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9 Download: 0

국민학교 음악과 실기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현황 조사

Title
국민학교 음악과 실기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현황 조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Music Subject of Elementary School
Authors
윤혜영
Issue Date
199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초등교육분야
Keywords
국민학교음악과실기평가교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경자
Abstract
본 연구는 국민학교 음악과 실기평가의 전반적 실태와 문제점을 질문지법에 의해 조사, 분석하여 그 개선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봄으로써 국민학교 음악과 교육에 있어서 실기평가의 개선 발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국민학교의 음악과 실기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실태는 어떠한가? 1) 실기평가의 목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2) 실기평가의 기준안 작성과정 3) 실기평가의 방법, 도구 및 자료 4) 교사가 인식한 자신의 음악과 평가 능력 5) 실기평가의 운영 6) 교사가 인식한 실기평가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위 연구문제를 조사하기 위하여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의 교사 340명을 대상으로 하여 본 연구자가 선행 연구를 참조하여 작성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각 문항에 대한 반응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성별, 교직 경력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X^(2),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사들은 음악과 실기평가의 필요성을 크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남교사들보다 여교사들이 실기평가의 중요성을 더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음악과 실기평가의 결과가 교수, 학습 지도방법 개선에는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었다. 2. 국민학교 교사들은 음악과 실기평가시 동학년 협의나 학년별, 학과별 담당교사가 작성한 실기평가 기준안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작성된 기준안을 전적으로 따르기 보다는 대체적으로 따라하여 실기평가 기준안과 교사 주관에 따른 임의평가가 병행하고 있었다. 또한 교직 경력이 많을수록 기준안을 잘 따르고 있었다. 3. 많은 교사들이 '한학기에 단 1번'의 실기평가를 하고 있었으며, 독창과 독주 위주로 실기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가장 많이 활용하는 악기는 리코더로 나타나 다양한 평가방법과 악기의 활용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4. 국민학교 교사들의 음악과 학습평가 능력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교사들이 아동의 음악적 능력을 수량으로 측정하기 곤란하거나 교사 주관이 많이 작용하기 때문에 음악과 실기 평가가 어렵다고 느끼고 있었다. 남교사들이 여교사들보다 실기평가의 능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교직 경력이 적을수록 평가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5. 상당수의 교사들이 창작과 감상 영역의 평가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가창영역에 가장 큰 비중을 두어 평가하고 있었다. 6. 각 학교의 음악 기교재 비치 상황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이 생각하는 음악과 실기평가의 가장 큰 문제점은 형식에 치우친 평가와 교사의 주관이 작용하여 객관성이 부족함을 들고 있었으며, 실기평가의 개선 방안으로는 평가에 대한 지식연수 및 실기 전문화 기능 지도의 제공과 음악 기교재 및 시설 확충, 객관도, 타당도, 신뢰도 높은 문항자료의 제공을 들고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볼 때 음악과 실기평가의 개선을 위해서는 실기평가기준안의 내용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교사들의 평가능력 자질 향상을 위한 연수와 다양한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어느 특정 영역에 치우친 평가에서 벗어나 가창, 기악, 창작, 감상 영역의 통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asic data which are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of music subject of primary school, by trying to find the suggestion point about the improvement program through the examination and analysis of the general actual state and the points at Issues of performance evaluation of music subject of primary school. The concrete contents of study is as follows. How is the actual state of performance evaluation of music subject of primary school? 1) The recognition of the teachers about the goal of performance evaluation. 2) Framing course of standard program of performance evaluation. 3) Method, instrument and data of performance evaluation. 4) Evaluation ability of music subject of herself that the teacher recognized. 5) Manage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6) Points at issues and improvement program of performance evaluation that teacher recognized. For examing above study questions, this researcher used the questionnaire made out by me by referring to the study precedent on 340 teachers at Seoul, Incheon and Kyounggi province area. This researcher calculated the reaction frequency and percentage about each question item, and executed x^(2) verification so as to verify the difference by sex and teaching profession career.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eachers were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performance (이후원문누락)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