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6 Download: 0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인식된 현실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연구

Title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인식된 현실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조사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tudent's perceived reality about Reality Programs
Authors
김광희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Keywords
리얼리티프로그램청소년현실성인식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송유재
Abstract
텔레비전이 만들어낸 상징화된 현실에 관한 많은 실증적인 연구가 있어왔는데, 본 연구에서는 TV라는 매체를 통해 연출되고 상징화된 세계가 시청자에게 어떻게 인식되는가를 알아봄으로 TV의 계발효과를 고찰해 보았다. 특히 본 연구에서 TV 프로그램 중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선정한 것은 시의적인 것과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실제로 일어났던 사건, 사고를 있는 그대로 재연해서 보여줌으로 다른 장르보다 텔레비전에 대한 인식된 현실성이 보다 극명하게 나타날 것이라고 예측하였기 때문이었다. 이에따라 본 연구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제시하는 사실을 어떠한 방식으로 인식하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인식된 현실성의 개념의 하위개념인 요술창문, 동일시, 유용성 등 세가지 차원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 주요 변인으로 학생들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변인으로 시청 동기유형을 측정하였고, 리얼리티 프로그램외 형식상의 특징인 '재연(dramatizing)'의 특성에 대한 호의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주로 사건이나 사고를 다루므로 폭력성의 문제등이 대두되고 있는 점으로 고려하여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사회적 평가를 측정하였다. 그외 변인으로 성별, 학년, 거주지역(도시/농촌)에 따른 인식된 현실성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리얼리티 프로그램 시청량에 따라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된 현실성과 재연의 특성에 대한 호의도,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사회적 평가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텔레비전 시청동기와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된 현실성간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3) 학년과 성별, 피주지역에 따라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된 현실성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4) 학년과 성별, 거주지역에 따라 재연의 특성에 대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5)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된 현실성과 재연의 특성에 대한 호의도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가? 6)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된 현실성과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사회평가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가? 7) 재연의 특성에 대한 호의도와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사회적 평가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과 농촌지역의 국민학교 3학년, 6학년,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로 총 400명이었고, 조사도구인 질문지는 TV시청량, 시청동기,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된 현실성, 재연의 특성에 대한 호의도,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사회적 평가,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인 변인에 관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된 현실성은 각 차원별로 검증해 본 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동일시 차원과 유용성 차원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학년에 따라서는 요술창문 차원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거주지역에 따라서도 역시 요술창문차원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TV시청량과 인식된 현실성의 관계에 있어서는 TV시청량이 많으면 많을수록 인식된 현실성은 높게 나타났다. 시청동기 유형에 따른 인식된 현실성을 분석한 결과 정보추구형이나 오락추구형보다는 습관시청형이 인식된 현실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습관시청형이 정보추구형이나 오락추구형보다 인식된 현실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시청량과 재연의 특성에 대한 호의도의 관계에 있어서는 시청빈도가 높을수록 재연의 특성에 대한 호의도 역시 높게 나타났다. 즉, 리얼리티 프로그램중 시청자 집단이 경시청자 집단보다 재연의 특성에 대한 호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재연의 특성에 대한 호의도와 성별이나 학년, 거주지역의 관계에 있어서는 성별에 따라서는 사실성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학년에 따라서는 상세성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거주지역에 따른 재연의 특성에 대한 호의도를 보면 신뢰성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인식된 현실성과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된 현실성이 높은 사람이 재연의 특성에 대한 호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시청빈도에 따른 사회적 평가에 어떠한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분석해 본 결과,리얼리티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을 경우에는 시청빈도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한 집단에서는 시청빈도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일곱째,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된 현실성과 사회적 평가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서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된 현실성은 시청동기, 재연의 특성에 대한 호의도, 사회적 평가, 성별, 학년, 거주지역 등 다양한 변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개인의 특성을 시청동기 유형(습관시청형, 정보추구시청형, 오락추구시청형)으로 단순화시켰고, 프로그램의 특성에 대한 호의도와 인식된 현실성과의 관계를 주의깊게 살펴보는데 촛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는 새로운 TV외 장르인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바른 정착이라는 측면에서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특성에 의해 왜곡되기 쉬운 상징화된 현실에 대한 바른 정의를 내리는 접근의 하나였다.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일상사와 실재 있었던 일을 소재로 한다는 점에서 시청자들이 상징세계를 현실로 인식하는 왜곡된 현상을 발견하였다. 즉 학생들이 객관적 현실과 상징적 현실간의 차이와 그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를 인식하지 못한채 진실한 현실로 믿고 받아들인다는 점을 입증하였다. 특히 '재연(dramatizing)'의 연출기법에 의해 상징적 현실이 객관적 현실로 시청자에게 인식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음을 밝혔고, 재연의 특성은 실제 있었던 일을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는 사실성과 상세성, 신뢰성, 관음성을 전제로 함으로 이런 왜곡된 현상은 가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TV의 문화계발효과이론은 지지되었으며, 특히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특성이 인식된 현실성을 높게 나타나게 하는 TV의 대표적인 장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매우 강력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앞으로 리얼리티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다른 장르의 어떠한 특성들이 인식된 현실성을 가중시키는 변인인가를 찾아내는 일은 매우 중요한 과제로 남고 이에 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Television is a powerful instrument that influence societys social reality construction. TV effects on social reality are prevailing because television viewing has become somewhat of a ritual these days. a study on students perceived reality about "Reality Programs" is important since "Reality Programs" are a cause of distiring social construction. In studing this topic I tried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tudents perceived reality, preference about dramatizing's feature and social assessment on "Reality Programs", between students who are continuously exposed to "Reality Programs" and those Who are not. 2. Are there any correlations between Student's perceived reality about Reality Programs and purposes for watching television? 3. Are there any correlations in Student's perceived reality and preference about dramatizing features about Reality Programs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variables? 4. Are there any correlations between Student's perceived reality about Reality Programs and preference about dramatizing features? 5. Are there any correlations between Student's perceived reality about Reality Programs and social assessment on Reality Programs? The source of my subject samples included 400 student from two elementary schools(in the third and sixth grades), a middle school(in the second grade) and a high school(in the first grade) in Seoul and a rural community(Jang-Heung). I conducted the survey with a questionnaire of 61 questions. Statistical analyses were based on x, t-test, oneway variables and correlation xith .05 ∝ level. The result of the survey indicate that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eality about "Reality Programs" and how often they are watched. Furthermore, a positive correlation exists between the frequency of Reality Programs viewing and perceived reality about Reality Programs. Gender also influences perceived reality. Girls usually have a higher degree of perceived reality. In the relation between the resons for watching TV and perceived reality about Reality Programs, the more habitual viewing, the higher perceived reality about Reality Programs. The Student's perceived reality about Reality Programs and preference about dramatizing features differed according to their sex, their grades and their residence. In the relation between the frequency of Reality Programs viewing and the preference about dramatizing features, the more the student watched Reality Programs, the higher the degree of preference about dramatizing features. In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reality about Reality Programs and social assessment on Reality Programs, the higher perceived reality about Reality Programs, the stronger social assessment on Reality Programs(whether pro-social assessment or anti-social assessment) In conclusion, the research data indicates that the frequency of reality program viewing, the reasons for watching Reality programs, preference about dramatizing features, social asessment on Reality Programs, and the demographic variables, are all factors that influence Student's perceived reality. There are correlations among above variables as well. By taking a growing interest in Reality Programs, the influence of Reality programs on students become intensified. Therefore, valid and effective longitudinal research is in deman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