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7 Download: 0

유치원의 공교육화에 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Title
유치원의 공교육화에 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Other Titles
(The) Survey on Opinions of Teacher's & Parent's toward Kindergarten in Public School System
Authors
김춘순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Keywords
유치원공교육화교사학부모유아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기숙
Abstract
본 연구는 유치원의 공교육화에 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공교육화의 필요성에 해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아교육의 기회균등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유치원 공교육화의 방향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4. 교육현황의 문제점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5. 교육정책의 문제점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의 2개 시와 5개 군의 공립과 사립유치원의 교사 288명과 학부모 266명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본 연구자가 직접 제작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의 처리는 각 문항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고 교사의 소속기관별과 학부모의 기관별 및 교사와 학부모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x^(2)에 의한 유의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치원의 공교육화가 반드시 필요하며, 그 이유는 유아교육이 계층, 지역을 초월하여 평등하게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으로 교사, 학부모 모두 높게 인식하였고, 교사와 학부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2. 유아교육의 기회균등에 대해서 교사, 학부모 모두 유아들이 균등한 교육을 받고 있지 못한 것으로 높게 인식하였으며, 그 이유는 유아의 균등한 교육을 받을 권리를 보장하는 국가의 제도적, 재정적 원조미흡으로 생각하였고, 교사와 학부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현재의 공·사립유치원간에 교육내용 및 교육시설에 있어 매우 차이가 많은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교사와 학부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3. 유치원의 공교육화의 방향에 대해 유아의 취원연령은 교사의 경우 4세, 학부모의 경우 5세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였다. 교육내용의 큰 지침은 정부에서 주되 구체적인 것은 유치원 독자적으로 융통성을 살릴 수 있어야 하며, 국민학교의 교육과 연계성 측면에서도 유치원 교육의 독자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생각하였으며 교사와 학부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교육비는 국가가 주로 부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기타 재료비 선에서 학부모가 부담하여야 한다고 생각하였으나 사립교사와 학부모는 학부모와 국가의 공동부담을 인식하는 률이 높아 공·사립교사간, 교사와 학부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교사는 2년제 유아교육을 전공하고 일정기간 수련과정을 거친 자나 4년제 유아교육을 전공한 자가 적당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공·사립교사간, 교사와 학부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사립유치원에 대해서는 법인화시켜 재정적 원조와 관리감독을 병행해야 한다고 인식했으나 공립교사들이 일정비율의 유치원만 법인화시켜야 한다고 생각한 반면 사립교사들은 모든 유치원의 법인화나 최소한의 관리감독만 원하여 공·사립교사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유치원에 대한 관리감독이나 통제에 대해서는 교육의 자율성을 부여하되 필요한 조치들을 우선적으로 취해야 한다고 생각하였으며 공·사립교사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유치원의 의무교육은 교사의 경우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학부모의 경우 유치원이 의무교육이 아닌 보편적으로 꼭 거쳐야 하는 공교육의 개념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고 높게 생각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4. 유아교육 현황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서 공립유치원은 시설빈약과 교통안전 문제, 사립유치원은 높은 교육비가 문제로 인식되었으며, 공·사립교사간, 교사와 학부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또한 국민학교와의 연계성 부족, 기능중심의 학원난립과 유아교육의 인식부족에 대한 문제의식이 높았으며 교사와 학부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정규유아교육기관 대신 사설학원에 보내는 것에 대한 인식에서 학부모의 62.8%가 전인교육차원에서 심히 우려를 나타냈으며, 학부모의 기관별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교사양성제도에 대한 인식에서는 교사의 87.8%가 불만족하다고 응답하였고, 교사의 기관별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5. 교육정책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서 유치원의 공교육화를 이루기 위한 선결문제는 교육관계법률 개선 및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으며, 공·사립 교사간, 교사와 학부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육법 81조의 경우 기초교육이 국민학교부터라고 생각되기 쉽기 때문에 개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였으며, 개정되어야 하는 이유에서 교사의 기관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유치원이 학교법인에서 제외되어 있는 법조문에 대해서도 개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였으며, 교사의 기관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원화된 유아교육체제의 개선은 0-3세는 보사부에서, 3-6세는 교육부에서 관할해야 하는 것으로 높게 인식하였으며, 교사의 기관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The purpose of this survey is to find out the opinions of teacher's and parent's toward kindergarten in public school system. For this purpose, the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What do teachers and parents perceive the necessity of the public school system in the kindergarten? 2. What do teachers and parents perceive the equal opportunity of the childhood education? 3. How do teachers and parents perceive the direction of the public school in the kindergarten? 4. What do teachers and parents perceive the current problems of the kindergarten? 5. What do teachers and parents perceive the problems of education policy? The objects for this study were 288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and 266 parents in two cities and five Guns in Chungcheongnam province. A questionnaire was used, which were devised personally by researcher. The collected data were treated by frequency, percentile, and χ^(2) to verify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and parents' opinion according to their position whether the kindergarten had been established by public and private agency.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as follows: 1. Both teachers and parents perceived highly the necessity of the public school system in the kindergarten, for children should be educated equally regardless of class or reg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2. On the equal opportuni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both teachers and parents perceived highly that the children received unequal education, for there were insufficient institutional and financial supports which guarantee the equal education of childre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3. On the direction of the kindergarten in public school system, kindergarten school age is thought that whereas teachers wanted 4 years of age, parents did 5 years. Education contents consist of that government leads main guideline, concretely, kindergarten should be flexible individually. In the connection of the education of primary school and kindergarten, they perceived that it's individuality should be established. They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Basically, government should be burdened the cost of education and parents should be charged the cost of materials, but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and parents request to be collonaded between government and parents concerned. Teachers are eligible to be selected as 4 years educated applicants or 2 years educated applicants practised for a given period of time. In this poin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and parents. Private kindergarten should be incorporated and run parallel with financial aids and supervision but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d that kindergarten should be incorporated to an invariable ratio, whereas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wanted to be incorporated all kindergarten and supervised by the minimum. In this contex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On the supervision and control in the kindergarten, it is necessary to pursue the autonomy of education and complementary measures should be preceded. These are main differences, too. On the compulsory education in the kindergarten, teachers asserted that they need it inevitably, whereas parents thought that it should be established by the universal institution even though it is not always dutiful. 4. As the current problems of the kindergarten, public kindergarten has the problems of poor facilities and traffic safety, whereas private kindergarten does the higher cost of education. In this surve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too. Also, the deficiency of connection with primary school, the disordering of function-centered-institute and the deficiency of recognition on the kindergarten education are recognized as many problems awaiting solution. Going to private institute on be half of formal kindergarten, parents responded that 62.8% apprehended seriously in the education, but did not reveal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On the recognition of the system in the teacher's training, respondents answered that 87.8% are unsatisfied and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5. Concerning to the problems of education policy in the kindergarten, the preconsideration to realize the kindergarten in public school system are recognized as the revision of the law related to kindergarten and financial aids. In this context, thu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teacher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Act 81, educational law should be revised because of being apt to think that the foundation of education begins in elementary school. The reasons to be revised weren'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school teachers. The improvement of dual system of kindergarten education is recognized that the ministry of social and health should control 0-3 years of age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do 3-6 years of ag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