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문실-
dc.contributor.author서형숙-
dc.creator서형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5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5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2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7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254-
dc.description.abstract각종교통 수단의 발달과 기계문명의 발달은 인간에게 편리함을 제공해 주었지만 교통사고 및 각종 재해 발생의 증가로 인해 사지중 일부의 절단으로 인한 장애자의 수는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절단에의한 신체적 기능의 감소뿐아니라 정서적으로 매우 적응키 어려운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현대간호는 신체위주의 간호에서 탈피하여 대상자를 총체적인 인간으로 보면서 생리학적, 정서적, 사회 문화적 측면을 고려한 전인 간호를 지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사지 절단환자의 간호진단중의 하나인 상실감에 대한 현상을 현상학적 연구를 통하여 상실감을 감소시키는 효율적인 간호중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지역 일 대학병원과 일 종합병원 정형외과 병동에 입원하고 있으며 사지중 일부의 절단수술후 60-80일 기간이 경과된 환자 10명으로 자료수집기간은 1993년 7월 18일 부터 9월 12일 까지 총 67일간 비구조적이고 개방적인 질문을 사용한 면담형식으로 이루어졌으며 대상자의 양해하에 면담내용을 녹음하였다. 자료분석은 Van Kaam 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틀을 이용하여 분석되어졌으며 분석된 내용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정에는 박사과정생 1인, 석사학위를 취득한 연구원 1인과 석사학위를 취득한 수간호사 2인에 의해 검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실감 경험시의 느낌은 신체적 증상, 부정적 감정, 주위의 지지에 대한 인지, 경제적인 보상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 증상은 답답함, 불면증, 부정적 감정은 비통감, 불안감, 허무감, 수치감, 현실부정으로 범주화 되었다. 주위의 지지에 대한 인지는 가족의 지지, 동료들의 지지, 영적 지지, 경제적인 보상은 경제적인 보상에 대한 다행감으로 범주화되었다. 2. 절단환자가 상실에 부여하는 의미는 포괄적으로 신체적인 불편, 부정적 감정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인 불편감은 다시 활동의 부자유, 신체적 안녕감 상실, 장애자로서의 자각으로 범주화 되었다. 부정적 장정은 자포자기, 부정적 미래관, 수치감, 절망감, 허무감, 능력 상실, 회상으로 범주화되었다.;Developement of traffic media and advance of mechanical culture offered human comfort, but increase of traffic accident and various industrial accident were caused increase of disabled person. Disabled person was suffered body functional problem and also mental problem. The purpose of phenomenological study was offered the basic data to nursing which could decrease the grief for an amputee. The study subject were a convenience sample of 10 patients who admitted at orthopedia in a university hospital and a general hospital in seoul. The data was collected during 67 day from 18, July to 12, September, 1993. The subjects were interviewed with unstructured open questions and the interviews processed under tape recorder with their permission. The data was analysed by Van Kaams phenominological method.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were assured by one doctural candidate, one researcher with master degree, and one head nurse with master degre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Feeling about loss experience appeared physical symptom and expression of negative emotion. Physical symptom included pressure and sleepleness. Expression of negative emotion inclued grief, unrest, nihility and ignoreness of reality. Psycological motives were assistance of family, contact of disabled person, belief, faith, recognition of present, and economical compensation. 2. Grief means felled by amputee were generally physical discomfort, expression of negative emotion and compensation on a loss. Physical discomfort was calssified to restriction of act, disability and perceive as a disabled person. Expression of negative emotion consisted of despair, dishonor, hopelessness on future, loss of functional ability, nihil, and reflection on the back.-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문헌 고찰 = 5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11 A. 연구대상 = 12 B. 자료수집기간 및 방법 = 12 C. 자료분석과정 = 13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15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15 B. 자료분석 결과 및 논의 = 15 Ⅴ. 결론 및 제언 = 32 A. 결론 = 32 B. 제언 = 33 참고문헌 = 34 부록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39 ABSTRACT = 4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155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절단환자-
dc.subject상실감-
dc.subject연구-
dc.subject간호-
dc.title절단환자가 느끼는 상실감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5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dc.date.awarded1994.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