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신자-
dc.contributor.author엄수정-
dc.creator엄수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0:08:00Z-
dc.date.available2016-08-26T10:08:00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98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768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9817-
dc.description.abstract현대사회는 정보사회로 넘어가는 대전환기를 맞고 있으며, 새로운 지식과 기능, 기술의 급격한 발달과 그 양의 팽창은 사회구성원의 교육에 있어서 기존의 방법과 다른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교육방법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교육혁신의 수단으로써 대두된 교육공학은 사회적 요구에 부응되는 새로운 학문이며, 1,2차 세계대전을 통해서 군에서 본격적으로 교수매체 등을 도입, 활용한 이래로 군사 교육과 교육공학은 매우 밀접한 발전관계를 가져왔다. 교육공학이 교육에 있어서 혁신적인 교수방법으로 적용되고 있는 동안, 군에서도 이에 못지 않은 교수매체의 활용과 연구가 있어 왔고, 현재 우리나라 군사교육에서는 교수매체활용의 효과가 입증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군사교육에서의 교수방법과 교수매체 활용에 대한 군자체 이외의 검토는 군의 특수성에 기인하여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육군의 17개 군사학교의 군사교육에서 적용되고있는 교수방법과 교수매체의 활용현장을 조사, 분석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연구의 목적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 행해졌다. 1. 군사교육에서의 교수방법과 교수매제의 활용 및 우리나라 군사교육과 미국 군사교육에 있어서 최근의 교수매체 활용경향을 고찰하였다. 2. 우리나라 17개 육군 군사학교의 교관을 대상으로, 적용되고 있는 교수방법와 교수매채에 대한 현장을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우리나라 17개 육군 군사학교의 교관을 대상으로 실시된 군사학교에서의 교수방법 및 교수매체의 활용에 관한 조사연구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군사학교의 교관들은 강의, 실습, 사례연구 및 시범 등의 교수방법을 주로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방법에 따른 교수매제의 활용을 보면, 강의의 경우 강의교재 및 슬라이드를, 시범의 경우 실물 및 비디오자료, 실습은 강의교재 및 실물 등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교수방법별로 활용하는 교수매체의 종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군사학교에서는 교관 자신에 의한 교수계획안의 고안 및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군사학교의 교관들에 의해 자주 적용되는 교수집단을 보면, 소집단이 가장 많고, 그 다음 중집단, 일대일, 대집단의 순이었으며, 각 교수집단별로 활용하는 교수매체의 종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군사학교 교관의 교수매체 활용에 대한 인식도는 매우 높으며, 실제로 많은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었고, 학습자의 이해중진과 동기유발 및 주의집중을 위하여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가장 많이 활용되는 교수매제는 강의교재, 슬라이드, 괘도, 실물, 및 비디오자료, TP자료 등으로 나타났으며, 시청각센타의 교수매체 구비상태와 교재제작지원 등의 개선을 바라고 있었다. 또한, 대다수의 교관이 앞으로 군사교육에서 CBT를 활용할 의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6. 교수매체가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이유는 활용을 위한 시설 및 설비의 부족과 교수내용에 적합한 교수매제의 부족으로 나타났으며, 개선점으로써 교수매체 활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장소, 시설의 구비와 교수매체 제작지원의 활성화 등이 지적되었다. 7. 이상의 사항에 대하여 교관을 담당피교육자별로 장교, 하사관, 병사담당의 세가지 범주로 나누어서도 그 결과를 살펴보았으나, 전제 분석과 큰 차이는 없었고, 검증해본 항목의 대부분에 있어 담당 피교육자별 응답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며, 단지 사용되는 교수집단에 대한 의견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사용되는 교수집단에 있어서 피교육자가 장교인 교관의 경우는 일대일교수, 소집단, 중집단, 대집단의 순으로 교수집단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담당 피교육자가 하사관인 교관은 소집단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그 다음으로 일대일 교수를 주로 하고 있었으며, 중집단과 대집단의 사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담당 피교육자가 병사인 교관의 경우는 중집단, 대집단을 주로 사용하고, 소집단과 일대일 교수가 그 다음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을 제언하고자 한다. 1. 군사학교 교관의 높은 교수매체 활용도와 인식도 및 의욕에 맞는 보다 다양한 교수매체의 구비가 요구되며, 교수매체를 활용할 수 있는 시설 및 설비가 좀 더 적절히 갖추어져야 한다. 2. 교수매체의 활용을 지원해 줄 수 있는 시청각센타의 활성화가 요청되며, 교수매제의 활용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갖추어 교수매체 제작지원의 활성화를 도울 수 있는 매체전문가의 확보가 요청된다. 군자체의 요원가운데 이러한 매체전문가가 충분히 확보되고, 이들에 의해 각 군사학교의 교육에 적절한 교수매제의 활용방안이 계속적으로 검토되어져야 한다. 3. 일대일 교수나 소집단의 교수시에 보다 적합한 교수매체가 사용될 것이 요청되며, 각 교수방법에 맞는 교수매제의 활용에 대한 연구가 교관들에게 요청된다. 4. 교관들의 CBT에 대한 관심과 활용의향이 높게 나타났듯이, 컴퓨터를 비롯한 각종 첨단매체가 군사교육에 적절히 활용될 수 있도록 첨단매체에 대한 연구가 군대내에서 계속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져야한다. 5. 교수매체 활용이 보다 바람직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관들이 교수매체에 관련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교과 내지 강좌를 개설하여 수강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6. 교육공학자들은 학교나 기업체 뿐 아니라 실제로 많은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고, 교육공학 적용의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군사교육에 있어서 교수매체의 효과적인 활용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하여야한다.;Today's society is facing the big conversion to the information society. The fast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new knowledge, and those growing quantity let our society need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Educational technology as a method of educational innovation is a new study that is satisfying the social needs. Through World War Ⅰ, and Ⅱ, the military society starts to take the instructional media in earnest. After they put it to practical use, military education and educational technology are getting closer development relationship. While educational technology is being applied as an innovative instructional method, military society has studied the practical use of the instructional media and now the effect of the practical use of instructional media is proved in the military education. However, it had not been possible to examine the practical use of the educational method and instructional media in military education by now because of the speciality of the military society.