전학습자의 완전학습을 돕기위하여, 교사는 학습자들의 완전학습 상태를 수시로 점검하고 학습자들의 능력에 맞는 학습 방법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또한 교수-학습 과정에서 교사는 불완전학습자의 학습 참여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해야 한다. 교사가 교수-학습의 개선 방향을 교수 개별화에 두고 완전학습자와 불완전학습자에게 수준을 달리하는 수업을 구성할 수 있을 때, 불완전학습자의 누적적 학습 결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학습에 참여한 불완전학습자에게 교사는 긍정적 보상을 지원하여, 불완전학습자의 학습동기를 고무시켜야 한다. 그럼으로써 교수-학습 과정에서 불완전학습자들이 가지는 자신에 대한 부정적 자아 개념을 긍정적 자아 개념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더불어 모든 교과에 대하여 준거참조 평가를 실시하고, 각 교과에서 완전학습자와 불완전학습자를 판별하는데 기능하는 교수 변인에 후속 연구가 뒤따라야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목적과 연구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준거참조 평가 = 7 B. 학업성취와 교수 변인 = 13 C. 최근 연구 = 30 Ⅲ. 연구 방법 = 32 A. 연구 대상 = 32 B. 측정 도구 = 33 C. 완전학습자와 불완전학습자를 분류하는 준거방법 = 35 D. 연구 가설 = 36 Ⅳ. 연구 결과 = 38 A. 학습자의 배경요인 = 38 B. 준거 설정 = 39 C. 교수 변인의 영향 = 42 1. 두 집단간의 교수변인에 대한 차이 = 42 2. 두 집단 구분을 위한 교수 변인들의 판별 기능 분석 = 46 Ⅴ. 결론 = 53 참고문헌 = 57 부록 = 62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0514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수학과목-
dc.subject완전학습자-
dc.subject불완전학습자-
dc.subject교수변인-
dc.subject판별기능-
dc.subject.ddc300-
dc.title수학과목에서 완전학습자와 불완전학습자에 대한 교수변인의 판별기능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Discriminant Analysis of Instructional Variables for Mastery Learner and Nonmastery Learner-
dc.format.page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