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6 Download: 0

국민학교 쓰기 교과서 비교 연구

Title
국민학교 쓰기 교과서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Elementary-school Textbooks on Writing : Particulary to the 2nd and 5th textbooks
Authors
박해숙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Keywords
국민학교쓰기 교과서제2차제5차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강윤호
Abstract
본 연구는 제2차·제5차 쓰기 교과서를 비교·분석하여 제5차 쓰기 교과서가 제2차 쓰기 교과서에서 발전된 형태로서의 교과서인지, 아니면 전혀 무관한 별개의 형태로서의 교과서인지를 밝히려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제2차·제5차 쓰기 교과서의 편찬 및 기본 방향, 교과서의 체재, 지도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갈다. 1. 편찬 방향에서 제2차 쓰기 교과서가 쓰기 교육의 정상화를 기하는 데 둔 반면, 제5차 쓰기 교과서는 언어 사용 기능 신장의 극대화를 돕는 데 두고 있다. 2. 전체적 구성에서 제2차 쓰기 교과서가 본문으로만 구성된 반면, 제5차 쓰기 교과서는 도입면과 학습 활동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단원 구성은 제2차 쓰기 교과서가 소단원제, 대단원제를 채택한 반면, 제5차 쓰기 교과서는 소단원제를 채택하였다. 4. 단원의 편제는 제2차 쓰기 교과서가 혼합형, 주제별로 구성된 반면, 제5차 쓰기 교과서는 혼합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5. 글씨쓰기의 지도 내용은 제2차 쓰기 교과서가 운필에 관한 사항, 필순, 자모의 배합, 배자·배열로 조직되어 1 ~ 3학년의 집중적인 지도가 교사의 설명에 의해 이루어진 반면, 제5차 쓰기 교과서는 글씨쓰기 학습 요소 확인, 자형 인식, 덮어쓰기 및 보고쓰기로 조직하여 1학년의 집중적인 지도와 함께 내용 체계를 조직화하여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학습에 임하게 하였다. 6. 글짓기의 지도 내용은 제2차 쓰기 교과서가 한 편의 글을 완성시키는 결과에 중점을 두어 단계별 지도가 미흡했고, 글 유형에 따른 글짓기에 치중한 반면, 제5차 쓰기 교과서는 한 편의 글이 완성되기까지의 과정에 중점을 두어 단계별 지도가 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특히 기술 단계에 큰 비중을 두었다. 위에서 열거한 결과를 다시 집약하여 보면, 제5차 쓰기 교과서는 제2차 쓰기 교과서의 부족한 점을 수정·보완하고, 학문적 접근 방법을 통하여 새로운 지도 이론의 체계화, 지도 방법의 과학화 및 능률화를 기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5차 쓰기 교과서는 제2차 쓰기 교과서를 더욱 발전시킨 교과서 형태를 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is study aimed to reveal whether the fifth textbook on writing is as the developed form from the second textbook on it, or as the another form totally irrelevant to through analyzing both textbooks comparatively. For this, compared and analyzed were the compilation or basic organizational system and instructional contents.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Direction of compilation. While the 2nd stands toward normalization of writing education, the 5th tries to help maximization of enhancement in languagr use. 2. General organization. While the 2nd is arganized only with main text, the 5th includes parts of instruction and learning activity. 3. Unit constitution. While the 2nd adopts small and large unit systems, the 5th adopts small unit system. 4. Unit organization. The 2nd is made of mixed forms and classified themes, while the 5th is made of mixed forms. 5. Instructional content. The 2nd is organized with matters on wielding the pen, combination of syllabics and arrangement of letters so that the concentrated instruction from first to third grades is done only by teacher's explanation without any system, while the 5th is structured of learning elements confirmation, character form recognition, writing on covering and writing from a copy, systemizing frames of content as well as positioning the course of concentrated instruction to the first grade so as to have students encounter learning process positively. 6. Instructional content. The 2nd is poor in graduational instruction due to its laying emphasis on the result of completing a piece of writing and also makes much of writing stories by modes, while the 5th makes graduational instruction to be implemented impartially by laying stress upon the process in which a piece of writing is made up and it, especially, places a great weight on descriptional stage. To sum up the results listed above again, the fifth textbook on writing amended and complemented the second textbook on writing to leave fewer things to be desired, and it seeks for a systemization of fewer instructional theories and scientification and streamlining of instructional methods through scholastic approaching method: in this respect, it could be seen that the fifth textbook on writing has taken a form more developed form the second textbook on writing.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