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survey and to analyze instructional method and instructional media of 17 Korean Army military schools. The following research was done for the object of this research. 1. The practical use of instructional method and instructional media, in Korean military education, and the practical use of instructional media in U.S. military education are studied. 2. The questions on the status of instructional method and instructional media which are applied currently, were asked to the military instructors. The findings though analyzing the survey result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Military instructors usally use lectures, pratice, case studies and demonstrations as instructional methods. And different instructional media is used according to instructional method. That is textbook and slide in lecture, realia and video in demonstration, realia and textbook in practice are utilized. 3. Higher priority is given to small group, followed by medium group, individual, and finally, large group. The media chosen is depend upon which of the above groups are working. 4. Instructors generally have a high awareness of various instructional media usage and endeavor to implement them in classes to elicit attention and interest and to foster greater understanding among the students. 5. In military training, there is a preponderance of textbooks, slides, charts, video, realia and TP used. Most instructors feel an acute need for better support facilities such as audio-visual centers, and plan to use CBT systems. 6. The reason for instructional media not being put to practical use include both a lack of equipment and facilities, and the lack of suitable instructional media for the content of specific instruction. These shortcomings can be remedied by providing practical facilities and instructional media, equipment and support personnel. 7. When learning groups are categorized in terms of mlilitary officers, non-commissioned officers(NCO) and lower-grade or enlisted-men, and analysed according to media preference. In the case of military officers, the instructor prefers individualized instruction, small group, medium group, large group in order. In case of N.C.O.'s, the instructor prefers small group instruction to individualized instruction. For lowgrade or enlisted men, their instructors would like to use more medium group and large group instruction rather than small group or individualized instruction. On the basis of the conclusion mentioned above, I present some suggestions as follows; 1. An urgent need exists for more intensive use of a wide spectrum of instructional media. Consequently, more equipment and facilities must be dedicated to this end. 2. Activation of audio-visual center which can support utilization of instructional media and audio-visual center staffed with expert is required. Particular attention should be devoted to securing well trained military personnel. 3. In case of individualized instruction or small group instruction, more suitable instructional media is required. And study on the use of instructional media is required by military instructors. 4. The military must emphasize the use of CBT as well as implement further research into high-tech instructional media. 5. Specific education programs such as instructor workshops should be developed. 6. For the military education that has the unlimited possibility of the practical use of educational technology, the deeper research into the practical use of the instructional media should keep going by educational technologis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 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의의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1. 연구의 내용 = 2 2. 연구의 방법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군사교육에서의 교수방법 = 5 1. 육군의 교육체계와 교육계획 수립 절차 = 5 2. 군사교육에서 적용되는 교수방법 = 12 3. 교수방법의 선택 = 21 B. 군사교육에서의 교수매체의 활용 = 24 1. 군사교육에 있어서 교육공학 적용의 배경 = 24 2. 군사교육에서 활용되는 교수매체의 종류 = 28 3. 교수매체의 선택 = 32 C. 우리나라 군사교육과 미국 군사교육에 있어서 최근의 교수매체 활용경향 = 35 1. 우리나라 군사교육에서의 최근 교수매체 활용경향 = 35 2. 미국 군사교육에서의 최근 교수매체 활용경향 = 38 Ⅲ. 조사결과 및 분석 = 45 A. 연구방법 및 절차 = 45 1. 연구의 대상과 표집 = 45 2. 연구의 도구 = 45 3. 연구의 절차 = 46 4. 자료처리의 방법 = 47 B. 연구의 결과 및 해석 = 48 1. 군사교육에서의 교수방법 = 48 2. 군사학교에서의 교수매체 활용 = 66 Ⅴ. 결론 및 제언 = 79 참고 문헌 = 83 부록 = 89 Abstract = 12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641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우리나라-
dc.subject군사교육-
dc.subject교수방법-
dc.subject교수매체 활용-
dc.subject.ddc300-
dc.title우리나라 군사교육에 있어서 교수방법과 교수매체의 활용에 관한 조사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육군 군사학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Instructional Method and Media in the Military Education : Concentrated on R.O.K. Army Schools-
dc.format.page14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199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